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생활

Home>월간중앙>문화. 생활

[김형중의 뮤지컬 오디세이(14)] 시공을 초월한 불멸의 사랑 '아이다' 

“수백 번 다시 태어나 당신을 반드시 찾아내겠어” 

조국 짓밟은 침략군… 이뤄질 수 없었던 아이다와 라다메스의 사랑
캐릭터의 글로벌화 등 디즈니가 새롭게 정착시킨 ‘트렌드’로 평가


▎뮤지컬 [아이다]는 [미녀와 야수], [라이온 킹]과 마찬가지로 해피엔딩의 드라마다. 애니메이션을 무대에 옮긴 듯한 세트, 팝 스타일의 음악이라는 디즈니의 ‘공식’은 [아이다]에서 다시 한번 발휘됐다. / 사진:신시컴퍼니
지난 2000년 세상에 나온 디즈니 뮤지컬 [아이다]는 우리가 알고 있는 주세페 베르디의 걸작 오페라가 원작이다. 디즈니는 당초 이 작품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 생각이었으나 뮤지컬로 방향을 틀었다. 디즈니로서는 자신들의 애니메이션을 뮤지컬로 업그레이드해온 관행에서 벗어나 외부 소재를 선택한 첫 시도였다. 아울러 가족 뮤지컬이 아닌 ‘어른 뮤지컬’ 제작에 처음 도전한다는 상징성도 있었다.

그 바탕에는 [미녀와 야수](1994)와 [라이온킹](1997)을 연거푸 성공시킨 자신감이 있었다. [라이온킹]에서 손발을 맞췄던 싱어송라이터 엘튼 존과 작사가 팀 라이스가 다시 뭉쳤다. 푸치니의 [나비 부인]과 [라 보엠]이 각각 뮤지컬 [미스 사이공]과 [렌트]로 거듭났듯이 베르디의 '아이다'도 디즈니의 손을 거쳐 뮤지컬로 태어났다.

[아이다]는 2000년 3월 뉴욕에서 초연돼 2004년까지 1852회 공연됐다. 전 세계 20여 개 나라에서 제작됐으며, 아직도 이곳저곳에서 투어 또는 라이선스 공연이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는 2005년 옥주현이 타이틀롤을 맡아 LG아트센터에서 초연된 뒤 꾸준히 무대에 오르고 있다. 올해에도 지난 5월, 서울 블루스퀘어에서 막을 올렸다. [미녀와 야수], [라이온 킹]과 마찬가지로 해피엔딩의 드라마, 애니메이션을 무대에 옮긴 듯한 세트, 팝 스타일의 음악이라는 디즈니의 ‘공식’은 [아이다]에서 다시 한번 발휘됐다. 디즈니는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고대 이집트와 현대를 종횡하는 판타지 블록버스터를 완성했다.

극장 안에 들어서면 푸른 바탕의 막(幕)에 그려져 있는 거대한 노란 눈동자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자세히 보면 동공은 지구 모양이다. 아프리카와 유럽의 윤곽이 보인다. 신비한 느낌을 주는 이 눈동자는 ‘호루스(Horus)의 눈’이라는 고대 이집트의 문양이다. 파라오의 왕권을 보호하는 상징으로 ‘모든 것을 보는 자’의 의미를 갖는다. [아이다]는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장군 라다메스와 공주 암네리스, 그리고 포로로 잡혀 온 적국의 공주 아이다의 삼각관계를 그린 비극이다. 고대 이집트가 배경이라 ‘호루스의 눈’이 관객을 맞이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불멸의 러브스토리로 환생한 오페라

잠시 이국적인 감상에 빠져 있던 관객들의 눈은 막이 오르면서 휘둥그레진다. 난데없이 요즘 시대 세련된 대형 박물관의 고대 이집트관이 무대에 펼쳐져 있기 때문이다.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이 연상된다. 박물관에는 여자 파라오 상(像)을 비롯해 사막에서 발굴된 돌로 된 무덤 상자 등 유물들이 전시돼 있고, 사람 몇 명이 여유롭게 관람하고 있다. 그러다 돌무덤 앞에서 두 젊은 남녀의 발걸음이 우연히 함께 멈춘다. 왠지 그 무덤이 낯설지 않은 두 사람. 서로 시선이 마주치자 고개를 갸웃한다. 어디선가 본 듯한 데자뷔 현상에 사로잡힌 것이다. 두 사람에겐 과연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이때 여자 파라오상이 천천히 움직이며 진열대 밖으로 나오면서 오프닝 곡 ‘모든 이야기는 사랑 이야기(Every story is a love story)’를 부른다. 이 작품의 테마곡이다.

