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PC의 대략 절반은 네이버가 인터넷 시작 페이지다. PC를 켜고 브라우저를 실행하면 네이버가 나온다. 사람들은 여기서 뉴스를 보고, 웹툰을 보고, 블로그를 꾸미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초록색 창에 검색어를 입력한다. 사람들은 네이버를 떠날 필요를 좀처럼 느끼지 못 한다. 네이버는 우리나라 검색 광고 시장의 70%를 차지한다. 네이버와 한게임을 운영하는 NHN의 2007년 매출은 9000억원 수준이었다. 지난해 매출은 2조원이 넘었다. 영업이익률은 30%에 이른다. 네이버를 통한 광고료는 3개 지상파 방송사를 합친 것보다 많다. 이런 고성장에 NHN은 이미 대기업이고, 일도 직원 관리도 대기업 방식으로 한다는 얘기는 꽤 오래 전부터 나돌았다. 네이버에서 오래 일한 한 고참 개발자는 “관리자가 외부에서 온 사람들로 채워지면서 요즘엔 1주일이면 끝낼 일을 한달 걸린다고 보고해도 아무도 모른다”며 “일하기 너무 편해졌다”고 친구들에게 말하고 다녔다. 한 인터넷 업계 관계자는 “그래서인지 언제부터인가 재미있는 네이버 서비스가 새로 나왔다는 말을 듣기 힘들어졌다”고 말했다. 혁신에 계속 도전하기보단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더 잘 하도록 쥐어짜는데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도 큰 상관은 없었다. 네이버의 매출은 계속 늘었고, 1등 자리는 굳건했다. 지난해 매출은 2조원을 넘었고, 시가 총액은 SK텔레콤이나 KT를 앞섰다.
그러는 사이 스마트폰이, 카카오톡이,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NHN을 압박하기 시작했다. 많은 사람이 ‘우리나라 1등은 네이버’라고 인정하지만 IT 업계에서 어느 순간 네이버의 혁신 얘기는 나오지 않았다.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자 이해진 NHN 이사회 의장은 위기론을 들고 나왔다. 그는 네이버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전략책임자(CSO)이다. 2000년대 초반 사람들이 PC로 인터넷을 이용하기 시작한 변화의 물결에 재빨리 올라 타서 오늘날의 네이버, 그리고 한국 인터넷을 만들어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