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그랩 나스닥 상장에 한국 기업도 들썩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스팩과 합병 방식으로 나스닥에 우회 상장 계획

▎그랩이 미국 나스닥에 우회 상장할 계획이다. / 사진:연합뉴스
‘동남아시아의 우버’ 그랩이 상장 계획을 드러냈다. 그랩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하는 방식으로 나스닥에 우회 상장할 계획이다. 이미 상장한 회사(스팩)를 인수·합병함으로써 준비 절차를 생략하고 상장 시기를 앞당기겠다는 취지다. 그랩의 기업가치는 최대 396억 달러(약 44조원)로 점쳐지고 있다. 스팩 합병 방식의 상장 기업 중 역대 최고액이다.

이 회사는 인구 6억4000만명의 거대 소비시장 동남아를 뒤흔드는 만능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2012년 차량 공유 서비스로 시작해 음식·식료품 배달과 모바일 간편 결제 등 금융 서비스를 늘리며 사업 외연을 확장했다. ‘동남아판 우버’로 불리지만, 이 별명엔 어폐가 있다. 이미 그랩은 2018년 우버 동남아 사업을 인수하면서 우버를 뛰어넘었기 때문이다. 동남아 시장의 독점적 지위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구축한 만큼, 상장을 통해 얻은 막대한 현금을 통해 입지를 공고히 할 가능성이 크다. 그랩이 미국 투자자로부터 대어로 평가받는 이유다.

흥미로운 건 그랩 상장 소식에 국내 투자자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는 것. 한국이 아닌 동남아 지역에서 비즈니스를 펼치고 있고, 상장하는 시장이 코스피가 아닌 나스닥인데도 왜 투자자들은 그랩의 상장 과정을 궁금해할까.

그랩 주주 리스트에 눈길, 모빌리티 시장에도 호재

첫 번째 배경으론 ‘그랩의 주주 리스트’다. 이 회사 주주명부에 이름을 올려둔 국내 기업이 적지 않아서다. 그랩에 가장 크게 베팅한 한국 기업은 현대차그룹이다. 현대차그룹이 2018년 두 차례에 걸쳐 그랩에 투자한 금액은 총 2억75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3000억원이 넘는 규모다. SK그룹 역시 2억3000만 달러에 달하는 거금을 그랩에 투자했다. 미래에셋금융그룹과 네이버는 ‘미래에셋-네이버 아시아그로쓰펀드’를 조성해 1억5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국내 1세대 사모펀드(PEF)로 꼽히는 스틱인베스트먼트도 그랩의 주주다. 지난해 9월 2억 달러(약 2400억원)를 투자했다. 신세계그룹의 벤처캐피털(VC) 시그나이트파트너스 역시 그랩의 투자사다. 그랩의 ‘상장 대박’ 이 점쳐지는 지금, 이들이 보유한 지분가치는 두 배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투자가 곧바로 수익으로 연결되진 않지만 자산가치를 늘리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성공 조짐을 보이는 그랩의 상장에 숨은 의미는 이뿐만이 아니다. 글로벌 투자 시장에서 모빌리티 산업의 재평가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간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인 차량 공유·호출 시장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적지 않았다. 이 시장의 대표 기업이자 세계 최대의 유니콘으로 군림하던 우버가 2019년 상장 직후 쓴맛을 봤기 때문이다. 주가가 폭락했고, 수백억 달러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지난해엔 코로나19 영향으로 승차 공유 서비스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기도 했다. 동시에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성을 향한 의심의 눈초리도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랩이 나스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이런 분위기를 단숨에 바꿀 수 있다. 이는 국내 모빌리티 시장에도 호재다. 국내엔 카카오모빌리티를 비롯해 티맵모빌리티, 쏘카 등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4월 1일 구글로부터 약 560억원 투자를 유치했다. 티맵모빌리티는 우버와 합작투자를 진행 중이다. 모빌리티 업계 관계자는 “주요 사업자가 적자를 내고 있고, 제도 미비 문제로 성장통을 겪지만 흐름은 점차 나아지는 추세”라면서 “흑자 구조를 갖추는 기업도 곧 하나둘 모습을 드러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1581호 (2021.04.19)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