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News

도쿄 연안 부동산 벌써부터 들썩 

도쿄올림픽 돈 될까? 

7년간 150조엔대 경제 효과 기대 … 예산 낭비 우려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왼쪽)와 자크 로게 IOC 위원장이 9월 8일(한국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제125차 IOC 총회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일본 도쿄는 2020년 제32회 여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됐다.



스페인 마드리드시의 유치 가능성이 크다는 예상을 뒤엎고 일본 도쿄가 2020년 여름 올림픽 개최지로 결정됐다. 투표 전날인 9월 6일 밤까지 도쿄는 42표를 예상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투표 위원은 97명. 선정을 위한 과반수까지 7표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튿날 최종 투표에서 도쿄는 60표를 얻으며 이스탄불(36표)을 크게 웃돌았다.

아베노믹스 화살 보충하는 역할 기대

개최지 선정 후 초점은 그것이 일본에 경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가로 모아졌다. 닛케이지수는 도쿄 올림픽 결정 후 3일간 564엔(4%) 올랐다. 도쿄도는 2020년까지 7년간 직접적인 경제 파급효과가 약 3조엔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새 국립경기장, 수영장, 농구장 등 올림픽 관계 시설 20여 곳이 정비된다.

시장에서 올림픽 효과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크다. 다이와증권은 7년간 150조엔 이상의 경제 효과를 전망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도로 정비 등 기반시설 개선으로 55조엔, 관광업에서 95조엔의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며 “특히 관광은 아베노믹스의 성장 전략과도 시너지 효과를 얻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 정부는 연간 1000만명인 현재 방일 관광객을 3000만명으로 끌어 올릴 계획이다. 다이와증권은 이 움직임이 빨라질 것으로 본다. 올림픽 경제효과가 아베노믹스 제2의 화살, 제3의 화살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는 설명이다.

도쿄 연안의 부동산에도 올림픽 개최 결정 직후 문의전화가 급증했다. 지금까지 줄곧 상황을 지켜보기만 하던 고객들이 주택 구입을 결정하기 시작했다. 모델하우스 방문자 수는 올림픽 개최지 선정 전의 2배로 늘었다. 직원 수가 부족해 안내조차 쉽지 않을 정도의 성황이었다. 이 지역 주택이 건설될 장소는 선수촌이 생기는 곳 근처다. 대회 기간 동안 올림픽 분위기를 가까이서 느낄 수 있다. 이와 함께 주변 인프라 정비에 대한 기대감이 고객들의 주택 구매 욕구를 자극했다.

1964년 도쿄 올림픽 당시 경기장 건설 등 올림픽 운영에 들어간 돈은 295억엔이다. 도로나 신칸센 등 기반시설 정비에 9578억엔을 쏟아 부었다. 이번 대회에는 4554억엔을 웃도는 건설비용이 주변 정비에 사용될 전망이다. 이미 도쿄도는 올림픽 개최를 염두에 두고 ‘2020년 도쿄’라는 장기 비전을 내세우고 있다.

이에 따르면 2013~2015년 22개 정책에 2조7000억엔을 투자할 계획이다. 건설업계에서는 몇 년 전부터 계획해 왔지만 실현되지 않은 몇몇 개발계획이 빛을 보는 게 아닌가 기대한다. 나카야마 토시아키 도쿄 칸테이 수석연구원은 “올림픽이라는 대의명분이 없으면 실현될 수 없었던 공공사업이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스미다구 오시아게와 미나토구의 센가쿠지를 연결하는 11km 길이의 철도노선이 대표적인 예다. 나리타-하네다 공항 간 이동을 92분에서 50분 대로 단축하는 공사다. 그 외에도 도쿄급행전철인 우라타역과 게이힌 급행전철의 게이힌 우라타역을 연결하는 ‘가마가마선(蒲蒲線)’, 도쿄 도심을 둘러싼 환상8호선의 지하를 이용한 철도 ‘에잇라이너(8Liner)’ 등 올림픽 특수에 편승한 여러정비계획이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인건비 수준 높아 건설비용 부담

