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글로벌 헬스케어 동향] 미국에서도 바이오시밀러 시장 열려 

제약사 과도한 이익에 제동... 유전자 치료로 시장 확대 

김주홍 미래에셋증권 VIP해외주식팀장
2015년 하반기 국내 주식시장을 뜨겁게 달구었던 뉴스 중의 하나는 한미약품의 사노피 아벤티스와의 5조원 규모, 얀센과의 1조원 규모 기술 수출 계약이었다. 이에 힘입어 국내 시장에서의 제약·헬스케어 업종에 대한 재평가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해외 증시에서도 마찬가지로 화이자가 헬스케어 인수합병 역사상 최대 규모인 1500억 달러에 앨러간 인수를 추진했다(조세회피 규제로 무산). 이어 올해 1월에는 희귀질환 치료제 전문 제약회사인 샤이어가 미국의 바이오제약회사 박스알타를 320억 달러에 인수하는 등 세계 글로벌 제약사와 바이오텍(Biotech) 간의 합종연횡이 줄을 잇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향상, 의료기술의 발전 등도 있지만 인류가 유례없이 맞이하게 된 인구 고령화에 따른 시장 규모의 확대가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20세기 초부터 발전을 거듭해오던 생물학은 1970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계기로 도약했고, 이에 따라 분자생물학 또는 생명과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지금의 미국 바이오텍 회사들의 역사가 길지 않은 이유는 이와 같이 기술 발전의 시기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처럼 짧은 기간에도 세계 유수의 글로벌 제약사들을 위협할 만큼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뤄낸 배경에는 바이오 신약이 있다. 기존의 수십여 종의 제품 군으로 매출을 구성하는 제약사와는 달리 바이오텍 기업은 확실한 한 두 품목의 제품으로 큰 매출액을 올린다.

바이오 의약산업에 대해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난제는 리스크가 크다는 것과 강력한 규제를 받는 사업이라는 것이다. 신약 개발상 단계별로 리스크가 도사리고 있어 중간에 실패하는 제품이 수두룩하다. 화학 의약품의 경우 1만 가지 후보물질 중 임상실험에 끝까지 갈 수 있는 물질은 한 가지 밖에 되지 않는다는 통계도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리스크 관리기법의 발전으로 실패율이 낮아지고 있다. 바이오 의약의 특성에 맞춘 리스크 관리로 성공 확률이 높아진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신약 가격 상승에 대한 제재도 한몫을 하고 있다. 올해 11월 대선을 앞둔 미국 민주당의 후보들은 제약사의 과도한 이익 추구에 대한 제동을 걸고 있으며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보험 확대를 유지하는 오바마케어에 대한 지지 입장을 보내고 있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제약사의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투자 확대 및 캐나다의 저가 처방의약품 수입을 촉구하고 있고 바이오신약의 복제약인 바이오시밀러를 통해 약값 인하를 유도하고 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335호 (2016.05.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