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북한.국제

Home>월간중앙>정치.사회.북한.국제

[단독입수] 새정치민주연합 ‘2016 총선 전망보고서’ 

“내년 총선 때 광주에서 또다시 외면당할 수 있다” 

6월 초 의원 워크숍 때 배포 후 수거된 ‘대외비’ 선거자료 … 인구 구성비 변화, 진보성향 감소, 호남신당 출현은 새정연이 넘어야 할 ‘삼각파도’

▎6월 3일 경기 양평군 가나안농군학교에서 열린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단 워크숍 원탁토론’을 마친 뒤 주승용(왼쪽), 정청래 의원이 악수하고 있다. 5월 8일 새정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 의원이 “공갈사퇴”라며 주 의원을 비난하자, 주 의원은 문재인 대표의 만류를 뿌리치고 퇴장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 사진·뉴시스
뿌리 깊은 계파 간 갈등에 시달리고 있는 새정치민주연합이 지난 6월 2~3일 경기 양평군 가나안농군학교에서 1박 2일 워크숍을 열어 통합과 혁신을 모색했다. 당의 싱크탱크(Thing Tank)인 민주정책연구원의 원장을 맡고 있는 민병두 의원은 행사 둘째날 총선전략지도 구축방안(2016 총선 전망보고서) 발표를 통해 ‘2016년 총선 승리의 조건’을 과제로 제시했다. <월간중앙>이 당시 의원들에게 배포된 ‘2016 무엇으로 승리한 것인가’ 문건을 입수해 분석했다.

민주정책연구원이 만든 보고서 ‘2016 무엇으로 승리할 것인가’는 총 33페이지, 16개의 장(章)으로 구성돼 있다. 워크숍에 참석한 의원들을 상대로만 배포했다가 수거한 이 문건은 ▷인구 구성비 변화 ▷진보성향 감소 ▷호남신당 출현 가능성을 내년 총선에서 새정연이 넘어야 할 ‘삼각파도’로 규정했다.

인구 구성비 변화와 관련해 민병두 민주정책연구원장은 “20~40대가 모두 투표장에 나와도 50~60대가 나오면 (새정연이) 이기기 힘든 구조”라며 “내년 총선은 세대 전쟁으로 치르면 안 된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지난 2012년 대선 당시 연령별 투표율 집계 결과 50대가 1위, 60대 이상이 2위였다. 또 투표에 참여한 5070세대의 67% 정도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에게 표를 줬다.

2014년 6·4 지방선거 때의 투표율을 봐도 20대 48.4%, 30대 47.5%, 40대 53.3%인데 반해 50대는 63.2%, 60대는 74.4%, 70세 이상은 67.3%로 집계됐다.

민주정책연구원과 통계청에 따르면 제14대 대선이 치러졌던 1997년의 연령대별 인구 구성은 ▷19세~39세 55.3% ▷40대 18.4% ▷50대 이상 26.3%로 20~30대가 전체인구의 과반을 차지했다. 그러나 5년 뒤인 15대 대선 때는 ▷19~39세 49.5% ▷40대 22% ▷50대 이상 28.5%였고, 2012년 대선 때는 19~39세 38.2% ▷40대 21.8% ▷ 50대 이상 40%였다. 그리고 20대 총선이 치러지는 내년에는 ▷19~39세 36.2% ▷40대 20.3% ▷50대 이상 43.5%로 50대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의 절박에 육박한다.

민 원장은 이날 워크숍에서 “20~40대의 많은 참여를 이끌어내는 ‘최대화 전략’과 함께 50~60대에는 새정연의 호감도를 높이는 ‘우호화 전략’을 짜야 한다”고 제안했다.

호남유권자, 4명 중 1명만 “새정연 찍겠다”


워크숍에서 의원들은 당의 정체성과 혁신의 방향 설정에 대해 격론을 벌였다. 일부 의원은 “지금보다 더 진보적 어젠다를 제시해 지지층을 결집하고 그런 다음 외연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다른 의원들은 “(진보 성향의) 선명성 강화는 외연 확대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 그보다는 정부·여당의 정책 실책을 채울 수 있는 대안 정책을 적극적으로 내놓아야 한다”고 맞섰다. 서울에 지역구를 둔 한 중진의원은 “우리 당이 너무 좌(左)클릭을 하면 집권할 수 없다는 주장에 동의한다. 또 우리 당에는 그런 철학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민주정책연구원이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각종 여론 조사기관 등의 여론조사 결과를 취합·분석한 결과 2014년 현재 진보성향은 전체인구의 22.5%인데 반해 보수성향은 30.2%로 진보성향의 유권자가 8%포인트 가까이 적었다. 또 진보도 보수도 아닌 무당층은 절반에 가까운 47.2%인 것으로 조사됐다.