인프라 정비의 핵심은 경기장 전체의 60%가 모인 해안 지역일 가능성이 크다. 해안 지역의 중심인 다이바·아오미·아리아케 지구다. 이 지역은 부동산 업계로부터 “취약한 교통 인프라가 이곳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소리를 듣는다. 북쪽의 도요스나 아오미도 상황은 비슷하다. 아오미의 대형 오피스빌딩은 올해 초 대형 입주자가 퇴거했지만 아직 새 입주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철도 인프라 부족으로 통근시간대의 교통이 혼잡한 점이 입주자 유치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상황이 확 변할 수 있다. 해안 지역에는 경기장 외에도 선수촌이나 미디어 센터가 세워질 계획이다. 대량 인구 운송 능력 확보는 피할 수 없는 문제다. 정부나 도시 예산이 우선적으로 투입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미 도로·고속버스운송시스템(BRT)·철도 개발이 구상 중이다.

해안 지역의 인프라 개선은 교통뿐만이 아니다. 도쿄도는 국제회의장이나 호텔,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모은 복합형 마이스(MICE)산업 거점 건설을 계획 중이다. 관련 법안이 통과되면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형 리조트도 지을 예정이다. 이시자와 타카시 미즈호증권 부동산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해안 지역의 잠재력이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 3.3㎡ 당 250만엔 전후인 이 지역 주택 가격은 4~5년 내에 300엔까지 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것이 실수요를 동반한 가격 상승이라면 문제는 없다. 그러나 이미 일본에서는 현재 매물로 나온 주택을 사서 올림픽 직전에 비싸게 팔려는 투기 움직임도 나오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국지적인 버블 조짐이 보인다.

건축 비용 상승도 심각하다. 일본 국토교통성의 보고에 따르면 일본 건설업자 수는 1999년 60만명에서 지난해 47만명으로 감소했다. 반면 지진으로 인한 일본 토호쿠 지역 재건이 본격화하고 노후 인프라 개선이 더해지면서 현재 건설업자 수요는 증가 추세다. 이로 인해 일손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올해 7월 노동자 부족률은 2.4%에 달한다.

주택 분양 컨설팅 업체 토털브레인에 따르면 3년 전 한 가구 당 1600만엔이던 주택 건축비는 현재 1850만엔으로 올랐다. 여기에 올림픽 관련 수요 증가가 건축비를 더욱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미 건설업자 사이에서는 이대로는 집을 지을 수 없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히라야마 시게오 도시미래종합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인건비 상승에 따른 건축비 증가에 금리마저 오르면 모처럼 제대로 굴러가기 시작한 일본 경기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개발이 실수요를 동반하기 위해서는 아베노믹스의 제3의 화살, 즉 성장 바탕의 소득 증가가 필수다.

아베노믹스의 성장전략 26가지 중 11가지 항목이 2020년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해에 열리는 도쿄올림픽은 아베노믹스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하가누마 치사토 미쓰미시UFJ모건스탠리증권 주임은 “올림픽 개최는 일본의 성장전략 추진에 가시적 목표가 된 셈”이라고 말했다.

물론 위험도 따른다. 나가하마 제일생명 경제연구소 이코노미스트는 “올림픽이라는 명분이 있으면 예산을 쓰기 쉽고, 결국 구멍을 파는 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동일본 대지진 후 낭비된 재건 예산의 실수를 되풀이하는 꼴이다. 올림픽 예산의 폭주를 어떻게 막을 것인가. 이 질문이 앞으로 7년 간 일본이 풀어야 할 핵심 문제가 됐다.

마이스(MICE) 산업 기업회의(Meeting)·포상관광(Incentives)·컨벤션(Convention)·전시(Exhibition)의 네 분야를 통틀어 말하는 서비스 산업.

아베노믹스의 세 가지 화살 아베노믹스의 세 가지 핵심 요소인 양적완화(QE), 재정지출 확대, 성장 전략 추진을 말한다. 아베 신조 총리는 지난해 12월 취임하면서 옛날 일본 무사가 아들들에게 화살 한 개를 부러뜨리긴 쉽지만 세 개를 한꺼번에 부러뜨리기는 힘들다는 점을 보여주며 힘을 합쳐 가문을 세우라고 한 일화를 언급했다. 이어 일본 정부가 1990년 이후 20여 년 동안 시차를 두며 따로따로 실시한 양적 완화, 재정지출, 성장 전략 등의 정책들을 시차를 최소화해 밀고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 일본 경제 주간지 주간동양경제 특약

1208호 (2013.10.21)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