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대선

Home>월간중앙>2022 대선

[신년특집] 주역으로 본 대선후보 5人(이재명·윤석열·심상정·안철수·김동연)의 운명 

개과천선하면 흉이 길(吉)이 되나, 허물 안 고치면 사지에 처하리라 

[주역]은 우주 자연 비추는 거울… 사람이 선한 길로 옮겨가도록 해줘
‘큰 그릇’은 만드는 데 시간 오래 걸리기에 이뤄지지 않은 듯 보이기도


▎11월 25일 ‘2021 코라시아 포럼(THE KOR-ASIA FORUM 2021)’에 참석한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손을 맞잡고 있다. /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우주 자연은 매 순간 가장 적합한 길을 따라 변해간다. 인간을 포함한 만물은 모두 이 길을 따라야 하며, 그런 태도를 선(善)이라 불렀다. 그래서 선을 따르는 길은 생명의 길이고, 인간됨의 사명이기도 했다. 하지만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간혹 이 길을 벗어나서 잘못을 범하는 경우가 많다. [주역]은 우주 자연을 비추는 거울이 돼 이곳에 자신을 비춰보는 사람에게 잘못 든 길이라면 선한 길로 옮겨가도록 해준다. 이것이 이른바 개과천선(改過遷善)이고 [주역]의 존재 이유다.

[주역]의 조언에 따라 개과천선하면 흉이 변해 길이 되고, 막다른 길에서 활로를 찾게 된다. 하지만 허물을 고치지 않는다면, 흉한 것은 더욱 흉하게 되고, 막다른 그곳에서 사지(死地)에 처하리라.

전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대권을 묻는 점에서 [주역]은 쾌(夬, )의 5위(아래부터 세어 5번째 효)에 답을 내렸다.
“현육처럼 부러지고 또 부러진다. 가운데로 가면 허물이 없다(莧陸夬夬. 中行, 无咎).”


▎12월 6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행정안전부 별관에 마련된 공명선거 합동지원 상황실. / 사진:연합뉴스
쾌는 위로는 태(兌)의 연못(☱)과 아래로 건(乾)의 하늘(☰)이 합해진 괘(卦)다. 5위가 양효에서 음효로 변하면, 태의 연못이 진(震)의 우레(☳)로 바뀌어 전체는 쾌에서 대장(大壯)으로 변한다.

글의 의미를 살펴보자. ‘현육’이란 산과 들에 널리 퍼져서 자라는 풀인데, 보통 ‘쇠비름’이라고도 부른다. 소가 뜯는 풀이고 약재로 쓰기도 하는 잡초의 일종이다. 태의 연못이 변한 진의 우레는 본래 진의 많은 상징 가운데 하나인데, 여기에는 풀의 상징도 있다. 그런데 이것이 “부러진다”는 것은 태(☱)의 상징에 ‘훼손’의 뜻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부러진다”고 두 번이나 말한 것은 실제로는 계속해서 부러진다는 뜻을 나타낸다.

쾌가 훼손이라는 것은 한자를 살펴보면 더 잘 알 수 있다. 그릇을 나타내는 한자 부(缶)가 쾌(夬)와 결합하면 그릇이 깨진 결(缺) 자가 되고, 물(水)이 넘쳐나면 둑이 터지는 뜻이 되어 결(決) 자가 생긴다. 또한 옥(玉)의 한 부분에 구멍을 뚫어서 고리를 만들어 몸에 차는 패옥을 나타내는 글자가 결(玦)이다. 웃옷(衣)의 양쪽을 틔어서 팔이 들어가는 소매를 만들면 몌(袂) 자가 된다. 일상의 고된 일로 몸과 마음이 지쳐 있다가 경치 좋은 곳에 여행이라도 가면, 그만 마음(心)이 탁 트이게 된다. 이럴 때 상쾌(爽快)의 쾌(快) 자가 된다. 태(☱)는 형상이 위가 터져 있는 모습이다. 이로부터 이러한 어휘들이 생겨났다.

