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Business - 불황 타고 대형사보다 높이 날다 

저비용 항공사 고공비행 

국내·국제선 점유율 높아져 … 제주항공 사상 최대 실적



불황에 저렴한 요금을 무기로 내세운 저비용 항공사(LCC)가 고공비행 중이다. 그동안 취항 노선을 공격적으로 넓히면서 고객 저변을 넓혔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LCC 5사(제주항공·진에어·에어부산·이스타항공·티웨이항공)의 국내선 점유율은 도합 47.8%였다. 1년 전(43.1%)보다 4.7%포인트 증가했다. 국내선 이용객 절반이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같은 대형항공사 대신 LCC를 이용한다는 얘기다. 지난해 상반기 6.8%에 그친 국제선 점유율도 9.3%로 높아져 첫 10%대 진입을 눈앞에 뒀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LCC 이용객은 738만명으로 전년 동기(627만명)보다 21% 증가했다. 전체 항공기 이용객 5명 중 1명이 LCC를 이용했다. LCC가 진출한 6개 국내선 중 김포~제주, 김해~제주, 김포~김해, 군산~제주 4개 노선에선 과반수가 대형 항공사가 아닌 LCC를 이용했다. 청주~제주(42.9%), 인천~제주(15.7%)도 인기다.


국제선에서도 예년보다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상반기 154만명이 LCC 국제선을 찾았지만 올 상반기엔 이보다 46.5% 증가한 226만명이 이용했다. 8만명 이상 수송한 노선 중 인천~방콕, 인천~후쿠오카를 제외하면 모든 노선에서 점유율이 올랐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제선 하계 운항횟수가 지난해 주 217회에서 올해 주 258회로 대폭 늘었다”며 “제주항공과 진에어 등의 새 노선 취항이 이어지면서 하반기에도 전반적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선 고객 2명 중 1명 꼴 LCC 이용

이는 최근 대형 항공사의 부진과 대비된다. 동양증권 리서치센터는 2분기에 대한항공이 698억원, 아시아나항공이 133억원의 영업적자를 냈을 것으로 분석했다. 다른 증권사도 대한항공이 500억~600억원대, 아시아나항공이 100억원대의 영업적자를 냈을것으로 내다봤다.

강성진 동양증권 연구원은 “항공업계에서 LCC의 영향력이 더욱 커졌다”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투자 매력이 떨어졌다”고 말했다. 강 연구원에 따르면 두 회사는 최근 일본 노선에서 LCC 비중이 증가하면서 위기감이 커졌다. 지난해부터 한·일 국제선에서 달아오른 LCC의 열풍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LCC 업계 자체는 호황이었지만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만큼이나 기대에 못 미친 회사도 있다. 대한항공 계열인 진에어와 아시아나항공 계열인 에어부산이다. 특히 업계 2위 진에어는 올 상반기 외형은 커졌지만 내용은 썩 좋지 않았다. 상반기 영업이익이 29억원에 그쳐 지난해 상반기(79억원)보다 62%나 감소했다.

매출 1281억원으로 전년 동기(1195억원)보다 7% 증가한 게 위안거리다. 하지만 이마저도 경쟁사인 에어부산이 매출 1300억원을 기록하면서 2위 자리를 내줬다. 국제선 이용객은 지난해 상반기(36만명)보다 5만명 늘어난 41만명을 기록했지만 국내선은 82만명(지난해도 82만명)으로 제자리였다.

기대에 다소 못 미친 상반기였지만 회사 내부에선 어느 정도 예상한 결과였다는 반응이다. 진에어 관계자는 “1월에 마원 대표 취임 후 종전의 정보기술(IT)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힘썼다”며 “항공기를 새로 들여오면서 비용이 늘다 보니 영업이익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 따르면 진에어는 항공 업계에서 유일하게 전산망을 비롯한 국내선 항공 시스템을 자체 개발해 쓴다. 종전까지는 외부 IT 시스템 전문회사에 의존했다. 연간 사용료·수수료를 내는 형태였지만 비용 절감 차원에서 독자 시스템을 구축했다. 여기에 드는 돈만 최소 수십 억원에 달한다.

이는 마원 대표가 취임 후 구상한 체질 개선 계획에 따른 것이다. 그는 6월에 회사 조직체계를 개편하면서 3개 부서를 본부로 승격한 3부10팀 체제로 만들었다. 직속의 안전보안팀을 안전보안실로 높여 중요성을 강조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셋째 딸인 조현민 전무도 이때 부서장에서 마케팅본부장으로 승격했다. 조 본부장은 주 2회 진에어로 정기 출근하며 마케팅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진에어는 상반기에 항공기 1대를 추가 도입했고 9월 중 1대를 더 들여올 예정이다.




