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들어 한국 경제가 만만찮아 보인다. 주가는 떨어지고, 경영 전망은 영 밝지 않다. 은행에 돈을 넣어두자니 실질금리는 마이너스고, 그렇다고 마땅히 투자할 데도 없다. 퇴근 길, 오랜 친구라도 불러 술 한잔 해볼까. 불현듯 떠오르는 소설이 있다. 현진건의 다.
“그 몹쓸 사회가, 왜 술을 권하는고!” 남편이 홧김에 집을 나가버리자 아내는 절망한 어조로 이렇게 소근거린다. 예나 지금이나 갑갑한 사회는 술을 부르게 마련이다. 이 작품은 현진건이 1921년 개벽지에 발표한 단편 소설이다. 배경은 당시의 식민지 조선이다. 무력할 수밖에 없는 식민지 지식인의 고뇌를 담고 있다. 유위유망(有爲有望, 쓸모도 있고 희망도 있음)한 뇌를 가졌으나 어디 쓸 데가 없는 지식인은 술 말고는 위안을 찾을 곳이 없었다.
소설 속 술 취한 남편 행각은 현진건 자신을 의미한다고 한다. 현진건은 1915년 16세의 나이로 두 살 연상과 결혼했다. 그 뒤 일본으로가 도쿄 세이조 중학교를 다니지만 중퇴한다. 그는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후장대학에서 독일어 공부를 한다. 상하이는 독립투사로 활동했던 셋째형 정건이 있었다. 조국에서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기대를 품으며 귀국한다. 하지만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이듬해 그는 신문기자가 된다. 그는 소설도 써댔다. 술을 원체 좋아해 갖가지 기행을 남겼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