그리고 쾌는 태를 크게 늘려놓은 모습이다. 쾌의 효들을 2개씩 묶어서 보면 태가 된다. 쾌는 ‘큰 태’다. 이런 상징들이 합해지면, 잡초가 자라나고 또 밟혀서 부러지는 이미지는 자연스럽다. 결국 쾌에서 등장하는 현육은 들판에서 자라나는 흔한 풀이며, 사람들이 별 주의를 기울이지 않거나 이름도 모르는 그냥 잡초를 가리킨다. 그런데 잡초는 뿌리를 드러내기 전에는 뜯고 베고 밟아도, 다시 또 자라난다. 밟고 짓이겨도 다시 고개를 들고 힘차게 자라나는 끈질긴 생명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

진의 우레는 힘차고 씩씩하게 앞장서 나가는 모습이라서 어떤 역경에도 굴하지 않는 진취적 기상을 상징한다. 시인도 “풀이 눕는다”고 하며, 끈질긴 생명력을 풀을 빌려 노래했다. 평범한 사람들의 무리를 민초(民草)로 표현한 것은 풀이 가진 생명력을 잘 알았기 때문이다. 이 후보는 민초의 삶을 대변하고자 하는 정치철학을 가진 정치인이다. 어떤 어려움이 있을지라도 민초를 대변하려는 정치를 펴려는 의지가 굳고 강하다.

[주역]은 이 후보의 대권으로 가는 길이 험하다는 것을 은연중에 암시한다. 부러질 일이 여러 번 있기 때문이다. 그 길에는 훼손의 기운이 서려 있다. 하지만 부러지고 부러질지라도 잡초의 살고자 하는 의지가 강한 것처럼 대권 도전에 한치의 양보나 물러섬도 없다. 그런데 잡초라고 해도 대권의 중대한 길은 가운데로 가야 허물이 없다. 갓길이나 샛길로 가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하다가는 과오가 생길 수 있다. 이는 무슨 말인가?

2021년 월간중앙 4월 호의 점에서는 “재앙은 입에서 나온다”고 해 구설(口舌)의 출현을 경고했다. 이런 경고가 나온 근거가 태의 상징이 그곳에서도 불길한 암시로 출현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태가 또다시 등장하고 있으며, 더욱이 ‘큰 태’인 쾌로 자라난 것이 심상치 않아 보인다. 그래서 태(연못)가 변해 진의 바른 움직임을 보여준 것이다. 태에는 ‘이익’이라는 상징도 있다. 구설을 변화시켜 이익을 얻으려면, 가운데 길, 즉 중도(中道)의 실천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이전보다 더한 태(구설)로 인한 위험에 빠지게 될 것이다.

전 검찰총장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대권을 물으니, 소축(小畜)의 6위에 답이 내렸다.
“이미 비가 내리고 이미 머무르고 있다. 덕이 있는 사람을 숭상하니, 그 부인을 수레에 태운다. 일을 맡아 처리하면 위태롭다. 달이 음력 14일에 있으니, 군자가 정벌에 나서면 흉하다 (旣雨旣處. 尙德, 載婦. 貞, 厲, 月幾望, 君子, 征, 凶.).”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2월 2일 서울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제53회 대한민국 국가조찬기도회에 참석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사진:청와대사진기자단
소축은 위로는 손의 바람과 아래로는 건의 하늘(☰)이 합쳐진 괘다. 소축의 글자 뜻은 온축(蘊蓄)하는 것으로, 아래의 하늘을 이루는 양기를 기르고 쌓아서 간직하는 것이다. 그런데 소축의 소(小)는 ‘작다’는 뜻이다. 음양론에 따르면 큰 것은 양(陽)이고 작은 것은 음(陰)이다. 여기에서 작은 것은 위에 있는 손의 바람을 가리킨다.

손은 태의 상징과 관련된다. 태( )의 연못은 그 생김새가 위로 트여 있어서 하늘에 대고 말을 하는 모습이다. 손은 태가 뒤집힌 형상이니 말을 하는 입이 아래로 향해 있다. 그래서 하늘의 말을 아래로 전달하는 것이라 천명(天命)을 뜻하는 무거운 상징을 가진다. 하늘의 말을 받아 모시기 때문에 손은 늘 공손하고 정결하며 맑다. 한 집안에 정숙하고 참한 큰딸이 손의 상징 가운데 하나다.