역대 총선 결과를 통해선 본 새정연과 새누리당의 확보 가능 의석 수(비례대표 제외)도 주목할 만하다. 소선거구제로 치러진 1988년 13대 총선부터 2012년 19대 총선까지 양당이 확보한 의석 수의 평균치 등을 분석한 결과 새정연은 최소 58석에서 최대 112석, 새누리당은 최소 98석에서 최대 128석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새정연의 심장부인 호남에서 유권자의 이반(離反) 현상도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정책연구원이 광주일보·한길리서치의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내년 총선에서 호남유권자의 26%만이 새정연 후보를 찍겠다고 답했다. 절반에 가까운 45.5%는 ‘잘 모르겠다’, 12.6%는 ‘무소속 후보를 찍겠다’고 응답했다.

지난 4·29 재·보선에서 새정연을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한 천정배 후보에게 압도적인 승리를 안겨줬던 광주 서을 유권자의 절반은 야권에서 제3당(신당)을 창당할 경우 지지할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정책연구원이 지난 5월 8일과 9일 이틀간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전화(유·무선)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구간 ±3.1%포인트)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49.1%가 ‘제3당을 지지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어느 당 후보를 찍겠느냐’에 대한 응답과 야권 신당에 대한 지지의사를 종합해보면 내년 총선 때 새정연이 또다시 광주에서 외면당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민 원장은 이날 워크숍에서 무소속 천정배 후보의 당선 사례를 들며 호남민심 이반 역시 내년 총선에서 새정연을 위협할 중대요소로 꼽았다. 그는 또 “무당파와 중도층 비율이 점점 늘어나는 반면 보수층은 박근혜 정권 레임덕 속에서도 충성도가 강하다”며 “이념적으로 진보성향의 유권자들이 줄어드는 것도 극복과제”라고 지적했다.

“그래도 야권분열은 안 된다”


지난 4·29 재·보선을 치렀던 4곳의 유권자만 놓고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4곳 모두에서 ‘야권후보를 단일화하는 게 좋다(전체평균 48.6%)’는 의견이 ‘야권후보를 단일화하지 않는 것이 좋다(14.9%)’는 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4곳 가운데 인천 서·강화을을 제외한 3곳은 새정연의 전통적 강세지역이다.

광주 서을의 경우 단일화 찬성이 58%인데 반해 단일화 반대는 13.5%에 그쳤다. 또 서울 관악을은 단일화 찬성 51.3%, 단일화 반대 14.3%, 성남 중원은 단일화 찬성 43.2%, 단일화 반대 17.2%, 인천 서·강화을은 단일화 찬성 41.7%, 단일화 반대 14.5%로 조사됐다.


▎<월간중앙>이 입수한 새정연 의원단 워크숍 문건 ‘2016 무엇으로 승리할 것인가’.
갈등을 빚고 있는 친노와 비노에 대해서도 갈라서는 것보다는 단합을 이루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재·보선을 치렀던 지역의 유권자 2792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7.7%가 ‘단합을 이뤄야 한다’고 답했고, ‘갈라서는 것이 좋다’는 응답자는 22.3%였다.

선거구별로 보면 광주 서을은 단합 82.8%, 결별 17.2%, 서울 관악을은 단합 76.1%, 결별 23.9%, 성남 중원은 단합 77.9%, 결별 22.1%, 인천 서·강화을은 단합 73.8%, 결별 26.2%로 나타났다.

새정연 관계자는 “의원들에게 배포됐던 ‘2016 무엇으로 승리할 것인가’에는 새정연이 처한 현실, 그리고 내년 총선의 불투명한 전망이 잘 드러나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일부 의원 사이에서는 ‘그래도 이 정도는 가능하겠구나’라는 안일한 인식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 최경호 월간중앙 기자

201508호 (2015.07.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