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News

7채당 한 집 꼴로 빈집 

핵가족화·독거노인 증가 등이 원인 … 매각·관리·유품정리 대행 사업 등장 

일본 경제 주간지 특약, 번역=김다혜

World 늘어나는 일본의 ‘본가(本家) 정리’ 비즈니스

도쿄에 사는 나츠노 키요히코(가명, 50대)는 얼마 전 시골의 마을 자치회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태풍으로 조부모가 살던 시골집의 지반이 무너져 이웃집으로 토사가 흘러 들어갔으니 처리를 해달라’는 것이었다. 이 집은 10년 전부터 비어 있다. 나츠노는 이튿날 시골집으로 향했다. 집을 허무는데 600만엔(약 5700만 원)이 들었다. 또 벽면 정비에 200만엔,이웃집 보상에 150만엔을 지불했다. 토지 매각도 간단하지가 않았다. 도쿄와 시골집을 10차례 이상 왕복해야만 했다.

나츠노와 같은 문제에 직면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부모의 유품 정리부터 상속, 빈 집 관리, 매각까지 일련의 과정을 ‘본가정리’라고 총칭한다. 특히 40대 이상 세대가 이 문제를 짊어지고 있다. 동양경제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811명 중 540명이 본가 정리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고작 집 정리 정도로 얕보면 큰 코 다친다. 세대 간 가치관까지 부딪히게 되는 본가 정리는 폭풍과도 같다.

친척 간의 분쟁으로 번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미쓰이 스미토모 신탁은행의 나카자와 코이치 수석재무컨설턴트는 “본가를 복수 인원이 공유 상속하는 것은 되도록 피해야 한다”며 “누가 살 것인지, 아니면 어떻게 매각할 건지 등 미리 대처 방법을 정해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일본의 빈 집
늘어나는 빈 집에 지자체도 관리 나서

과거에도 본가 정리 문제는 있었다. 장남이 집을 물려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핵가족화가 진행됐다. 사망한 부모가 살던 집은 빈 집 상태로 방치된다. 방치된 본가가 800만 가구다. 전체 주택 중 13.5%로 역대 최고치다. 7채 당 한 집 꼴로 빈 집이라는 소리다. 방치된 빈 집은 노후화도 빠르다. 이제는 지자체도 빈 집을 개인 문제로 치부할 수 없게 됐다. 빈 집의 적정관리 등을 의무화하는 조례 수는 2012년 1월 54건에서 올 4월 355건으로 늘었다.

5월 말 도쿄 오타구에서는 46년 된 연립주택이 행정기관에 의해 헐렸다. 행정기관이 소유자를 대신해 빈 집 철거를 대리집행한 것은 도쿄에서 최초다. 10년 전부터 빈 집이었던 이 건물은 쥐가 나오고 2층에서 콘크리트 덩어리가 떨어지는 일이 발생했다. 인근 주민은 “근처 길이 통학로라서 건물에 가까이 가지 말라고 아이들에게 주의를 줘야만 했다”며 “진작에 철거했어야했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오타구는 철거비용 약 500만엔을 소유자에게 청구할 예정이다.

차기 국회에서는 의원 입법으로 빈 집 대책에 관한 법안이 제출될 전망이다. 법안은 지자체가 빈 집 대책 계획을 만들도록하고, 철거 대리집행 요건도 완화하도록 할 것으로 보인다. 입법을 주도하는 자민당의 미야지 카즈아키 중의원은 “빈 집 문제가 여러 방면에 걸쳐있기 때문에 소관 기관이 불명확했다”며 “입법을 통해 빈 집 문제를 둘러싼 환경이 정비될 것”이라고 말했다.

빈 집 대책 법안도 제출 예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즈니스도 등장하고 있다. 요코하마에 사는 한 40대 남성은 “상속 받은 후쿠오카의 본가를 매각할 생각이지만 우선은 매각 시기를 지켜봐야겠다는 생각에 빈 집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후쿠오카 지역의 부동산 회사 미요시부동산은 2012년 빈 집 관리 서비스를 시작했다. 고령자 주택추진그룹의 구니 마사히로는 “이 서비스를 계기로 향후 이 집을 매각하거나 활용하려는 잠재 고객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실 관리 서비스만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많지 않다. 단,이 회사는 임대 관리를 본업으로 하고 있어 순찰·청소 동선에 빈 집을 포함시키는 형태로 서비스를 효율화 했다. 그렇지 않으면 월 1회 순찰, 택지 내 청소 등의 작업을 1만엔 이내 비용으로 처리하기는 어렵다는 게 업체 측의 설명이다.

유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 유품관리라는 명목으로 생전 정리까지 해주는 업체가 대부분이다. 유품관리 업체 릴리프는 원래 폐기물을 처리하는 업체로 2011년 유품관리 업계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거래는 약 1000건에 달한다.



유품관리는 이사 서비스와 비슷

유품관리 업체의 선택은 이사 서비스와 비슷하다. 여러 업체로부터 견적을 뽑아 운영 경험이나 서비스 수준을 비교한다. 보통 폐기물 건당 1만엔의 비용이 든다. 단, 유품관리 서비스만의 주의점도 있다. 저가 업체들 중에서는 폐기물 처리의 전문 지식이없는 경우가 있다. 불법 폐기를 하는 곳도 있어 나중에 의뢰인측에 책임이 돌아가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견적은 10만엔이었는데, 나중에 30만엔을 청구하더라’ ‘소취·소독 비용이 추가돼 100만엔이 청구됐다’는 등의 사례도 있다. 추가 작업에 드는 비용을 사전에 제시하는 업체를 선택하는 게 좋다.