이처럼 소축은 비유하자면, 학자가 오랫동안 지식과 경험을 온축해 빛나는 지혜를 낳듯이, 만물을 낳는 건의 양기를 기르고 간직하는 것이다. 이런 행실은 드러나지 않기에 양보다는 음에 속한다. 재물을 모을 때도 소문내지 않고 조용히 모으며, 금고는 감춰진 음의 영역에 놓는 것이다. 돈 자랑에 재물이 달아난다. 소축괘를 받으면 몸가짐을 삼가고 겸손하게 낮추며 공손하게 처신해야 한다.

‘비가 내리고 머무는’의 뜻은 무엇인가? 소축의 6위가 변하면 손의 바람이 감(坎)의 물로 변해서 전체는 수(需)가 된다. 소축에는 없는 감의 물이 생기자 비가 내린 것이다. 또한 감의 상징은 가운데 용마루가 튼실한 저택이기도 하다. 그래서 ‘큰 집에 거처해 머무는’ 표현이 생겼다.

소축은 그 저장적 성격으로 인해 인색할 수도 있다. 구름만 잔뜩 끼고 비 소식은 아직 없는 밀운불우(密雲不雨)의 상황이 지속되는 답답한 모습이다. 그런데 소축의 6위가 변하니 이윽고 시원하게 비가 내린다. 기다리던 비가 내리니 거처할 커다란 집도 생겼다. 모두 감의 상징이 만들어낸 변화이다. 감의 상징은 더 풍성해진다.

감은 중년의 남자다. 그리고 수괘의 3위, 4위, 5위가 합해져서 리(離)가 생겨났다. 리는 중년의 여성이다. 감의 남자는 자리가 높고 힘이 센 권세와 지위를 갖춘 유력한 사람이다. [주역]에서 5위의 자리는 본래 군주의 자리이기 때문이다. 남자가 군주이니 그 짝이 되는 여성도 군주의 지위를 나눠 갖는다. 퍼스트레이디(First Lady)다. 이 신분이 높은 존귀한 퍼스트 레이디는 건(乾)의 수레를 타고 있다. 이런 상징들은 의미심장하다. 그런데 그 뒤에 이어지는 글은 이해가 어렵다. 감의 상징이 묘하다.

수괘에 있는 감은 가운데 양효가 곧은 마음을 상징한다. 감은 직심(直心)이다. 곧은 마음을 가지고 수고롭게 일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을 맡아 처리하면 위태롭다.” 왜 그런가? 2위, 3위, 4위에 태(兌)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태는 훼손이고 구설이다. 그리고 이 태는 리와 겹쳐 있다. 공적(公的)인 일이 양이라면 사적(私的)인 일은 음이 될 것이다. 리와 태가 힘을 합하니, 공적인 가치를 실현할 수 없다.

[주역]에서 상징의 기본이 되는 팔괘(八卦)는 원을 그리며 순환한다. 진에서 시작해 손·리·곤·태·건·감·간으로 이어진다. 그런데 ‘보름’은 건의 상징이다. ‘음력 14일’은 보름의 전날이므로, 건 이전의 태를 가리킨다. 군자가 유력한 인물을 도와 큰일을 도모하려는데, 음력 14일 곧 태의 상황에 부닥쳤다. 그러니 일을 성취할 수 있겠는가! 그러자 지금까지 좋은 상징이었던 감은 도적의 상징으로 변한다.

최고 실권자의 사적 관계나 비선(秘線) 조직의 역할이 현재 진행 중인 일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주역]은 이 힘을 고려하지 않으면 일을 추진하기 어렵다고 경계한다. 멸사봉공(滅私奉公) 없이는 공복(公僕)을 자처해도 금세 도적이 된다.

