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무총리가 대국민담화를 통해 부패 척결을 선언한 후 대통령이 “비리의 뿌리를 찾아내서 그 뿌리가 움켜쥐고 있는 비리의 덩어리를 들어내야 할 것“이라고 다시 한번 반부패의 강한 의지를 천명했다. 그리고 거의 동시에 포스코건설을 비롯한 여러 대기업에 대한 수사가 시작됐다.
포스코건설의 경우 이제 막 수사가 시작된 사안이라 논평하기에는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지만, 기업의 부패 근절과 관련된 최근의 사태를 통해 우리의 기업, 특히 글로벌 기업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첫째, 언제나 지배구조는 중요하다는 점이다. 포스코는 창립 초기부터 정치권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정권 교체기에 거의 예외없이 최고경영자가 이러저러한 이유로 바뀌었다. 정치적 압력이 있었음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정황이다. 부패에 관한 수사가 정치 보복 혹은 대기업 길들이기 등과 같은 여러 의혹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로 아직도 우리 사회가 진정한 선진국이 되기에는 갈 길이 멀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정부도 그런 의혹이 전혀 근거 없는 것인지, 근거가 없다면 왜 그렇게 생각하게 했는지 진지하게 고민하고 반성해야 한다. 기업도 지배구조와 행동의 투명성을 확보해 그런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기업과 사회의 이익을 위해 맞설 수 있는 당당함이 있어야 한다.
둘째, 기업의 부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처벌의 수위도 강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의 ‘해외부패방지법(FCPA)’의 강력한 적용이나, 2010년 영국의 ‘뇌물법(The Bribery Act)’ 제정 등이 눈에 띄는 변화들이다. 존경받는 진정한 글로벌 기업이 되려면 부패 문제에서 한 점 부끄러움이 없어야 한다. 포스코건설은 포스코가 지분의 90%를 소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번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 의혹은 글로벌 기업으로서 포스코의 명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더구나 포스코는 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돼 있기 때문에 미국의 ‘해외부패방지법’의 적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