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김준태의 세기의 담판(12) 저우언라이·장제스의 ‘시안사건’] 상황이 유리할 때 더욱 정중하게 대하라 

 

저우언라이, 구금 당한 장제스에 극진한 예우... 국공합작 이끌어내고 공산당 회생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자 혁명가인 저우언라이.
“이게 무슨 짓인가?”

“죄송합니다.”

“즉시 나를 풀어주고 난징으로 돌려보내라. 그러면 이 사태를 원만하게 수습해줄 수 있다.”

“제 의견을 받아주신다면 그리 하겠습니다.”

“다른 말은 필요 없다. 네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나를 죽이 던지 돌려보내던지 둘 중 하나일 뿐이다.”

“제발 제 이야기를 들어주십시오. 지금 같은 동포끼리 총을 겨눌 때가 아니질 않습니다. 일본과 맞서 싸우기 위해서는 모두 힘을 합쳐야 합니다.”

“시끄럽다. 이제 너는 살아선 발 디딜 땅이 없을 것이고 죽어선 뼈를 묻을 곳이 없을 것이다. 어서 나를 죽이던지 아니면 죄를 뉘우치고 당장 나를 석방해라.”

1936년 12월 12일 중국 시안(西安)의 한 작은 방에서 두 남자가 언쟁을 벌이고 있었다. 국민당 정부의 군사위원장이자 총 사령관 장제스(蔣介石)와 서북 초비(剿匪)사령관 장쉐량(張學良)이 그 주인공이다. 이 날 장쉐량은 시안을 방문한 장제스를 전격 체포해 연금했는데 이 과정에서 장제스의 호위병들이 대부분 사살되는 등 유혈사태가 벌어졌다. 새벽에 갑작스럽게 공격을 당한 장제스는 잠옷 차림에 틀니도 챙기지 못한 채 산속으로 피신했다가 붙잡힌다. 명백한 군사반란이었다.

장쉐량의 군사반란

장쉐량은 왜 이와 같은 일을 벌인 것일까? 만주의 대군벌 장쭤린(張作霖)의 아들로 일본에 의해 아버지와 근거지 만주를 모두 잃은 장쉐량은 반일 감정이 강했다. 그런데 그의 상관인 장제스는 일본군과 싸우는 일보다는 공산당 토벌에 주력하고 있었다. ‘지금이 어디 우리끼리 싸울 때인가? 우리가 가진 역량을 모두 모아도 일본을 물리칠 수 있을까 말까한데 하물며 공산당을 적으로 돌려 힘을 낭비해야하겠는가?’ 장쉐량은 여러 차례 국민당과 공산당이 공동으로 항일투쟁을 벌이자고 건의했지만 장제스는 들은 척도 하지 않았다. 이에 장쉐량은 장제스를 감금하고 강제로 국공합작 약속을 받아내려 한 것이다.

그러나 상황은 장쉐량의 뜻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장제스는 장쉐량의 요구를 일축했고 난징(南京)의 국민당 정부는 장제스의 생사 여부와 상관없이 장쉐량을 응징하겠다며 시안 폭격에 나섰다. 그뿐만이 아니다. 장제스의 부인이자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쑹메이링(宋美齡)이 직접 시안으로 달려와 장쉐량을 압박했다. 당황한 장쉐량이 장제스를 석방하려 하자 이번에는 함께 쿠데타를 일으킨 양후청(梁虎城)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장쉐량은 이도저도 못하는 처지에 놓이게 된다. 바로 그 때 한 사람이 등장했다. 현대 중국을 대표하는 탁월한 외교가이자 훗날 ‘중국 인민의 영원한 총리’로 불린 저우언라이(周恩來)다.

장쉐량의 요청으로 난징을 방문한 공산당의 대표 저우언라이는 “그가 마치 이 사건의 주모자인 듯하다”라는 장쉐량의 말처럼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먼저 쑹메이링을 만난 그는 “장제스가 중국의 유일한 지도자”라며 중국 공산당은 장제스의 영도를 따를 것을 약속했다. 그리고 쑹메이링의 동의를 얻어 12월 24일 장제스와 회담한다. 여기서 저우언라이는 장제스에게 극진한 예의를 표시하며 “우리가 일본에 함께 맞서 싸울 수 있게 된다면 어떠한 명령을 내리시든 따를 것입니다”라고 했다. 이 날 저우언라이는 장제스를 ‘교장 선생님’이라고 불렀는데, 그가 황포군관학교 군관이었던 시절 장제스가 교장을 맡고 있었기 때문이다. 저우언라이는 그 때의 옛 정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현재의 충성을 다짐함으로써 장제스의 의심을 누그러뜨리려 한 것이다. 또 국제정세와 친일노선을 걷고 있는 국민당 내 일부 세력들의 문제점, 항일을 원하는 중국 내 여론을 거론하며 매우 정중하게 장제스를 설득했다. 저우언라이에게 감화된 쑹메이링도 국공내전은 군사가 아닌 정치로 풀어야 할 문제라며 거들었다. 결국 장제스는 항일투쟁을 위해 공산당과 협력하기로 합의한다.