현 국회의원 심상정 정의당 후보의 대권을 물으니, 비(賁)의 6위에 답이 내렸다.
“흰색으로 꾸미니, 허물이 없다(白賁, 无咎).”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와 심성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11월 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56회 전국여성대회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 / 사진:국회사진기자단
비는 위로는 간의 산 아래는 리의 불로 이뤄진 괘다. 6위가 변하면 비가 아닌 다른 괘로 변하지만, 비에서 6위는 중요하기 때문에 변한 괘보다 비의 상을 위주로 해석한다. 그런데 비괘는 공자가 자신의 일생을 점친 괘로 유명하다. [공자가어(孔子家語)]에 일화가 전해져온다. 요약하자면, 공자는 비괘를 얻고 안색이 편치 않았다. ‘꾸밈’이라는 의미가 싫었기 때문이었다. 공자는 꾸밈이 들어가면 있는 그대로의 순수함을 상실한다고 본 것이다. 이를 이해하려면 약간 해석의 난도(難度)를 올려야 한다.

비는 본래 태(泰)가 낳은 괘다. [주역]의 괘는 모두 64괘인데, 12달을 나타내는 12개의 괘가 저마다 자식을 낳아서 52괘를 만든다. 이를 합하면 64괘가 되며, 비는 1월에 해당하는 태괘가 낳은 자식이다. 태는 위는 땅이고 아래는 하늘인 괘다. 하늘의 가운데에 있는 2위의 양효가 6위의 자리로 올라가고, 6위의 음효와 자리를 바꾸자 비괘가 된 것이다.

그러자 꾸밈을 나타내는 리(離)가 2개가 생겨났다. 아래의 리와 3위, 4위, 5위, 6위가 합해서 하나의 ‘큰 리’가 되니 꾸밈이 둘이 된 것이다. 이는 태괘의 아래에 있는 건의 하늘이 만들어낸 꾸밈의 행위다. 건의 하늘은 그 색이 흰색이다. 태양 빛이 창공을 가득 채운 투명한 흰색에 해당한다.

공자는 비괘가 꾸밈이라 싫어했지만, [주역]은 그 꾸밈이 흰색, 즉 건의 하늘로 꾸미기 때문에 허물이 없다고 했다. 이는 태괘의 아래에 있는 건의 하늘이 위로 올라갈 때, 태괘의 2위, 3위, 4위에 형성돼 있던 태(兌)가 함의하는 훼손의 상징을 없애기 때문이다. 비에는 태가 없다. 태를 없애니 다시 허물을 지을 이유도 없다.

비에는 리의 꾸밈이 있지만, 감(坎)의 뜻도 있다. 2위, 3위, 4위가 감을 만들기 때문이다. 태괘에서 2위에 있는 양효는 뜻을 펴고자 했지만 낮은 자리에 있어서 이루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 가장 높은 6위에 올라서면서 감의 뜻을 이룰 기회를 얻었다. 게다가 이 감의 뜻을 리의 꾸밈으로 화려하게 만들 수 있으니 아름다운 명분을 갖추게 됐다.

이 괘를 얻으면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은 신분이 상승하고, 처지가 궁색했던 사람은 상황이 매우 호전된다. 하지만 높은 지위에 오르는 것 자체가 꽉 막힌 불통(不通)의 상을 지을 수 있다. 간의 산은 막힘이고, 이는 불통을 암시한다. 공자의 일화가 하나의 암시가 된다. 비는 감의 뜻이 간(艮)의 산에 막혀 있는 상이 있어서, 자칫하면 뜻을 이루지 못할 것이라 우려한 것이다. 감의 뜻을 이루지 못하는 이유는 꾸밈이 둘이 있어서 과도한 수식(修飾)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권을 바라는 정치인은 세상에 도를 펼치려는 진실한 마음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과도한 수식은 속이 빈 외화내빈(外華內貧)의 명분만 낳을 수 있다. 태괘에서 2위의 양효는 큰 뜻으로 가장 높은 6위에 올라서 감의 뜻을 얻었지만, 그와 함께 간의 산이라는 꽉 막힌 불통을 낳을 수 있는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다. 불통은 독선과 독단을 낳는다.

