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드론에는 전파 교란 효과 없어... 레이저·그물탄 등 개발
▎사진:© gettyimagesbank |
|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석유시설이 무인항공기 드론의 공격으로 가동이 중단됐다. 테러 성격의 이런 물리적 공격이 아니더라도 드론 기술의 발전과 대중화에 따라 사생활 침해 우려가 커지며 민간에서도 드론의 부적절한 사용에 대응하는 ‘안티드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안티드론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드론의 접근을 탐지하는 탐지기술과 비행을 무력화하는 기술로 구성된다. 탐지 단계에서 현재 가장 효과적인 방식은 레이다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다.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출해 표적으로부터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해 드론을 탐지한다. 날씨나 온도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탐지 거리도 가장 길지만, 운용에 적지 않은 비용이 든다. 드론의 소음을 이용한 음향 탐지, RF 신호의 방향과 위치를 탐지하는 방법 등도 사용된다.드론을 탐지한 후에는 비행을 무력화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크게 소프트킬과 하드킬로 나뉜다. 소프트킬은 전자적 방식을 쓰는 것으로 조종 신호를 받는 드론에 방해 전파를 발사해 조종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저렴하면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미국 드론실드의 ‘드론 센트리’, 독일 디드론의 ‘드론 트래커’ 등이 이런 방식을 활용한 안티드론 시스템을 쓰고 있다. 문제는 전파 교란의 위험성이다. 전파를 교란하면 드론과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장비도 교란된다. 또 조종자 없이 자율비행하는 드론에는 이런 방식의 무력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물리적인 충격을 가하는 하드킬 방식 개발도 활발하다. 산탄총이나 레이저 빔 등을 이용해 드론을 격추하는 것이다. 지난해 미확인 드론 출현으로 곤욕을 치른 영국 런던 개트윅 공항에 배치된 ‘드론 돔’이 대표적이다. 다만 이 역시 문제는 있다. 시스템을 유지하는 비용이 많은 드는 데다 빠르게 움직이는 드론을 정확히 맞추기 쉽지 않다. 타격된 드론이 낙하하며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에 대한 우려도 있다.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방법으로 공중에서 드론을 포획하는 방식의 솔루션도 개발되고 있다. 영국의 스타트업 오픈웍스가 개발한 스카이월(Skywall)은 그물탄을 발사해 드론을 포획한 후 낙하산을 이용해 천천히 떨어뜨려 피해를 막는다.이렇게 다양한 안티드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지만 안티드론 기술이 드론의 위협을 완전히 막기란 쉽지 않다. 드론 기술의 발전 속도가 굉장히 빠른 데다 저비용·고효율화되며 다양해지는 반면 드론의 위협에 비해 안티드론 체계는 태생적으로 비용 대비 효율이 낮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드론의 기술 발전 속도를 안티드론 기술이 쫓아가기 쉽지 않다”고 우려한다.다만 안티드론 시장 규모는 계속 커지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츠(Market & Markets)에 따르면 안티드론 시장은 2018년 기준 4억9900만 달러(약 5900억원)에 이르며 2024년에는 약 22억7400만 달러(약 2조70000억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최상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자율운행연구그룹 선임연구원은 “안티드론 기술은 개인적 활용성보다는 공공성이 높기 때문에 기술 개발 로드맵에 따른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윤신 기자 choi.yoonshi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