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뉴 노멀(New Normal)’에서 ‘뉴(New)’를 빼도 될 듯하다. 뉴 노멀 시대의 가장 큰 특징인 저성장과 저금리가 이미 피할 수 없는 현실로 굳어졌기 때문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으려던 세계 경제는 6년째 아기 걸음마 성장을 하고 있다. 신흥국 경제엔진조차 식었고 한국 경제도 예외는 아니다. 고성장은 옛말이 됐고, 잠재성장률 전망치도 흐릿하다. 내수 역시 활기를 못 찾고 있다. 시대가 변하면 투자의 관점과 전략도 바꿔야 한다. 주식·펀드·부동산 등 투자처별 해법을 모색해봤다.‘뉴 노멀(New Normal)’은 미국 벤처투자가인 로저 맥나미가 2003년 발표한 자신의 저서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다. 간단히 말해 고성장에서 저성장으로 세계 경제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이란 내용이다. ‘올드 노멀(Old Normal)’ 시대에 금융과 실물 경제의 높은 성장세를 바탕으로 세계 경제가 크게 성장했지만 위험투자의 증가, 자산가격 버블, 글로벌 불균형 등을 초래했다.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저성장과 정부 개입 확대를 중심으로 한 뉴노멀 시대가 도래한다는 것이다.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세계 최대 채권 운용사인 핌코의 전 CEO 엘 에리언이 저성장, 저금리, 소비 위축, 미국 비중 감소 등을 위기 이후의 뉴 노멀로 지적한 이후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2010년 1월 다보스포럼에서 뉴 노멀에 관한 별도 세션이 열리면서 관심은 더욱 커졌다.IMF·세계은행 잇따라 성장 전망치 낮춰그래도 이 때까진 ‘상당 기간 그럴 수 있다’ 혹은 ‘그런 징후가 보인다’ 정도였다. 그러나 뉴 노멀은 이제 끝을 가늠하기 힘든 ‘노멀’로 자리를 잡았다. 세계 경제는 금융위기로 성장세가 크게 꺾인 뒤 회복이 더디다. 세계 경제성장률은 2010년 5.2%를 기록한 이후 2011년 4.0%, 2012년 3.2%, 2013년 3.0%로 내리막을 탔다.올해는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등은 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하향 조정했다. 일단 선진국의 회복이 예상만 못하다.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은 잠정치(1.0%)보다 훨씬 낮은 -2.9%에 그쳤다. 이례적인 혹한의 여파라지만 시장의 기대가 컸기에 실망도 컸다. 도이체방크는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1%에서 2.3%로 대폭 낮췄고, 골드먼삭스는 1.2%에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유럽은 겨우 마이너스를 벗어난 수준이다. 김석규 GS자산운용 대표는 “유럽 경제의 회복 속도가 생각보다 더딘데 이는 과잉부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탓”이라며 “미국은 가계부채를 정상수준으로 돌려놨지만 유럽은 아직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 이 빚에 대한 부담이 제약 요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경제가 그럭저럭 회복 국면에 접어든 게 그나마 위안거리다.신흥국의 성장 열기마저 식었다. 2005~2011년 사이 매년 9.2~13.0% 성장하며 세계 경제의 엔진 역할을 했던 중국은 최근 2년 새 7%대 성장률에 묶여 있다. 올해 목표치도 7.5%다. 인도 역시 2년 연속 경제성장률이 5% 아래에 머물면서 비관론이 팽배한 상황이다.시장 친화적인 나렌드라 모디 정부가 들어선 이후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긴 했지만 외부의 시선은 아직 좋지 않다. 세계은행이 6월 발표한 ‘세계경제 전망(Global Economic Prospects)’에서 인도·브라질 등 신흥국 성장률을 종전 5.3%에서 지난해와 같은 4.8%로 낮춘 것도 이와 맥을 같이 한다.신흥국의 더딘 성장 속도는 한국과 같은 수출 국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박성욱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신흥국 수출 비중이 큰 우리나라는 수출 둔화에 따라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할 위험이 크다”고 말했다.세계적인 저성장 추세는 우리에게도 예외가 아니다. 1970~80년대 연 평균 9% 이상 성장했던 한국 경제는 1990년대 6.87%, 2000년대 4.43%로 평균 성장률이 점차 낮아졌다. 2011년 이후엔 3%를 오르내리고 있다. 한국은행은 올해 한국 경제가 4.0%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사실상 달성이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세계 경제 회복세가 더딘데다 원화 강세, 중국 경제 경착륙, 세월호 참사 여파 등 불안 요소가 많다는 이유에서다.한국개발연구원(KDI)이 5월 말 성장률 전망치를 3.9%에서 3.7%로 낮춘 데 이어 한국금융연구원도 전망치를 기존 4.2%에서 4.1%로 0.1%포인트 낮췄다. 한국경제연구원과 현대경제연구원도 각각 3.5%에서 3.4%, 4.0%에서 3.6%로 하향 조정했다. 조만간 수정 전망을 발표할 예정인 한은 역시 전망치를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잠재성장률은 더 걱정이다. 금융위기 이전 5%대를 유지했던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최근 3%대로 떨어졌다. 2020년대엔 2%대로 떨어지리란 게 많은 전문가의 예측이다. 잠재성장률은 한 나라의 모든 생산자원을 최대한 활용했을 때 달성할 수 있는 GDP 성장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