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서명수의 이솝투자학] 돈 벌었을 때가 가장 위험하다 

인지부조화와 ‘여우와 신포도’ … 애착 버려야 주식 제때 팔 수 있어 

서명수 중앙일보 ‘더, 오래팀’ 기획위원
기원 전 6세기 그리스의 노예 이솝이 쓴 것으로 알려진 [이솝 우화]는 인간의 심리를 동물의 행동에 투영한 우화집이다. 이솝은 정글의 논리가 판치는 세상에서 약자가 살아남는 비법을 번득이는 재치로 풀어내고 있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은 이솝 우화의 “숲 속의 두 마리 새보다 손 안의 한 마리 새가 낫다”를 인용하며 비효율적 숲 이론을 제시했다. 투자자 행동과 관련이 있는 이솝 우화 이야기를 읽으며 성공 투자의 길을 모색해본다.

굶주린 여우 한 마리가 있었다. 여우는 기진맥진한 상태로 먹을 것을 찾아 숲 속을 어슬렁거렸다. 그러다가 아주 향기로운 냄새를 맡게 됐다. 여우는 서둘러 그 곳으로 달려갔다. 먹음직스런 포도가 덩굴에 주렁주렁 매달려 있었다. 보기만 해도 저절로 침이 고일 정도였다. “정말 맛있게 생긴 포도구나” 포도는 무척 달콤할 것만 같았다. 여우는 포도송이를 따기 위해 팔을 뻗었지만 닿지 않았다. 뒤로 물러났다가 달려가 힘껏 뛰어올라 봐도 포도송이에는 손이 닿지 않았다. 포도를 따려고 갖은 방법으로 애를 쓰던 여우는 결국 눈앞의 포도를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여우는 포도밭을 떠나면서 중얼거렸다. “흥 덜 익은 포도잖아? 아직 시큼해서 못 먹을 거야. 난 아주 잘 익은 포도만 좋아하거든.”

재산 손실 부르는 인지부조화의 대가



사람들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것과 반대되는 새로운 정보를 접했을 때 정신적 스트레스나 불편한 경험을 겪게 된다. 이를 ‘인지부조화’라고 한다. 부조화를 겪는 개인은 자신의 믿음이 잘못됐다는 것을 인정하는 게 고통스런 일이어서 이솝 우화의 여우처럼 적당한 핑계를 대며 자기합리화를 해버리는 것이다. 하지만 잠시의 스트레스를 피할지 모르지만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 대가를 톡톡히 치른다는 점에서 인지부조화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423호 (2018.03.05)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