모든 이야기는/새롭거나 오래되거나/사소하거나 예술적이거나/모두 다 사람의 이야기/모든 것은 마음속 사랑의 이야기 (…)

그녀가 잔잔하게 노래하는 사이 무대는 스르르 고대 이집트로 변한다. 남자는 전생에 이집트의 장군 라다메스, 여자는 누비아의 공주 아이다, 여왕은 파라오의 딸 암네리스다. 배우들이 서 있는 자세만 봐도 라다메스를 사이에 둔 삼각관계의 구도임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라다메스가 누비아 원정에서 돌아오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가 잡아 온 포로 가운데 공주 아이다가 있다. 오페라에서 아이다는 에티오피아의 공주였지만 뮤지컬에서는 누비아인으로 바뀌었다. 이것만 빼고 나머지 인물 설정은 대체로 비슷하다.

라다메스와 아이다는 적국의 장군과 잡혀 온 포로라는 어울리지 않는 사이지만 티격태격하면서 조금씩 사랑의 감정에 빠져든다. 라다메스의 진심을 알게 된 아이다는 그에게 서서히 마음의 문을 연다. 하지만 라다메스에게는 혼인을 약속한 공주 암네리스가 있다.

둘의 사랑은 처음부터 이룰 수 없었다. 아이다에게 라다메스는 조국을 짓밟은 침략국의 장군이다. 더구나 그녀는 평민도 아닌 공주다. 이 사실이 가족과 동포에게 알려지면 그녀를 어떻게 볼 것인가. 라다메스도 곤란하기는 마찬가지다. 파라오의 딸과 이미 약혼한 처지고, 아이다는 하찮은 일개 포로일 뿐이다. 부마 자리를 박차고 포로를 선택한다면 미친 사람 취급받기 딱 좋다. 그러나 상식을 거부하는데 사랑의 위대함이 있다.

아이다와 라다메스는 조국과 연인 중 하나를 택해야 하는 극한의 상황으로 나란히 몰린다. 라다메스의 부친인 조세르의 역모가 들통나면서 마침내 이 둘의 사랑도 수면 위로 떠오른다. 사랑해서는 안 될 운명에 도전했던 두 남녀에게 결국 올 것이 온다. 돌무덤에 함께 갇힌 두 연인은 불안과 공포에 떨면서도 서로를 응시한다. 라다메스가 “수백 번 다시 태어나 당신을 반드시 찾아내겠어”라고 맹세하는 가운데 돌무덤을 중심으로 무대는 조금씩 어두워진다.

질투에 빠진 암네리스, 젊고 예쁜 아이다


▎[아이다]는 시공을 초월한 러브 판타지라는 콘셉트에 맞춰 고대 이집트의 이국적인 미학과 현대의 감각을 조화시켜 색다른 스펙터클을 만들어냈다. / 사진:신시컴퍼니
캄캄한 무대가 밝아지면서 현대 박물관의 이집트관이 펼쳐져 있다. 환생한 라다메스와 아이다가 다시 등장한다. 관객들에게 첫 장면의 의문은 이미 풀려있다. 상자 앞에서 둘은 모든 것을 알고 있는 표정으로 서로 눈을 맞춘다. 수천 년 전에 못 이룬 사랑을 기어코 완성한다. 사랑은 영원불멸하다는 메시지를 담은 ‘모든 이야기는 사랑 이야기’가 다시 울려 퍼진다.

[아이다]는 이렇게 환생의 개념을 도입해 비극 오페라를 해피엔딩 뮤지컬로 바꿨다. [인어공주]에서는 결말을 바꿨고, [라이온킹]에선 ‘아버지를 죽인 삼촌과 그 사실을 알게 된 아들’이라는 틀만 가져와 드라마를 새로 쓴 반면, [아이다]에서는 이야기의 골격엔 손을 대지 않고 오페라에는 없던 현세의 장면을 앞뒤에 붙여 해피엔딩으로 포장했다. 디즈니의 해피엔딩에 대한 집착은 이렇게 [아이다]에서도 다시 한번 기발하게 재현됐다.