선행 투자 마친 제주항공 상승세

애경그룹 계열 LCC인 제주항공은 지난해 미리 투자를 마친 덕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사상 최대 매출(2057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도 62억원으로 전년 동기(6억원)보다 크게 늘어 잔칫집 분위기다. 특히 6개월 간 2000억원 매출 돌파는 LCC 업계 사상 처음이다.

올 상반기 142만명의 국내선 이용객과 78만명의 국제선 이용객을 모았다.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128만, 52만명)보다 급증했다. 송경훈 제주항공 차장은 “지난해에 선행 투자로 항공기를 많이 도입했고 잇따라 새 노선에 취항해 올 상반기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중국에서 승부수를 띄운 것도 주효했다. 제주항공은 올 들어 중국 13개 도시에 부정기편을 운항 중이다. LCC 5사 중 중국 시장 개척에 적극적이었다. 송 차장은 “엔저로 일본 시장에서 어려운 상황에서 수익선 다변화를 꾀한 게 통했다”며 “중국은 수요가 워낙 많고 계속 증가하는 추세라 실적 개선에 큰 도움이 됐다”고 덧붙였다.

제주항공은 하반기에 다시 대규모 투자를 한다. 100억원을 투자해 IT 시스템을 개선하고 운항 안정성 개선과 원가 절감에 나서기로 했다. 상반기 상승세의 여세를 몰아 글로벌 항공사로 도약하기 위한 체질 개선에 나선다는 것이다.

진에어는 모기업 대한항공과 차별화

두 회사는 LCC 초창기부터 1위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내색은 않지만 내심 경쟁사의 전략에 민감하다. 제주항공은 7월에 일본 도쿄로 향하는 노선을 주 2회 새로 취항해 일본 노선 강화에 나섰다. 도쿄 외에 오사카·후쿠오카·나고야 등 4개 도시에 6개 노선을 운항 중이다.

엔화 약세로 일본인 관광객 수요는 줄었지만 일본으로 향하는 LCC를 찾는 한국인 여행객은 되레 늘었다는 판단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짧은 노선에서 LCC의 가격 경쟁력은 확실하다”며 “대형 항공사처럼 환율 변동에 따라 급격히 수요·매출이 줄진 않는다는 점에서 일본 단거리 노선은 LCC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될 것”으로 전망했다.

진에어의 속내는 다소 복잡하다. 대한항공과 동선이 겹치면 LCC에서 수익이 나더라도 정작 모회사는 손해를 입을 수 있다. 자칫 한쪽이 살면 한쪽이 죽는 집안싸움 형국이 될 수도 있다. 이를 감안해 대한항공의 중·장거리 노선과 겹치지 않는 중·단거리 국제선 강화에 집중했다. 최근 조현민 본부장이 강조하는 전략도 대한항공과 차별화한 ‘젊은 이미지’다.

진에어 승무원들은 9월부터 창립 5주년을 맞아 청바지에다가 이탈리아 패션 브랜드인 카레라(Carrera)와 합작한 새 유니폼을 입는다. 조 본부장은 “종전 유니폼이 대학생 이미지라면 새 유니폼은 새내기 직장인 이미지”라고 말했다. 대한항공과는 별개로 부담 없이 편한 이미지로 LCC의 주요 고객인 젊은 연령대를 집중 공략할 방침이다.

일본 노선 확장에선 경쟁사인 제주항공과 다른 전략이다. 제주항공이 일본 대도시 위주로 비중 있게 운영한다면 진에어는 보다 조심스럽다. 인천~삿포로, 인천~오키나와 두 노선에만 취항하면서 덜 대중적인 노선을 공략한다. 진에어 관계자는 “일본 시장은 LCC가 이미 많이 들어가 레드오션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삿포로와 오키나와는 도쿄처럼 금방 예약하거나 취소할 수 있는 노선이라기보다 2~3개월 전 미리 계획을 세우고 예약하는 노선에 가깝다. 따라서 엔저 같은 외부 영향에도 상대적으로 덜 민감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진에어가 7월 24일부터 새로 취항한 인천~나가사키도 국내 LCC로는 최초로 시도하는 노선이다. 레드오션을 피하고 독자 노선으로 틈새시장을 노린다는 것이다.

1199호 (2013.08.05)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