유품관리업에는 특별한 자격증이 필요 없다. 재활용품 처리인허가를 얻은 업자가 선호된다. 불필요한 물건을 사서 견적요금에서 빼주기도 한다. 통장이나 권리 증서 등 중요 서류는 업체의 정리 전에 찾아두는 게 좋지만, 찾지 못한 경우 업체에게 미리 말을 해두면 정리 도중 찾아준다. 업체에 따라 옷 주머니나 작은 서랍, 장식품 속까지 빈틈없이 체크해 주기도 한다



빈 집-유품 정리에 고생한 사연

부모 반발에 사전 준비 힘들어

본가 정리의 어려움은 경험해 본 사람만이 안다. 부모가 살아있는 동안 정리하면 무엇을 버리고 남겨둘지 상의할 수 있고 시간적 여유가 있어 좋다. 하지만 부모라고 해도 속 마음은 다르게 마련. 물건에 대한 가치관이 전혀 다른 경우도 있다. 본가 정리를 경험한 이들의 현실적인 얘기를 들어봤다.

①올해 87세 어머니를 둔 스즈키는 2층짜리 목조건물인 본가 문제로 골머리를 썩고 있다. 아버지가 사망한 지는 30년. 어머니도 나이가 들어 혼자 지내기 어려워졌다. 어머니를 양로원에 모신 뒤 “집을 정리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넌지시 말을 꺼냈다. 5년 전 처가도 비슷한 문제로 고생한 경험이 있어 미리 일부라도 정리해 고생을 줄이고 싶어서다. 그러나 어머니의 대답은 “안 된다”였다. 정리는커녕 “집에 손도 대지 말라”며 강경하게 나왔다. 외아들인 스즈키에게 재산을 생전에 증여할 생각도 없다.

“일찍 물려주면 자식들의 태도가 바뀐다”는 말을 지인들에게 들은 모양이다. 이런 상황이니 빈 집은 물론 다른 재산도 정리를 못하고 있다. 이미 스즈키도 60대 후반이다. 스즈키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집 문제를 해결할 사람이 없다. 상속에 대한 문제는 자기 대에서 끝내고 싶지만 시간이 없어 초조하다. 스즈키는 “다만 내가 어머니보다 오래 살기를 바라는 수밖에 없는 것 같다”고 푸념했다.

②니시무라는 70대 아버지와 2011년부터 함께 살고 있다. 그동안 분가해 살았지만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 아버지 혼자 지내는 도쿄 시내 고급 주택가의 본가로 들어가게 됐다. 그러나 본가는 어느 방이나 물건으로 넘쳐나 식구들의 물건을 수납할 공간이 부족했다. 니시무라는 본가 정리를 시작했지만 3년이 지난 지금도 충분히 정리되지 않았다. 가전제품이나 가구, 어머니 유품을 아버지가 처분하려 하지 않아서다. 쇼핑을 좋아한 어머니가 대량의 유품을 남겼다.

자식들이 입던 옷이나 학교에서 만든 공작품·그림·사진·편지 등으로 집안이 꽉 찼다. 니시무라 자신도 선뜻 버리기 힘든 물건들이지만 현실적으로 이것들로 인해 생활에 지장이 생겼다. 아내는 물건을 과감히 버리는 성격이다.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정리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그러나 아버지는“어머니와의 추억을 함부로 버릴 셈이냐”며 노발대발 한다. 보관소 임대도 생각해봤지만 유지 비용이 만만치 않다.

③다네다의 아내 다마에는 4자매 중 둘째다. 가나가와현에 있는 아내의 본가는 2000년부터 빈 집이었다. 양친 사망 후 4자매가 공동 상속했다. 줄곧 아무도 살지 않다가 다네다의 아들 히데키가 이 집을 2006년 구입했다. 8년이 지난 지금도 본가에는 식기·가구·의류 등 유품이 산더미같이 쌓여 있다. 히데키는 조부모와 함께 사는 듯한 기분이다. 올 봄 퇴직한 다네다가 집안 정리를 돕기 시작했지만 아직도 처리할 물건이 많이 남았다. 몇몇 유품은 다네다와 히데키가 판단하기 어려워서다.

처가의 자매들이 정리하도록 부탁해야 한다. 그러나 이들이 모두 모이는 건 고작 2~3달에 한 번 정도다. 그나마도 서로 추억 얘기를 하느라 바빠 작업이 진행되지 않는다. ‘불단도 처리가 마땅치 않다. 사는 사람이 가족인지라 무른 구석이 있다. 다네다는 작업 속도를 높이고 싶지만 집안 사람들인 만큼 강제적으로 밀어붙이다가 반발을 사기는 싫다.

④지난해 사노는 본가 정리를 한 달 만에 끝냈다. 사이타마현의 집에는 70대 아버지와 60대 어머니가 산다. 역에서 멀어 차가 없으면 생활이 불편한 곳이다. 고령의 부모님을 위해 편리한 장소로 이사를 결심했다. 집을 팔려고 내놨는데 바로 산다는 사람이 나왔다. 문제는 구매자가 바로 집을 비워달라고 요구한 것이다.

살던 집은 430㎡, 이사 갈집은 230㎡라 많은 짐을 버려야 했다. 바로 정리를 시작했지만 30년동안 산 집의 물건의 양은 장난이 아니었다. 가족들과 상의해가며 하나하나 처분했다. 가장 큰 짐은 종이박스에 가득 찬 앨범이었다. 옛날앨범은 부피가 크다. 비디오테이프도 몇 박스나 있었다. 시간이 촉박해 스캔하거나 DVD로 만들지 못하고 새 집으로 가지고 갔다. 대형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어머니는 차로 40분 거래를 몇 번씩이나 오가야 했다.

1254호 (2014.09.22)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