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수소 생태계 가꾸는 독일 가보니] 풍력 활용한 친환경 수소 단지도 등장 

 

독일=글·사진 김도년 중앙일보 기자
생산부터 운송·활용까지 정부가 밀고 민간이 끌고 … 독일 전역에 수소파이프망 구축 노리기도

▎현대차는 2016년부터 독일 오펜바흐에서 수소충전소를 운영 중이다.
독일 중서부 오펜바흐의 현대자동차 독일법인 앞마당에는 700바(Bar=평상시 공기 압력의 700배) 압력의 수소충전소가 있다. 10대 정도의 수소차가 매일 이곳을 찾아 충전한다. 외국 기업이지만 특별한 규제는 없다. 오히려 독일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파트너라 환영받았다고 한다. 프랑크 마이어 현대차 독일법인 친환경자동차개발팀장은 “독일 사람들은 수소충전소를 일반 주유소나 다름없다고 생각한다”며 “대기업이 건물 바로 근처에 충전소를 두다 보니 안전에 대한 믿음도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도요타, 프랑스 에어리퀴드 등 해외 기업도 독일을 수소 사회로의 이행을 준비하는 시험 무대로 삼고 있다. 에어리퀴드의 피에르 에티앙 부사장은 “수소 인프라 구축에 나선 민간 기업은 정부 지원 없이도 생존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독일의 수소 에너지 활용은 이미 일정 궤도에 올랐다. 수소 생산부터 운송, 활용에 이르기까지 정부의 ‘넛지 효과(유연하게 개입해 선택을 유도하는 전략)’로 민간이 주도하는 수소 생태계가 자리를 잡아가는 모습이다. 프랑크푸르트·쾰른·슈투트가르트·마인츠·비스바덴 등지에선 이미 60여 대의 수소버스가 운영 중이다. 뮌헨에는 수소차 공유 서비스를 내놓은 스타트업도 생겨났다. 2년 전부터는 가정용 난방에 쓰고 남은 지열 에너지로 수소를 만들고 이를 다시 난방용으로 쓸 수 있는 ‘수소 히터’도 나와 지금까지 1200대가 판매됐다.

교통부·경제부·환경부 등 모인 컨트롤타워 세워


▎독일 마인츠의 에너지파크에서 운영 중인 풍력 수소발전기.
물론 독일도 처음부터 수소 인프라를 늘리자는 결정을 쉽게 내린 건 아니었다.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의구심도 컸다. 수소가 사용되는 자동차나 가정용·산업용 발전 장비도 보급되지 않은 상황에서 에너지 기업은 수소 인프라 투자에 소극적이었다. 특히 수소차는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부품 수도 적어 자동차 부품 업체 노동자들이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 이런 좁혀지지 않는 논란을 끝낸 것은 독일 특유의 ‘숙의 민주주의’가 작동한 덕분이다. 틸만 빌헬름 수소연료전지기구 부장은 “수소 생산·충전 설비를 설치할 땐 항상 주민의 의향을 조사한 후 결정하는데, 지금까지 반대 의견이 있었던 적은 없다”며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대의에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고 있고, 기업도 탄소를 줄이지 않았을 때의 규제 비용 폭등 가능성을 우려해 수소 인프라를 늘리자는 방향성을 명확히 세울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독일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95% 줄여야 하는 신(新)기후체제 대응 전략을 짜고 있다.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수소 에너지 활용을 늘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주요 정책은 교통부·경제부·환경부 등이 모인 국립 수소연료전지기구(NOW)가 맡고 있다. 수소 사회를 구현하려면 환경 정책과 교통·산업 정책이 함께 가야 하기 때문에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를 세운 것이다. 이들은 현재 40여 개인 수소충전소를 2023년까지 총 400개로 늘린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를 위해 독일 정부는 올해 2억5000만 유로(약 3250억원)의 국비를 수소 에너지 산업에 투자하고 있다.

독일 북서부 쾰른 화학단지 내 프랑스 수소에너지업체 에어리퀴드의 SMR 플랜트가 있다. 수소를 생산하는 이 공장엔 지름이 성인 키 만한 가스관이 실타래처럼 엉켜 있다. 공정이 복잡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수소를 얻는 과정은 의외로 간단했다. 메탄가스(CH₄)에 수증기(H₂O)와 이산화탄소(CO₂)를 주입해 910도에서 가열하고 니켈 등 촉매에 가열된 가스를 통과시키면 일산화탄소(CO)와 수소(H)가 생산된다. 플라스틱 원료로 쓰이는 일산화탄소는 인근 플라스틱 생산 공장에 팔고 수소만 따로 모은다. 에어리퀴드 독일 법인의 페드로 오테로 경영책임자는 “수소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도 배출되지만, 이를 다시 모아 일산화탄소를 만드는 공정에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며 “천연가스로도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해 수소를 얻을 수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수소가 활용될 미래를 구상하며 독일 전역에 수소파이프망 구축을 준비하는 기업도 있었다. 린데그룹의 마커스 바흐마이어 수소솔루션글로벌부문장은 “현재는 고압가스나 액체 상태로 만든 수소를 트레일러로 운송하고 있지만 앞으로 사용량이 늘어나면 가스 배관을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론 독일도 수소가 석유·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했다. 가정용 전기로 수소 에너지를 활용하는 사례도 아직 나오진 않았다. 독일 제조업 공장을 무인 자동화 시스템으로 바꾸는 ‘인더스트리 4.0’에도 공장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수소 에너지가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수소가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미래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는 데에는 사회 전반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석유·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대체는 아직

수소 시대를 내다본 친환경 수소 생산 단지도 늘고 있다. 독일 마인츠 에너지파크의 풍력 수소발전소 단지가 좋은 예다. 독일 북부 도시 마인츠의 외곽엔 넓은 평야가 있다. 평야 곳곳에 자리한 풍력발전기 숲이 장관이다.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풍력 수소 생산 단지는 독일 정부와 민간 기업이 함께 구축했다. 2015년 공장 구축 당시 1700만 유로(약 211억원)가 들었는데 이 중 절반을 독일 연방정부가 지원했다. 이후 운영 비용은 지멘스와 린데 등 민간 기업이 부담하고 있다. 돈을 벌기 위해서라기보다는 바람이 불지 않으면 전기를 생산할 수 없는 풍력 에너지의 불규칙성을 보완하려는 목적으로 수소를 이용하고 있다. 남는 전기로 수소를 만들어 저장하고 바람이 불지 않을 때 이 수소를 다시 수소연료전지를 이용해 전기로 바꿔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직 풍력 에너지로 수소를 만드는 작업은 에너지 손실도 커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하지만 풍력·태양광·지열 에너지 등 신재생 에너지의 효과적인 저장 수단이 수소라는 점을 독일 정부도 알기에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 중이다. 린데그룹에서 중서부 지역을 담당하는 플로리안 크납은 “에너지파크에 있는 3기의 풍력발전기가 한 해 동안 만드는 수소량은 총 200t 정도로 공장 내 저장 탱크가 부족할 정도로 많은 수소를 생산하고 있다”며 “풍력 에너지로는 온실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고도 수소를 얻을 수 있는 점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1431호 (2018.04.30)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