현 국민의당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대권을 물으니, 구(姤) 6위에 답이 내렸다.
“그 뿔을 만나니, 부끄러우나 허물이 없다(姤其角, 吝, 无咎).”


▎3월 9일 새 청와대 주인을 뽑는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다. 이재명·윤석열·심상정·안철수 후보 등 원내 정당 후보를 비롯해 김동연 새로운물결 후보 등 원외 정당 후보들도 도전장을 냈다. / 사진:청와대사진기자단
구는 위가 건의 하늘이고 아래가 손(巽)의 바람으로 이뤄진 괘다. 이제 6위가 변하면 하늘이 연못으로 바뀌어 대과(大過)가 된다. ‘뿔’이라는 상징은 대과 위에 있는 태의 연못에서 나온 것이다. 태는 동물로 보면 양이다. 괘의 윗부분에 있으니 양의 머리 부근이고 6위는 머리에 달린 뿔이다. 그런데 뿔이 나타났는데 왜 부끄러움을 느끼는가?

[주역]에서 부끄러움이란 ‘작은 허물’을 말한다. 큰 허물이 아니라 작은 허물을 지으면 부끄러움을 느낀다. 큰 허물을 지으면 마음속으로 뉘우침과 자책이 일지만, 작은 허물은 아직 그 정도는 아니다. 그래서 부끄러움을 느낀다. ‘부끄러움’이란 감정은 얼굴이 붉어지는 생리현상을 동반한다. 동물은 얼굴이 붉어지며 부끄러움을 느끼는 경우는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부끄러움이 없는 사람을 인면수심(人面獸心)이라고 한다. 그래서 부끄러움은 인간에게 매우 고유한 감정이다.

부끄러움은 자신의 허물 혹은 남과 세상의 허물을 보고 생겨나는 감정이다. 이런 감정은 공감 감정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나와 세상을 분리하면 생길 수 없다. 그래서 뉘우치거나 부끄러움을 느끼는 사람은 세상의 한가운데 서 있는 사람이며, 나와 남의 허물을 느끼고 앞으로는 더 나아져야 한다는 사회적 책임감을 느끼는 사람이다.

대과는 대장(大壯)이 낳은 자식이다. 대장은 위에는 진의 우레가 있고 아래는 건의 하늘이 있는 괘다. 그런데 그 모습은 ‘큰 태’를 하고 있다. 대장에서 1위의 양효가 5위의 음효와 자리를 바꾸면 대과가 된다. 이것은 1위의 양효가 지존의 자리인 5위로 올라간다는 뜻이다. 그렇게 되면 ‘큰 태’의 큰 허물이 무너진다. 그래서 허물이 없는 것이다. 하지만 ‘큰 태’는 무너졌지만, 대과에는 아직도 위에 태가 남겨져 있다. 이것이 작은 허물이다. 그래서 부끄럽다.

왜 부끄러운가? 부끄러움은 타인이 없다면 생겨나지 않는 사회적 감정이다. 또한 남의 부끄러운 언행을 보면 그것을 참지 못하고 내 일처럼 여기는 인간의 공감 능력 때문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면 이것은 공감 능력의 부재다. 독불장군이다. 남을 아랑곳하지 않고 모든 일을 자기 본위로 처리한다면 부끄러운 일을 당한다. 더구나 정치인이라면 일을 그르치게 된다.

태가 상징하는 구덕(口德)의 흠은 일을 지속하게 할 수 없다. 여전히 사라지지 않는 태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야 대업을 이룰 수 있다. 자신을 돌이켜보고, 독불장군의 근거 없는 자긍(自矜)에 빠져 살고 있는지 볼 때다. 1위의 양효는 힘차게 지존의 자리에 올랐다. 이 때문에 최고의 리더 자리를 바라는 자다. 그런데 최고의 리더는 인(仁)을 실천하는 자다. 인의 실천은 여러 가지이지만, 그 얼굴은 온화하며 공손하다. 자기를 낮추고, 남을 깔보지 않는다. 자기를 낮출수록 지위가 올라가는 자다. 부끄럽지 않아야 허물을 짓지 않는다.

