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김종명의 샐러리맨 코칭스쿨] 상사는 존재 자체로 불편하다 

 

김종명 리더십코칭연구소 대표
상대에게 얼마나 불편한 존재일지 파악해야...상대가 즐겁도록 노력하는 게 관계 유지의 비결

▎ 사진:ⓒgetty images bank
“코치님, 어떻게 하면 계급장 떼고 대화할 수 있을까요?” 예전에 코칭했던 박아무개 사장의 질문이다. 그런데, 이게 가능할까? 호랑이가 토끼에게 편하게 지내자 한다고 그게 가능하겠는가? 호랑이는 존재 자체로 토끼의 생존을 위협할 뿐이다. 마찬가지다. 사장이 계급장을 떼고 직원들과 편하게 대화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다. 직원들에겐 사장은 그냥 불편한 존재다. 팀장이 없는 날은 팀원들에겐 어린이 날이라고 한다. 팀장들이 없는 것만으로도 정말 편하다. 무두일(無頭日, 우두머리가 없는 날)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직원들에겐 국경일에 버금가는 날이다. 팀장이 꼭 나빠서 그런 게 아니다. 팀원들에게 팀장은 그냥 존재 자체로 불편할 뿐이다.

어느 시청 국장 이야기다. “코치님, 우리 집은 문제가 심각한 것 같습니다. 아내와 아이들은 자기들끼리 재밌게 이야기 하다가도 제가 들어가면 입을 닫아버립니다. 그리고 또 제가 안방으로 들어가면 편안하게 대화하다가 제가 거실로 나오면 또 아무 말을 하지 않습니다. 이게 어떻게 된 걸까요? 이걸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래도 이 분은 가족들이 자기를 불편해하고 있다는 걸 알고는 있다. 사실은 자기가 이런 대접을 받고 있는 것조차 모르는 아버지가 더 많다. 내가 물었다. “국장님은 예전에 아버지가 편하게 느껴지셨나요?” “예. 저는 아버지가 불편하지 않았습니다. 아버지는 권위를 내세우지 않는 분이라 친구 같이 편하게 지냈습니다.” 이게 바로 이유였다. 이 국장은 자신의 존재가 주는 불편함을 모르고 있었다. 친구 같은 아버지? 그게 가능할까? 아무리 그래도 아버지는 친구가 아니다. 아버지란 존재가 오죽 불편하면 친구 같은 아버지라는 말이 생겨났을까? 아버지는 친구가 아니라 그냥 아버지일 뿐이다. 이걸 알아차리지 못하고 거스르려고 하면 문제가 생긴다. 아마도 이 국장도 그런지 모른다.

TV에서 가수 배철수씨와 음악평론가 임진모씨가 대화하는 걸 들었다. 임진모씨가 자기는 친구 같은 아버지가 되려고 노력한다고 했다. 그래서 아이들과 일주일에 4번 정도 저녁을 먹는다고 했다. 배철수씨가 깜짝 놀라면서 물었다. “너희 애들은 친구가 없냐? 왜 아버지가 친구가 돼야 하니?” 배철수씨의 말이 신선하게 느껴졌다. ‘아버지는 그냥 아버지이지, 친구가 아니다.’

아버지는 그냥 아버지이지, 친구가 아니다

맞는 말이다. 각자 자기 존재 위치를 잊으면 곤란하다. 아버지가 아들을 친구처럼 생각하고 아들 모임에 따라다니고, 아들 친구들과 술도 같이 마시면 어떻게 될까? 옛날 사람들은 이를 일컬어 주책없다고 했고 채신머리없다고도 했다. 회식할 때 최고로 환영받는 상사는 카드만 주고 자기는 참석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한다. 두 번째로 환영받는 상사는 참석하긴 하지만 구석에 앉아서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조용하게 음식만 먹는 사람이라고 한다. 그리고 세 번째는 비록 1차에서는 함께 즐기지만 2차엔 절대로 따라가지 않는 상사라고 한다. 이건, 상사가 나빠서가 아니다. 상사는 상사라는 이유만으로 그냥 불편하기 때문이다. 이걸 거스르려고 할 땐 문제가 생긴다.