1871년 초연된 베르디의 오페라는 무거운 궁중 사극의 느낌이다. TV 사극에 비유하면, 암네리스는 질투에 빠진 중전이고, 아이다는 젊고 예쁜 희빈이다. 둘 사이에 낀 라다메스는 불안해하면서도 사랑의 감정을 어찌하지 못하는 인물이다. 반면 뮤지컬은 셋의 캐릭터를 밝고 긍정적인 인물들로 수정했다. 음모와 술수가 난무하고 피 냄새가 진동하는 치정극이 아니라 진실한 사랑과 자유를 찾아 나서는 젊은이들의 이야기로 새롭게 세팅했다.

세 명 가운데 암네리스의 캐릭터가 가장 크게 바뀌었다. 오페라에서 암네리스는 불같은 질투의 화신이다. 사랑하는 남자가 다른 여자에게 눈길을 주자 전전긍긍하며 분노에 치를 떤다. 그러나 뮤지컬에서 암네리스는 럭셔리한 아이템을 좋아하는 철없고 해맑은 아가씨로 등장한다. 암네리스는 처음엔 정혼자의 ‘외도’도 눈치채지 못할 만큼 순수하다. 아이다와의 관계도 적대적이지 않다. 시녀지만 애정을 갖고 대한다. 이런 암네리스에게 아이다는 ‘같은 공주로서’ 그녀의 고민을 이해하고 따뜻한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암네리스는 라다메스와 아이다의 관계를 눈치채고 나서도 해코지를 하는 것이 아니라 너그럽게 관용을 베푼다. 두 연인이 함께 무덤에 묻히도록 배려한다.

아울러 아버지에 이어 여왕으로 등극하면서 철없는 아가씨의 티를 벗고 한 나라의 당당한 지도자로 거듭난다. ‘꽃들의 전쟁’에 고통받는 질투녀가 아니라 자신의 인생을 개척해나가는 진취적인 인물이다. 오프닝 곡 ‘모든 이야기는 사랑 이야기’를 암네리스가 부르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아이다 역시 순수하고 당당하다. 노예로 잡혀 온 첫날 이집트 병사를 칼로 찌르고 탈출을 시도하는가 하면, 수건으로 등을 닦으라는 라다메스의 명령을 단호하게 거부한다. 라다메스의 진심을 알게 되면서 마음이 흔들리지만, 포로로 잡혀 온 자신의 백성들에 대한 책임감도 강하게 느낀다. 조국과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는 아이다의 모습은 그래서 인간적이다.

과거와 현재를 구현한 화려한 볼거리


▎뮤지컬 [아이다]에서는 [라이온킹]에서 손발을 맞췄던 싱어송라이터 엘튼 존과 작사가 팀 라이스가 다시 뭉쳤다. / 사진:엑세스 이엔티
라다메스도 아이다, 암네리스와 마찬가지로 순수한 영혼이다. 암네리스에 대해 마음의 부담을 느끼면서도 사랑을 위해 신분을 포기할 만큼 순정이 있다. 아울러 아버지 조세르가 파라오에게 조금씩 독약을 먹여 그를 없앤 뒤 자신을 새로운 파라오로 옹립하려는 역모를 꾸미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는 반기를 드는 정의의 사나이다.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밝고 진취적으로 수정함에 따라 뮤지컬 [아이다]는 오페라와는 완전히 다른 젊고 싱싱한 작품으로 태어날 수 있었다.

디즈니 뮤지컬의 또 다른 주인공은 무대다. 화려한 세트와 의상,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디즈니만의 스타일로 관객의 시각을 자극한다. [아이다]는 시공을 초월한 러브 판타지라는 콘셉트에 맞춰 고대 이집트의 이국적인 미학과 현대의 감각을 조화시켜 색다른 스펙터클을 만들어냈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화려한 색채감의 무대다. 애니메이션 전문가들이 만들어서 그런지 빨강·파랑·노랑·검정 등 원색이 선명하게 펼쳐져 있는 무대는 예쁘기 그지없다. 고대 이집트의 화려한 의상은 원색의 무대와 잘 어울린다. 암네리스의 파라오 의상은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주고, 붉게 물든 나일 강을 배경으로 물동이를 이고 가는 여인들의 실루엣은 은은하다. 아이다의 분홍 드레스도 색감이 부드럽다.

