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3년 만에 10배 성장한 의류건조기 시장] 가격은 낮추고 효율성은 높이다 

 

김성희 기자 kim.sunghee@joongang.co.kr
황사·미세먼지로 자연건조 꺼리는 수요 늘어…LG전자 건조기 시장점유율 70%

▎미세먼지와 황사 탓에 자연건조를 꺼리는 소비자가 늘면서 의류건조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사진:롯데하이마트 제공
지난해부터 의류건조기(이하 건조기) 매출이 빠르게 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016년 10만대 수준이던 국내 의류건조기 시장 규모는 올해 100만대 이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처럼 빠른 성장세는 황사와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창문을 열고 빨래를 말릴 수 없는 날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롯데하이마트에 따르면 올 1~4월까지 건조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0% 늘었다. 미세먼지 기승으로 수요가 급증한 공기청정기 매출 증가세보다 더 빠른 속도다. 공기청정기 판매는 같은 기간 동안 180% 늘었다.

사실 건조기는 불과 3년 전까지만 해도 ‘아는 사람만 알았던’ 제품이었다. 국내에서는 LG전자가 2004년 처음 선보였지만, 설치 문제와 비용 부담으로 보급이 더뎠다. 2015년까지 건조기는 가스식과 히터식 두 종류였다. 가스나 전기로 뜨거운 바람을 일으켜 옷감을 말리는 구조이다 보니 옷이 줄어들거나 옷감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 가스식의 경우 1회 사용 요금은 저렴하지만 설치비용이 비싸고 조건이 까다로워 일부 가정에서는 설치가 어려웠다. 전기식은 가정에 설치하기는 쉽지만 전기요금이 비싸다는 게 문제였다.

1인 가구 증가로 주거면적 좁아져


▎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가 2016년 10월 ‘인버터 히트펌프’ 건조기를 출시하면서 시장 판도가 달라졌다. 인버터란 모터 속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필요한 만큼 모터가 회전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회전을 제공하는 ‘정속형 모터’에 비해 전기사용량이 적다. 히트펌프는 냉매(저온 물체에서 열을 빼앗아 고온 물체에 열을 운반해 주는 매체)로 주변의 온도 차이를 만들어 습기를 빨아들이는 장치다. 이 부품이 탑재되면 열풍 없이도 섭씨 40도의 비교적 저온으로 옷감을 말려 옷감 손상 걱정도 줄일 수 있다.

인버터 히트펌프는 전기식 건조기의 단점으로 지적받던 전기료도 줄일 수 있다. LG전자가 지난해 12월 선보인 ‘듀얼인버터 히트펌프’ 건조기의 경우 세탁물 5㎏을 표준코스의 에너지 모드를 사용할 경우 전기요금은 117원에 불과하다. 스피드 모드를 적용할 경우 건조시간은 80분이면 끝난다. 이처럼 건조시간과 전기료 절감으로 건조기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건조기는 제품 교체 주기가 길고 시장 자체가 레드오션이었던 생활가전 시장에 ‘떠오르는 효자’ 상품이 됐다. 일찌감치 건조기 시장에 진출한 LG전자는 현재 국내 건조기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LG전자의 시장점유율은 7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건조기 시장에 뛰어드는 후발주자도 많아지고 있다.

지난해 3월 뒤늦게 국내 건조기 시장에 뛰어든 삼성전자는 LG전자보다 출시는 늦었지만 프리미엄 제품으로 승부수를 띄웠다. 올 2월 삼성전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건조기 중 가장 큰 9㎏급보다 용량을 55% 키운 14㎏급 건조기 ‘그랑데’를 출시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초반에 히터로 최적 온도에 빠르게 도달시킨 이후 인버터 히트펌프로 저온 건조하는 방식인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기술을 적용했다”며 “대용량인 만큼 두꺼운 이불 건조까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중견업체 후발주자들은 가격은 낮추고 효율을 높인 상품으로 소비자를 공략하고 있다. SK매직의 ‘WDR-GA07’ 건조기는 가성비를 앞세웠다. 7㎏ 용량에 69만~79만원대로 용량이 작더라도 금전적인 부담을 덜고 싶은 1~2인 가구에 더 적합한 제품이다. 히트펌프가 아닌 히터 방식을 썼다. 습기를 스스로 감지해 작동하며 15가지 건조 코스가 있어 세탁물 유형과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건조할 수 있다. 린나이코리아 건조기 ‘해밀’도 6kg 용량에 60만~80만원대다. 이 제품은 가스식의 장점을 그대로 살린 열풍 건조 방식이다. 90~110도 건조로 99.9% 살균이 가능하다.

시장에선 건조기 성장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환경문제도 있지만 소비자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편리함에 대한 욕구가 늘고 있기 때문에 건조기도 가구당 1대씩 소유하게 될 것”이라며 “세탁부터 건조까지 3시간 정도면 되기 때문에 맞벌이 부부와 1인 가구에겐 필수 가전제품”이라고 말했다. 1인 가구가 늘어나며 주거 공간이 좁아진 것도 건조기 시장의 성장 이유 가운데 하나다. 빨래를 널 공간이 마땅치 않아지면서 건조기에 눈을 돌리는 수요가 늘어나는 것이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1인 가구의 평균 주거사용면적은 48.6㎡(약 14.7평·2015년 기준)에 불과하다.

건조기는 LG전자 실적에도 힘을 보탤 전망이다. 노경탁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LG전자는 건조기·스타일러·공기청정기 등 달라진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판매 호조로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높이고 있다”며 “올해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2008년 수준의 영업이익 달성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증권사들은 LG전자 목표주가를 올리고 있다. NH투자증권과 유진투자증권은 13만원에서 14만원으로, 하이투자증권도 13만2000원에서 14만3000원으로 상향조정했다.

스타일러, 건조기 다음으로 신(新)격전지 될 듯

외출 후 의류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관리하는 스타일러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2011년 LG전자가 처음 출시한 ‘트롬 스타일’러는 옷을 흔들어 주는 ‘무빙행어(Moving Hanger)’와 물로 만든 ‘트루스팀’으로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생활 구김을 줄여주고 냄새를 없애준다. 현재 스타일러 시장은 LG전자의 독무대에 가깝다. 스타일러는 한 달에 1만대 이상 판매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스타일러 역시 생활가전 시장에서 건조기 다음으로 신(新)격전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삼성전자는 LG전자 스타일러와 비슷한 의류 관리기 제품을 7월에 출시할 계획이다.

1439호 (2018.06.25)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