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생활

Home>월간중앙>문화. 생활

[심영섭의 심리학 교실] 혼자라는 것에 대하여 <외로움의 심리학> - 몸이 보내는 ‘경고등’ 고독(孤獨) 탈출법 

외로움은 최선이 아닌 차선, 고독한 사람의 내향성은 사회성의 거절이 아닌 적극적인 구애의 방증 … 모든 인간은 인간의 손길을 그리워한다 

심영섭 대구사이버대학교 전임교수
“그러나 한 가지 사실은 명심하라. 인간이란 고독에 대한 공포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문둥병 환자이건 죄수이건 악한 사람이건 병자 건 간에 사람의 머리속에 무엇보다 먼저 떠오르는 생각은 자기의 운명에 대한 공감자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그 생명 자체와 같은 충동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인간은 모든 삶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발자크(Balzac), 중에서

개미 새끼 한 마리 없는 호텔 방 침대에 고개를 숙이고 앉아 있는 여인이나 거대한 주유소 야경을 홀로 껴안고 주유기 앞에 달라 붙어있는 남자. 사실주의 미술가 에드워드 호퍼의 회화 속 인물들은 정적의 동선을 남긴다. 호퍼가 일찍이 예언했듯이 대도시의 침묵과 적막함, 텅 빈 거리와 검은 유리창 속에는 현대인의 고독이 짙게 깔려 있다.

미국에서 시행된 종합사회조사 ‘GSS(General Social Survey)’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미국인의 경우 더 사회적으로 고립됐으며 코어 네트워크는 더 작아지고 덜 다양해졌다. 인간은 수십만 년 동안 외로움을 피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현대는 외로움의 시대라 할 만하다. 존 카치오포 시카고대 교수는 자신의 저서 에서 20개의 질문을 통해 외로운 사람들과 사회적인 사람들을 나누고 이들의 신체 상태를 비교한 내용을 담았다. 놀랍게도 외로운 사람은 사회적인 사람에 비해 사고 능력 30%, 신진대사율 37%, 염증 억제력 13%, 소득 수준 8%가 저하돼 있었다. 이어 외로운 사람은 사회적인 사람에 비해 스트레스 수치 50%, 고혈압 발병률 37%, 심장마비를 일으킬 확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약 41%나 더 높게 나타났다. 즉 외로움은 감정에 해를 끼치는 것을 넘어 신체 건강이나 뇌의 인지, 판단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이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06호 (2015.05.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