가끔 눈치 없는 상사가 있다. 회식 때 가운데 앉아서 술잔을 따르고 건배를 외치고 일장 연설을 하면서 좌중을 좌지우지하는 사람이다. 한술 더 떠서 회식자리에서 업무지시를 하는 사람도 있다. 이런 사람들은 구제불능이다. 그 어떤 구세주가 와도 이런 사람들은 구원받을 수 없다고 한다. 그들은 알아차림이 없어서 구세주가 온 줄도 모르기 때문이다.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에게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미친다. 즐거움을 줄 수도 있고, 두려움을 줄 수도 있다. 불편함을 줄 수도 있고 편안함을 줄 수도 있다. 언제 어디에서든지 자기가 그 자리에서 어떤 존재인지, 다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모르면 곤란하다.

S보험회사 차아무개 전무 이야기다. 차 전무가 근무하는 사무실은 17층이다. 엘리베이터에서 내려서 사무실에 들어가면 차 전무가 있는지 없는지 금방 알 수 있다. 차 전무가 있으면 직원들은 고개를 들지 않는다. 사무실 맨 안쪽에서부터 출입문으로 걸어 나가면서 차 전무는 눈을 마주 치는 직원들에게 온갖 업무 지시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직원들은 차 전무와 눈을 마주치지 않으려고 한다. 차 전무가 사무실에 있을 땐 고개를 숙이고 컴퓨터만 본다. 차 전무가 사무실에 없으면 직원들은 고개를 들고 희희낙락한다. 이런 사실을 차 전무만 모르고 있다. 자기가 직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모른다. 차 전무는 자신이 왕따를 당하고 있는지 모른다. 자신이 독재자라는 건 더욱 알지 못한다.

얼마 전에 아들 결혼을 앞두고 상견례를 했다. 어떤 복장을 해야 할지, 만나서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불편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불현 듯 ‘아들 입장에서도 이렇게 신경 쓰이는 게 많은 데 딸을 가진 분의 입장은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아들을 통해 복장은 어떻게 하는 게 편하겠는지, 장소는 어떤 곳이 좋겠는지, 음식은 뭐가 좋겠는지, 내가 불편하게 느껴지는 것에 대해 사전조율을 했다. 덕분에 상견례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나는 이번 상견례를 통해 아들에게 꽤 매너 있는(?) 아버지로 인정받았다. 내 존재가 상대방에겐 많이 불편할 거라는 걸 미리 알아차렸던 덕분이다.

자신이 독재자라는 사실을 모르는 상사들

관계에 있어서 자신이 상대방에게 얼마나 불편한 존재일지 알아차리는 건 필수불가결이다. 만나는 상대방이 느낄 불편함 또는 편안함을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한다면 그 관계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건 자명하다.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에게 불편함을 주는 존재다. 자기 존재가 어떤 불편함을 주는지 제대로 알아차리는 게 관계의 비결이다. 자기 존재의 불편함을 조금이라도 덜어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상대방의 기분을 살피는 것이다. 상대방의 기분을 좋게 하려고 의도적으로 노력하는 것이다. ‘상대방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노력하는 것’ 이게 바로 관계의 비결이다.

안도현의 시 ‘너에게 묻는다’ 중에 ‘연탄재 함부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는 구절이 있다. 이 말이 내겐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편안하게 해주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한 존재였느냐’라는 말로 들린다.

※ 김종명 - 리더십코칭연구소 대표, 코칭경영원 파트너코치다. 기업과 공공기관, 대학 등에서 리더십과 코칭, 소통 등에 대해 강의와 코칭을 하고 있다. 보성어패럴 CEO, 한국리더십센터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리더 절대로 바쁘지 마라] [절대 설득하지 마라] [코칭방정식] 등 다수가 있다.

1411호 (2017.12.04)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