그 다음으로 저우언라이는 양후청을 만나 장제스를 석방해달라고 요청했다. 양후청은 국공합작에 대한 약속을 장제스가 문서로 써주지 않는 한 풀어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장제스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국공합작에서 장제스의 상대는 양후청이나 장쉐량이 아니라 공산당이다. 공산당을 대표해 온 저우언라이가 문서로 남길 필요가 없다고 하니 양후청으로서도 이의를 제기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12월 25일 마침내 장제스가 석방되었고, 7개월 여의 세부 협상 끝에 일본과 맞서 싸우기 위한 국공합작이 개시됐다. 이른바 ‘제 2차 국공합작’으로 1945년 8월 일본이 패망할 때까지 이어진다.

장제스가 감금되고 풀려나기까지 이 13일간의 과정을 역사는 ‘시안사건’ 혹은 ‘시안사변’이라고 부른다. 중국이 내전을 중단하고 힘을 합쳐 일본과 맞선 계기라 할 수 있는데 국민당 정부의 입장에서 보자면 통한의 패착이었을 것이다. 장제스의 강경 토벌로 괴멸 직전에 놓였던 공산당이 기사회생하게 된 시발점이기 때문이다. ‘시안사건’이 없었더라면 후일 중국 대륙의 주인은 마오쩌둥이 아니라 아마도 장제스였을 것이다. 하지만 장쉐량이 옳았느냐 장제스가 옳았느냐는 이 글에서 다룰 주제가 아니다. 이 글의 관심은 ‘시안사건’의 사실상 승자라 할 수 있는 저우언라이에 있다.

시안사건이 벌어지고 저우언라이가 장쉐량과 장제스 사이에 등장했을 때 그는 유리한 위치였다. 시안사건은 장쉐량이 본인의 신념에 따라 벌인 일로 공산당에서 개입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장쉐량의 거사가 성공한다면 국공합작이 이루어질 테니 좋은 일이고 실패한다면 장쉐량의 군대와 장제스의 군대가 내전을 벌일 테니 이 역시 공산당에게 도움이 되는 일이었다. 또 장쉐량과 장제스는 각각 국공합작이라는 명분을 달성하기 위해, 안전을 확보해 난징으로 무사 귀환하기 위해 공산당의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었다(당시 마오쩌둥은 장제스를 죽여야 한다며 그를 공산당 진영으로 압송해오라고 요구했다. 스탈린의 반대로 무산되었다지만 마오쩌둥이 고집했다면 어떻게 되었을지 모를 일이다). 통상 이러한 경우 우월한 입장에서 최대한 자신의 이득을 얻어내게 마련이다. 그런데 저우언 라이는 더욱 정중하고 예의를 갖춤으로써 장제스의 환심을 샀다. 장제스의 석방을 반대한 양후청을 설득함으로써 장제스에게 신세를 지워놓기도 했다. 물론 장제스가 국공합작을 최종 결단한 것은 국내 여론과 일본과의 전쟁 등 제반 상황을 고려했기 때문이지만 만약 이때 저우언라이가 다른 태도를 보였더라면 장제스는 희생을 감수하고서라도 공산당의 손을 잡지 않았을 것이다. 장쉐량과는 끝내 타협하지 않았듯이 말이다.

상대의 마음 녹여야

무릇 담판에서 ‘정중함’이 언제나 답이 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불리한 쪽에서 아무리 정중해봤자 상대방의 기분을 조금 낫게 만들어 주는 정도의 효과 밖에 없다. 그러나 유리한 쪽에서 정중함을 갖춘다면? 그것은 상대방의 마음을 녹이는 유용한 도구가 된다. 이를 통해 이번 담판뿐 아니라 이어지는 다음 담판까지 유리하도록 이끌어가는 것이다. 저우언라이가 보여준 것처럼.

※ 필자는 칼럼니스트이자 정치철학자다. - 성균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같은 대학의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에서 한국의 전통철학과 정치사상을 연구하고 있다.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경세론과 리더십을 연구한 논문을 다수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군주의 조건] [탁월한 조정자들] 등이 있다.

1511호 (2019.12.02)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