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방] ‘철의 조각가’ 최우람

물감 대신 테크놀로지로 그린다


▎최우람의 작업실 2층. ‘키네틱아트’는 작품 설계에서 시작된다.

서울 연희동에 있는 작가 최우람(41)의 작업실에는 ‘윙~’ 하는 기계음이 방안 가득하다. 쇠를 깎는 복잡한 기계 주변에는 온갖 종류의 나사와 이름 모를 공구가 쌓여있고, 책장에는 미술 관련서적 대신 <모터제어기술> <디지털제어시스템> 같은 공학 관련서적이 더 많이 눈에 띈다. 작가는 철공소를 방불케 하는 이곳에서 ‘어바누스’ ‘울티마 머드폭스’ ‘에코 나비고’ 같은 독특한 이름이 붙여진 기계생명체들을 만든다.

그 자신의 표현을 빌리자면 최우람은 “기술을 물감으로 사용하는” 작가다. 온갖 쇠붙이로 만화 혹은 SF영화에나 존재할 것 같은 가상의 생명체를 창조해낸다. 그의 작품 전시장에는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스틸로 만든 거대한 작품들이 차가운 빛을 발산하며 천천히 움직인다. 거기에는 컴퓨터로 제어하는 모터가 장착돼 있다.

최우람은 “사람들이 내 작품을 보고 실제로 이런 기계생명체가 살아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1998년 기계생명체 작업을 시작할 때만 해도 인간이 기계에 종속되는 현대사회에 대한 비판과 경고를 표현했어요. 모양새도 훨씬 날카롭고 공격적이었죠. 그런데 작업을 할수록 자연스럽게 방향이 바뀌더군요. 이미 우리는 기술 없이는 살 수 없는 사회에 있으니까요. 요즘은 일상으로 들어온 기계문명과 어떻게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을까를 작품 속에 녹여 넣습니다.”

현재 뉴욕의 ‘아시아 소사어티’ 미술관에서 전시 중인 ‘쿠스토스 카붐’이란 작품에서는 자신이 속한 세상에만 관심을 갖는 현대인의 모습을 표현했다. 그는 “멀리 떨어진 세상에 무관심한 사람이 많아졌지만, 작품 속에는 아직 소통 가능성이 있다는 메시지를 담으려고 노력한다”고 설명했다.

최우람의 작품처럼 기계에 감성을 입혀 생각을 표현하는 작업을 ‘키네틱아트(kinetic art)’라고 한다. 단지 그림이나 조각에 운동감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움직이는 작품을 말한다. ‘키네틱(kinetic)’은 ‘운동의’라는 뜻이다. 작품 대부분은 조각과 설치미술의 특징을 조금씩 갖는다. 1900년대 초반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큰 관심을 끌었던 미래파(futurism, 未來派)와 다다(dadaism)의 예술운동에서 파생돼 나왔다.

그는 한국을 대표할 ‘키네틱아트’ 작가다. 2006년 일본 도쿄 ‘모리미술관’ 전시를 계기로 최우람의 작품은 해외까지 널리 알려졌다. 국립현대미술관이 그의 작품을 소장했고, 중국 상하이비엔날레를 비롯한 세계적인 미술행사에도 참여할 기회가 생겼다.

명성이 커진 만큼 그의 작품 규모도 점점 커진 듯하다. 현재는 작가 지망생과 엔지니어 등 10여 명이 함께 작업에 참여한다. 그는 작품의 스토리를 만들고, 컴퓨터로 작은 부품들까지 일일이 작품을 설계한다. 그러면 직원들이 재료를 다듬고 조립하고, 마지막으로 엔지니어가 중앙처리장치(CPU)를 장착한다. 그 다음에는 설계한 대로 잘 움직이는지 실험해보고 보완한다. 이렇게 작품 하나를 완성하는 데 1년6개월에서 2년 정도의 긴 기간이 걸린다.

최우람은 대학 3학년 때 처음으로 움직이는 작품을 만들어보았다. 수업 중에 움직임이라는 요소를 작품에 넣어보면 어떻겠느냐는 담당교수의 제안을 듣고서부터다. 본래 조소를 전공한 그가 예술적 감성뿐 아니라 기계 관련 지식까지 요구하는 키네틱아트를 작업하기는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했다. 실패와 실패의 연속이었다.


그가 처음 만든 키네틱아트는 주물을 뜨고 용접해 덩어리를 만들고 그 위에 은박으로 만든 천을 덮은 뒤 천 아래에 모터를 장착해 덩어리가 ‘후루룩 후루룩’ 소리를 내며 움직이도록 한 것이었다. 하지만 작동한지 30분 만에 모터를 장착한 고무벨트가 끊어져버렸다.

최우람은 부족한 기계 관련 지식을 쌓으려고 대학 졸업 후 로봇 제작업체에서 3년간 디자이너로 일하기도 했다. 거기서 기계 관련 지식을 익히고, 동료 엔지니어들의 도움을 받으며 자신의 작품 만들기를 계속했다. 그도 모자라 학원에서 전자제어 관련 수업을 듣기도 했다. 그런데도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일이 멀게만 느껴졌다.

그는 결국 “직접 내가 기술을 익히기보다 실력 있는 엔지니어와 함께 일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도쿄 모리미술관 전시를 준비하면서 동료 엔지니어에게 “1년만 함께 일해보자”고 제안했다.

“전기전자공학과 출신도 대학 졸업 후 한참 경력을 쌓아야 CPU로 제어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어요. 기계를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방법, 기계제어 시스템 구성방법까지 고민해야 하거든요.”

재료비와 임금으로 쓸 자금을 마련하느라 여기저기에 손을 벌려야 했다. 이 결정은 작가에게는 배수의 진이나 마찬가지였다. “딱 1년 동안 해봐서 안 되면 작품 활동을 접겠다고 결심했어요.”

그의 간절한 희망 덕분인지 그의 작업실에도 한 줄기 빛이 들었다. 엔지니어의 도움으로 작품의 완성도가 눈에 띄게 높아진 것이다. 덩달아 최우람의 잠재된 창의성도 활짝 꽃을 피웠다. 그의 예술적인 감수성은 미술과 기술을 함께 체험한 부모님과 할아버지에게서 물려받았는지도 모른다.

최우람은 어질 적부터 서양화를 전공한 부모 밑에서 자라면서 미술과 꽤나 친숙했다. 로봇 만화를 즐겨 보면서 로봇 설계도를 그리기를 좋아했단다. 기계에 관심을 가진 데에는 한국 최초의 자동차인 ‘시발자동차’를 개발한 할아버지의 영향과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

그는 요즘 2월에 호주 퍼스 ‘존 커틴 갤러리’에서 시작되는 개인전 준비로 바쁘다. 하반기에는 서울 사간동 ‘갤러리현대’에서 개인전을 연다. “트위터·페이스북 같은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정보가 신속하게 퍼져나가면서 세계적으로 큰 변화가 생겼어요. 제 작품에서 그런 변화를 닮아내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