Inside

Management - 온수·냉수 번갈아 틀다 물만 낭비 

문학으로 읽는 경제원리 

박병률 경향신문 기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샤워실의 바보’ 개념 … 양적완화 출구전략 고민하는 정책 딜레마



‘앨리스의 키는 어림잡아 60㎝ 정도 되는 것 같았다. 앨리스의 키는 빠른 속도로 계속 줄어들었다. 발이 미끄러진 앨리스는 첨벙하고 소금물에 턱까지 빠져버렸다. 처음 앨리스는 바다에 빠졌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얼마 안 지나 앨리스는 자신이 2m80㎝였을 때 흘린 눈물 때문에 생긴 웅덩이에 빠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중) 토끼가 조끼 주머니에서 시계를 꺼내보며 “오, 이런 늦었어!”를 외친다. 소녀가 그 토끼를 따라 무작정 토끼굴로 들어간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하면 떠오르는 아이콘이다. 이 작품은 1865년, 영국의 역사상 최전성기라 불리는 빅토리아 여왕시대 때 쓰여졌다. 저자는 루이스 캐럴. 그의 본명은 찰스 루트위지 도지슨이다. 이 작품의 고향은 영국 옥스퍼드다. 루이스 캐럴이 옥스퍼드 대학 강사 시절 썼다.

그가 1862년 여름 10살의 앨리스 자매들과 템스 강에서 뱃놀이를 하다 아이들을 즐겁게 해주려고 만든 얘기다. 영국은 어디서나 이야기를 해주는 이야기의 나라다. 『해리포터』가 그냥 나온게 아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영국 문학에서 세익스피어 희곡에 이어 둘째로 자주 인용되는 책이다. 아동문학의 최고 고전으로 영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작품 중 하나다. 앨리스는 물놀이 하던 당시 동승한 앨리스 리델이라는 아이라고 한다.

루이스 캐럴은 이 아이를 너무나 사랑했다. “이야기를 책으로 남겨달라”고 요청한 것도 앨리스 리델이다. 1871년 펴낸 속편 『거울나라의 앨리스』의 끝에는 21행으로 된 시 한 편이 있다. 각 행의 첫 알파벳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읽으면 ‘앨리스 리델(Alice Pleasance Liddell)’이 된다. 루이스 캐롤은 평생을 홀로 살았다. 성직자의 자격을 얻었기 때문인데 항간에는 정말 앨리스를 사랑해 그랬다는 얘기도 있다.

영국의 일부 역사 연구모임 중에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빅토리아 여왕의 비밀 자서전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영국인들이 이 작품을 얼마나 사랑하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이야기다.

앨리스는 말하는 토끼를 따라 토끼굴로 미끄러져 내려간다. 지구 중심부까지 내려갔다고 생각하는 순간 복도로 떨어진다. 이상한 나라의 시작이다. 복도 문 밖으로 보이는 아름다운 정원으로 나가려는 앨리스에게 이상한 일이 계속 벌어진다. 앨리스는 키가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하면서 모험을 이어나간다. 키가 커졌을때 눈물은 키가 작아졌을 때 바다가 된다. 신기한 동물도 많다.

말하는 토끼부터 몸이 나타났다 사라지는 체셔 고양이, 가짜 거북, 독수리의 얼굴에 사자 몸을 한 그리핀, 겨울잠쥐, 물고기 하인과 개구리 하인 등이 있다. 등장인물도 희한하다. “저 자의 목을 치라”는 말을 연신 내뱉는 하트여왕과 여왕의 눈치만 보는 무력한 왕, 정신 나간 모자장수, 돼지 아기를 품에 안고 있는 공작부인이 좌충우돌한다.

루이스 캐럴은 수학자이자 시인이고 소설가였다. 그래서인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는 논리로 포장된 말장난이 많다. 고상하게 말하자면 언어 유희다. “그게 그거 아니냐”는 앨리스의 말에 모자장수는 “내가 먹는 것을 본다와 내가 보는 것을 먹는다는 다르다”라고 반박한다.

쥐가 “내 이야기(tale)는 길고도 슬프단다”라고 말하자 앨리스는 “확실히 꼬리(tail)가 길기는 기네”라고 동문서답한다. 너무나 이야기가 극단적으로 오가고 상황 설정이 뒤죽박죽이어서 어른들이 보기에는 산만하다는 느낌이 들 정도다. 하지만 원래 아이들의 눈높이는 그렇다.