이 작품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은 암네리스의 수영장 장면이다. 공주 시절 암네리스의 럭셔리한 면을 보여주는 대목에서 무대 전체가 시원한 풀장으로 바뀐다. 수직으로 수영장 화면이 내려오고 수영복을 입은 배우들이 한가롭게 헤엄친다. 실제로는 공중을 유영하고 있지만, 수영하는 것처럼 보이게 꾸민 아이디어가 재미있다. 풍덩 빠지고 싶은 충동을 불러일으킬 만큼 물 색깔이 파랗다. 또 암네리스가 좋아하는, 기기묘묘한 첨단 의상이 총출동하는 패션쇼 장면은 관객들의 호응이 높은 볼거리다. 신나는 전자음악 속에서 배우들이 모델로 변신해 부지런히 캣워크를 한다. 시공을 뒤섞음으로써 시공을 초월한다.

너무 깎고 다듬은 탓에 팬시 상품 느낌도

작곡가 엘튼 존은 팝을 기반으로 레게·블루스·가스펠 등 다양한 대중음악을 활용해 [아이다]를 세련된 뮤지컬로 만들어냈다. 암네리스가 부르는 ‘모든 이야기는 사랑 이야기’는 팝 발라드이고, 아이다가 백성들과 함께 부르는 ‘신의 사랑 누비아(The Gods Love Nubia)’는 가스펠 풍이다. 또 아이다가 자신들을 이끌어달라는 백성들의 뜻을 받아들이며 부르는 ‘예복의 춤(Dance of the Robe)’은 아프리카 리듬을 담았다. 이 ‘예복의 춤’은 음악뿐 아니라 안무도 굉장히 파워풀하다. 누더기를 기워 만든 예복이 빙글빙글 돌면서 멋진 그림을 만들어낸다. 소명을 받아들이겠다고 절규하면서 아이다가 공중으로 내뻗는 손끝의 떨림은 매우 강렬하다. 라다메스의 아버지 조세르가 반역을 꿈꾸며 부하들과 추는 절도 넘치는 군무와 더불어 가장 인상적인 장면이다.

디즈니는 [아이다]에 이어 [메리 포핀스](2006), [타잔](2006), [인어공주](2008) 등을 내놓으며 브로드웨이를 주도해왔다. [라이온 킹]이나 [아이다]에 버금가는 히트작은 만들지 못했지만, 애니메이션이 아닌 TV 드라마를 원작으로 한 ‘하이스쿨 뮤지컬’을 제작하는 등 다양한 시도로 관심을 집중시켜 왔다.

디즈니 뮤지컬은 할리우드 영화와 마찬가지로 철저한 기획의 산물이다. 예술가 한두 명의 장인정신과 스타일로 채색된 작품이 아니라 철저한 시장조사와 트렌드 분석, 여러 사람의 아이디어가 결합해 만든 세련된 기업 뮤지컬이다. 해피엔딩 스토리, 팝스타일의 음악, 애니메이션을 펼쳐놓은 듯한 무대 등 자신들만의 전략과 공식으로 뮤지컬의 새 장을 열었다. 요즘 관객들은 내용보다 스타일을 중시한다는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런 디즈니 스타일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는 이들도 있다. 엄청난 제작비도 문제이고, 무리한 각색으로 원작의 향취를 훼손했다는 지적은 늘 따라다닌다. 스토리와 음악·볼거리가 깔끔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지만, 너무 깎고 다듬은 탓에 팬시 상품 같은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고자 하는 방향이 분명한 것은 디즈니의 장점이다. 가족 뮤지컬로 관객 연령층을 대폭 낮춘 점이나 캐릭터의 글로벌화를 일군 점 등은 디즈니가 새롭게 정착시킨 트렌드로 평가받는다. 뮤지컬이란 장르가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한 시도임에는 분명하다.

※ 김형중 - 공연 칼럼니스트. 연세대와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 20년 넘게 공연 담당 기자로 일했고 한국뮤지컬대상과 청룡영화상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무대예술의 경이로움을 글로 풀어내려고 애쓰고 있다. 쓴 책으로 [우리시대 최고의 뮤지컬 22]가 있다.

202208호 (2022.07.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