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시장이 움직이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격을 내려도 잘 팔리고 올려도 잘 팔리는 물건이 있을까. 적어도 대한민국에는 이런 예외적 품목이 하나 있다. 바로 명품이다. 7월 15일 프랑스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가 한·EU FTA(자유무역협정) 발효 이후 구두·가죽 제품 등의 관세 철폐를 이유로 가격 인하를 발표하자 현대·신세계 등 에르메스가 입점한 백화점은 주말 매출이 껑충 뛰었다.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7월 15~16일 에르메스 매출은 6월의 같은 기간보다 52.6%나 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무려 갑절이나 더 팔렸다. 할인율은 평균 5.6%에 불과해 1000만원짜리 가방 가격이 50만원 정도 떨어졌을 뿐이지만 매출 증대 효과는 폭발적이었다.
지난 5월 샤넬이 주요 제품 값을 20~25% 올린다는 소문이 돌면서 4월 백화점의 명품 매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무려 40% 이상 늘었다. 가격이 오르기 전에 사두려는 고객이 늘면서 ‘클래식 캐비어’ ‘2.55 빈티지’ 같은 인기 제품은 서울 매장에서 동이 나버려 서울 소비자가 지방 백화점에 ‘원정 쇼핑’을 가는 해프닝까지 벌어졌다. 그러는 가운데 샤넬 제품을 싸게 사 나중에 비싸게 팔 수 있다는 뜻에서 이른바 ‘샤테크’라는 단어까지 등장했다. 언론에서는 FTA 발효를 앞두고 가격을 올리는 명품 브랜드의 행태를 연일 비판하기 바빴지만 소비자의 선택은 반대로 갔다. 샤넬의 가격 인상 이후 루이뷔통과 프라다 등 주요 브랜드도 줄줄이 가격을 올렸지만 매출은 줄지 않았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