앨리스는 문 밖에 있는 아름다운 정원에 가고 싶은데, 키가 너무 크다. ‘나를 마셔요’라고 적힌 병을 한번에 들여 마셨더니 키가 25㎝로 줄어들었다. 그런데 너무 작아졌더니 탁자 위에 놓인 열쇠를 쥘 수 없게 됐다. ‘나를 먹어요’라 적힌 케이크를 먹었더니 키가 너무 커져버렸다. 앨리스는 열쇠를 쥘 수 있지만 작은 문을 빠져나가지 못한다. 앨리스는 그냥 주저 앉아 울음을 터뜨린다.

밀턴 프리드만의 어설픈 정부 개입 비판

앨리스의 행동은 경제에서 말하는 ‘샤워실의 바보’와 유사하다. 샤워실에 한 바보가 들어갔다. 바보는 샤워를 하러 수도꼭지 더운물을 틀었다가 너무 뜨거운 물이 쏟아지자 질겁해 얼른 찬물로 돌렸다. 너무 물이 차다며 다시 뜨거운 물로 수도꼭지를 돌렸다. 바보가 수도꼭지만 돌리다 물만 낭비하고 정작 샤워를 하지 못한 상황을 ‘샤워실의 바보’라 부른다. 이는 1976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밀턴 프리드먼 교수가 정부의 어설픈 경제 개입을 꼬집으며 제기한 우화다.

밀턴 프리드먼은 신자유주의자다. 샤워실의 바보는 ‘시장은 알아서 잘 돌아가니 정부가 개입하지 말라’는 신자유주의가 배경에 있다. 통화주의자인 밀턴 프리드먼은 정부가 통화량과 금리를 조절해 시장에 개입하면 시장을 망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돈을 풀었다 조였다 하기보다 경제 규모에 맞춰 꾸준하게 돈을 풀면 시장이 알아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것이라는 얘기다. 망가진 경제를 정상화시키기 위해서는 시장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케인즈 주의와는 반대 선상에 있다.

국내 부동산 버블 때도 회자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유럽 등은 양적완화로 시장에 적극 개입했다. 제로 금리를 만들거나 중앙은행을 통해 돈을 풀어 경기를 뒷받침하는데 너도 나도 뛰어들었다. 일본의 아베노믹스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시장에 개입한 결과다.

문제는 출구전략이다. 경쟁적으로 양적완화에 뛰어든 주요국들은 재정이 한계에 다다르자 돈을 다시 걷어들이기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 과도하게 풀린 돈이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고 투기성 자본이 되어 자산가격만 부풀린다는 유동성 함정도 우려됐다. 하지만 실물경기가 여전히 나쁜 상태에서 성급하게 돈을 회수했다가는 급격히 디플레이션으로 빠질 수 있다는 반박도 많다. 자칫 잘못하면 ‘물(재정)’만 낭비하고 ‘샤워(경제 회복)’는 하지 못하는 바보(국가)가 될 수 있다.

‘샤워실의 바보’는 2000년 중반 국내 부동산 버블 때도 자주 회자됐다. 정부가 종합부동산세·총부채상환비율(DTI)·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각종 금융 규제책을 쓰려하자 시장 일부에서는 ‘샤워실의 바보’를 외쳤다. 부동산 가격이 오를 만큼 오르면 알아서 떨어질 텐데 정부가 왜 개입하느냐는 얘기였다. 2007년 이후 집값 하락은 금융 규제보다는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이 크다.

경제민주화를 한다고 해놓고 입법이 되기 전에 포기를 선언하는 것도 밀턴 프리드먼 식으로 말하자면 ‘샤워실의 바보’ 사례가 될 수 있다. 4·1 부동산 대책 직후 오른 집값과 거래량이 6월 들어 제자리로 돌아가자 일부에서 추가 대책을 요구한다. 정부가 “조금 더 지켜보자”고 하는 것은 ‘샤워실의 바보’ 사례를 감안한 때문으로 해석 가능하다. 정책을 집행한 뒤 시장에 스며들어 파급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얘기다.

앨리스가 다시 코르크 마개를 열고 병을 쭉 들이켰다. 그랬더니 머리가 천장에 눌리도록 커졌다. 한 팔은 창 밖으로 내밀고, 한다리는 굴뚝으로 밀어 넣을 정도다. 앨리스가 케이크 하나를 통째로 삼키자 몸은 급속도로 작아졌다. 앨리스는 원래 키였을 때가 가장 행복했다며 울상이다. 샤‘ 워실의 바보’ 전형이다.

1194호 (2013.07.01)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