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박용삼의 ‘테드(TED) 플러스’] 한 소년의 간절함에서 탄생한 소박한 발명품 

 

박용삼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 yspark@posri.re.kr
진정한 혁신은 절실함에서 나와 … 창의력 죽이는 한국의 교육 시스템

▎ⓒted.com
리차드 투레레는 아프리카에 사는 마사이족 소년이다. 마사이족이라고 해서 날카로운 창을 들고 얼굴에 붉은 칠을 한 모습을 떠올리면 큰 오산이다. 세상이 변했다. 투레레 가족들은 케냐 나이로비 국립공원의 남쪽 사바나 지역에서 소를 키우며 산다. 마사이 부족 사회에는 가축은 하늘이 내린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에 마사이족은 가축을 가족처럼 여긴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마사이족 빈민층에게 가축, 특히 소는 재산 1호이기도 하다. 투레레 마을에서는 주로 6살부터 9살까지의 아이들이 소를 돌본다.

문제가 하나 있다. 나이로비 국립공원은 따로 담장이 있는 게 아니라서 사자 같은 포식동물의 습격을 막을 방법이 마땅치 않다. 특히 근래 들어 사자들의 공격이 잦아졌고, 한밤중에 소가 줄줄이 죽어나가는 일이 발생했다. 투레레는 사자가 미웠다. 하지만 미워하는 것만으로는 문제 해결이 안 된다. 어떻게든 소들을 지킬 방법을 찾아야 했다. 가난한 마사이 소년은 과연 어떻게 사자들을 몰아낼 방법을 찾았을까.

소도 살리고, 사자도 살리고


▎마사이 소년 리차드 투레레가 어떻게 ‘사자를 쫓는 광선’을 발명하게 됐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투레레가 처음 생각해 낸 아이디어는 불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사자가 불을 무서워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별 소용이 없었다. 불은 오히려 사자들이 외양간을 더 잘 볼 수 있게 할 뿐이었다. 투레레가 생각해 낸 두 번째 아이디어는 허수아비였다. 하지만 사자들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첫날에는 허수아비를 보고 그냥 돌아갔지만, 다음날 와서는 허수아비가 움직이지 않는 것을 눈치채고 거침없이 소들을 물어 갔다.

새로운 방법이 필요했다. 어느 날 밤 투레레가 횃불을 들고 외양간 근처를 돌고 있었는데, 웬일인지 사자들이 덤비지 않았다. 사자들은 움직이는 불빛을 무서워 했던 것이다. 유레카! 그때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다음날 아침 일찍부터 투레레는 주변의 고물들을 뒤지기 시작했다. 우선 오래된 자동차 배터리와 오토바이 방향 깜박이, 켰다 껐다를 반복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깨진 손전등에서는 아직 쓸만한 전구들을 구할 수 있었다. 이 재료들을 가지고 일명 ‘사자불(lion lights)’이 만들어졌다. 우선 태양광 패널에 전선을 연결해서 배터리를 충전한다. 배터리에서 나온 전력으로 전구에 불을 밝히고, 스위치를 이용해 전구들이 순서대로 점멸하게 했다.이 전구들을 사자들이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늘어 놓으면 된다. 밤에 사자들이 와서 보면 불빛이 일렬로 번쩍여서 마치 사람이 횃불을 들고 외양간 주위를 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사자불을 설치한 다음부터 한 번도 사자의 습격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사자불의 효력을 눈으로 확인한 이웃들의 부탁으로 투레레는 마을의 일곱 가구에 사자불을 설치해 줬다. 이게 끝이 아니다. 투레레의 발명품은 케냐 전역에 퍼져서 사자뿐 아니라 하이에나, 표범 등 다른 포식동물들의 접근을 막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코끼리 떼가 농장으로 접근해서 농작물을 밟지 못하게 하는데도 사용되고 있다. 상투적이고 편협된 생각의 굴레에 갇히지 않았기 때문에 실생활에 두루 요긴하게 쓰일 수 있는 참신한 발상이 나온 것이다.

사자불을 발명한 덕분에 투레레는 장학금을 받고 케냐의 최고 학교 중 하나인 브룩하우스 국제 학교에 다니고 있다. 투레레는 친구들을 고향 마을에 데려가서 사자불의 원리를 직접 보여주고, 인근의 다른 마을에 함께 설치해 준다고 한다. 학교 차원에서도 가축 보호를 위한 모금 활동을 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에 대한 인식을 키우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해 돕고 있다.

사바나 초원에서 소떼를 몰던 한 소년의 간절함, 그리고 거기서 태어난 소박한 발명품이 테드 강연장을 감동과 기쁨으로 물들였다. 기술 그 자체를 위한 기술이 아니라 생활밀착형 고민 해결의 산물이었기에 더더욱 값져 보인다. 진정한 혁신은 삶의 절실함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다. 투레레의 사자불이 더욱 기특한 것은 소도 살리고, 사자도 살린다는데 있다. 소와 사자,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데에서 소년의 때묻지 않은 순수함과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

투레레는 테드 강연에 초청을 받은 덕분에 난생 처음으로 비행기를 타 봤다고 한다. 소떼를 몰다가 머리 위로 날아가는 비행기를 볼 때마다 언젠가는 자신도 비행기를 꼭 한번 타 봤으면 했는데 사자불 덕분에 평생 소원을 이룬 것이다. 투레레의 새로운 꿈은 비행기 엔지니어가 되는 것이라고 한다. 사바나 평원에서 고물들을 가지고 그가 만들 비행기가 벌써 궁금해진다.

4차 산업혁명은 창의력 싸움


▎투레레가 직접 그린 사자불 개념도.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살 길은 창의력뿐이다. 빠른 추격자 전략은 시효를 다했다. 이제 스티브 잡스나 제프 베조스처럼 세상에 없던 무언가를 만들어 내야만 한다. 그렇다면 결국 머리 싸움이다. 헌데 어쩐다. 머리 좋기로 유명한 한국의 초중고 학생들은 그 좋은 머리를 닥치는 데로 외우고 정답 맞추는 요령을 익히는데 쓰고 있다. 대학에 가서도 시사상식을 외우고 취업시험을 준비하는데 진이 빠져 창의력을 발휘할 이유도, 계기도 찾지 못한다. 막상 직장에 취업해도 ‘모나면 정 맞는’ 분위기와 관료적이고 경직된 시스템에 몸과 머리를 끼워 맞추고 있다.

이래서는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 교육 제도를 비롯한 한국 사회의 전체 시스템은 과거 산업화 시대의 요구에 기가 막히도록 잘 맞춰져 있다. 어딘가 정답이 존재하고, 그 정답을 찾을 때까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낭비를 최소화하는 체제다. 그 덕분에 짧은 시간에 이만큼 쫓아온 건 분명하다. 기적이라는 말이 결코 과하지 않다. 허나 지금까지의 체제가 족쇄가 되어 우리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제 나비처럼 껍질을 벗어야 한다. 그래야 날 수 있다.

그나저나 멧돼지들이 이제는 겁도 없이 서울 한복판에 출현하고 있다. 얼마 전에는 광화문 정부청사를 유유히 지나 세종대왕 동상 앞까지 내려왔다고 한다. 엽사를 동원해서 사살하는 것으로는 증가하는 개체 수를 당해내지 못한다. 아프리카의 사자불처럼 사람도 살고, 멧돼지도 사는 기발한 방법은 어디 없을까.

박용삼 - KAIST에서 경영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거쳐 현재 포스코경영연구원 산업연구센터 수석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신사업 발굴 및 기획, 신기술 투자전략 수립 등이다.

1383호 (2017.05.08)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