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한국은행 | 사상 첫 ‘제로 금리’ 시대, 한은 기준금리 연 0.75%로 인하


한국은행이 지난 16일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0.75%로 0.50%포인트 내렸다. 국내 기준금리가 초저금리를 유지해왔으나 0%대에 들어선 것은 사상 처음이다. 사실상 ‘제로 금리’로 들어선 것이다. 이는 그만큼 경기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예전보다 더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악의 경우 바닥을 기는 경기침체의 늪에 빠져들 가능성도 내비친 것이다. 한국은행이 임시 금융통화위원회를 긴급하게 열어 금리를 내린 것은 미국 9·11 테러 직후인 2001년 9월(0.50%포인트 인하)과 금융위기 때인 2008년 10월(0.75%포인트 인하) 두 차례뿐이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장 이주열 총재)는 이번 금리 인하에 대해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그로 인해 한국과 세계의 경제 둔화가 심화됐다. 또한 국내외 금융시장에서 주가, 환율 등 주요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크게 증대된데다 국제유가도 큰 폭으로 하락하는 상황이어서 앞으로 경제계에 미칠 추가 충격과 그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대응 조치”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앞서 지난 15일(현지시간)에 기준금리를 기존 1.00%~1.25%에서 0~0.25%로 인하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조치도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Fed가 2차 ‘빅컷’과 7000억 달러 규모의 자산매입 프로그램 양적완화(QE) 조치를 단행함에 따라 한은 금통위도 금리 인하 조치를 긴급하게 앞당긴 것이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금융중개지원대출 금리를 기존 연 0.50~0.75%에서 연 0.25%로 내리는 유동성 공급 추가 조치도 내놨다. 또한 향후 금융기관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상황을 대비해 환매조건부매매(RP) 대상증권에 은행채를 추가하는 계획도 세웠다.

통계청 | 코로나19에도 취업 증가, 도소매·정보통신은 줄어


코로나19가 국내에 확산되기 시작한 2월, 지난해보다 국내 취업자는 증가하고 실업률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2월 취업자 수는 2683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2018년 2월보다 49만2000명(1.9%) 증가한 규모다.

산업분야별로 살펴보면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20만2000명, 9.7%), 운수·창고업(9만9000명, 7.0%), 농림어업(8만명, 7.1%)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도매·소매업(-10만6000명, -2.9%), 정보통신업(-2만5000명, -2.9%), 협회·단체·수리·기타개인서비스업(-2만3000명, -1.9%) 등에선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61만6000명)는 늘었지만, 일용근로자(10만7000명)와 임시근로자(1만3000명)는 줄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14만9000명)는 증가했으나,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14만5000명)와 무급가족종사자(8000명)는 감소했다.

이에 힘입어 실업자 수는 20대~60세 이상 모든 연령층에서 줄어 2018년 2월 대비 15만명 감소했다. 통계청은 코로나19가 경제에 미친 악영향이 3월 고용동향조사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울 외환시장 | 원·달러 환율 고공행진, 안전자산 추구 수요 증가


원·달러 환율이 새해 들어 계속 상승하고 있다. 소폭의 등락을 반복하고 있는 가운데 전체적으로는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월 말에 1달러 당 1191.8원이었던 원·달러 환율은 소폭의 등락을 거듭하면서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해 2월 24일 1220.2원까지 올랐다. 3월 초에 2월 초 수준으로 하락했으나 3월 중순을 지나면서 다시 상승해 1220원 대를 넘어 최근 1240원대까지 오르고 있다. 이 같은 원·달러 환율의 상승세는 약 10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금융업계는 최근 원·달러 환율이 요동치는 배경은 코로나19의 악영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한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기업활동이 위축되고 사태가 장기화 될 조짐을 보이자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급격하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환율이 치솟자 외화 유동성 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국내은행의 선물환 포지션 한도를 40%에서 50%로, 외은지점은 200%에서 250%로 각각 올리기로 했다. 이 한도를 높이면 은행의 외화자금 공급여력을 확대할 수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 조치에 대해 “외화자금 유입 확대를 유도해 외환스와프시장의 안정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조치로 외화자금이 약 50억∼100억 달러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원·달러 환율이 계속 치솟을 경우 외환보유고를 통해 스와프시장이나 금융시장에 달러를 빌려주는 등의 추가 대응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한국거래소 | 시총 1조 클럽 상장사 감소 대장주 삼성전자도 50조 줄어


올해 주식 시가총액이 1조원을 넘는 상장사가 40여개 넘게 줄었다. 한국거래소 조사에 따르면 시가총액이 1조원 이상 되는 상장사는 3월 17일 기준 146개다. 이는 지난해 12월과 비교하면 43개나 줄어든 수치다.

1조원 이상 상장사 수는 올해 들어서도 최근까지 계속 감소했다. 1조원 이상 상장사 수는 2019년 12월 189개에서 2020년 1월 181개, 2월 166개, 3월 17일 146개로 계속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장별로 살펴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선 같은 기간 163개, 154개, 139개, 122개로 줄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도 같은 기간 26개, 27개, 27개 24개로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올해 ‘시총 1조 클럽’에서 빠진 곳은 한올바이오파마(9978억원), 영원무역(9749억원), 금호타이어(9623억원), 현대상선(9497억원), 에이치엘비생명과학(9294억원) 등이다.

1조 클럽에 남아 있는 상장사들도 일제히 몸집이 줄어들었다. 대장주로 꼽히는 삼성전자조차도 시총은 최근 282조4000억원을 기록, 올해 들어 50조7000억원이나 감소했다. SK하이닉스도 58조5000억원으로 10조원 정도 감소했다. 현대자동차는 8조6000억원, 기아자동차 7조7000억원, 현대모비스는 9조9000억원 각각 줄었다. 시총 상위 10개 상장사 가운데 삼성SDI만 유일하게 시총이 7000억원 정도 늘었다.

이에 대해 한국거래소는 코로나19의 세계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주가 폭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코스피 하락도 한 원인으로 꼽힌다. 코스피 지수는 1월 22일 2267.25로 고점을 찍은 뒤 2월 이후 최근까지 약간의 상승을 제외하곤 1670선까지 떨어지는 등 하락세를 계속하고 있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파악했다.

- 정리=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nag.co.kr

1527호 (2020.03.30)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