전 경제부총리 김동연 새로운물결 후보의 대권을 물으니, 비(比, )에 답이 내렸다.
“친하니 길하다. 거듭 점을 쳐서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일을 시작하니, 허물이 없다. 편안하지 않으면, 바야흐로 돌아온다. 재혼해서 만난 남자는 흉하다(比, 吉. 原筮, 元永貞, 无咎. 不寧方來. 後夫凶).”


▎12월 5일 안양시에서 열린 새로운물결 경기도당 창당대회에서 김동연 중앙당 창당준비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비괘를 받았으나 괘를 이루는 6개의 효들 가운데 하나도 움직이지 않았다. 비는 위로 감의 물( )과 아래로 곤의 땅( )이 합해서 이뤄진 괘다. 비는 ‘밀접하다’는 뜻이다. 물로 땅(흙)을 개어놓으면 서로의 틈으로 섞이게 돼 굳고 단단하게 된다. 물이 땅 위에 놓여 아무런 틈이 없는 모습에서 두 개의 사물이 합심(合心)하는 것을 볼 수 있으니, 길하지 않을 수 없다.

‘거듭해서 점을 치는 것’은 재점이 필요한 중대 사안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1년 4월 호에 김 후보에 대한 점에서는 은자의 상이 나왔다. 은자는 고결한 생각을 가지고 일선에 나서지는 않아도 천하를 이롭게 하려는 자다. 그래서 “용의주도하게 준비해 결전을 준비하는 때”라는 점을 얻었다. 거듭해 점을 치니 결단에 이르기 위한 고심의 나날을 짐작할 수 있다.

비는 5위가 양효이고 나머지는 모두 음효다. 5위는 군주의 자리이고 이 군주가 아래 곤(坤)의 신하와 친밀하게 있는 상이다. 군주와 신하가 이렇게 친밀하게 제자리를 지키고 있으니, 이것도 길한 모습의 하나다.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일”이란 [주역]에서 자주 나오는 말인데, 이는 ‘장구한 사업’을 가리킨다. 사업은 감의 상징에서 생겨난다. 감은 수고를 다하는 일을 상징한다. 오랜 시간이 축적돼야 비로소 생겨날 수 있는 덕(德)을 가리킨다. 비는 곤의 땅에서 수고스럽게 일하는 형상이며, 또한 땅이란 하늘과 더불어 끝이 없이 넓으니, 크게 장구한 사업의 상이 나온다.

비에 있는 감의 물은 5위의 자리에 있으며, 이 자리는 군주, 즉 최고 통치자의 자리다. 감이 수고를 의미하기 때문에 최고의 지위에 오르는 사람은 하루라도 쉬는 때가 없는 것이 숙명이다. 곤은 땅이지만 그 땅을 갈아먹는 수많은 사람이기도 하다. 음효가 점점이 뿌려져 있는 곤( )의 상징이 그렇다. 최고 자리의 리더가 감의 굳은 뜻을 가지고 수고를 다해 일하니, 곤의 백성(수많은 사람)이 마음을 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마음이 그에게 돌아간다.

그런데 왜 결혼의 상징이 나오고 그것이 흉한 것일까? “재혼해서 만난 남자”는 감의 중년(中年) 남자를 가리킨다. 그런데 하늘의 짝은 땅이고, 중년의 남자는 중년의 여자가 짝이다. 비록 5위의 군주가 사심이 없이 열심히 일해서 곤의 백성이 마음을 주고 있으나, 중년은 장구한 대업을 이루기 위해 아직 덜 여문 나이를 가리킨다.

중년의 중(中)은 청년과 노인의 ‘가운데’에 있는 나이지만, 중은 또한 ‘진행하는 중’의 나이다. 그래서 ‘숙성 중’에 있는 시기라는 상징을 품고 있다. 비록 5위의 최고 자리에 있으나 덕을 완성해 땅의 짝이 되는 하늘이 되어야 한다.

이 괘는 일생을 통해 한번 해보고 싶은 포부를 가진 자가 얻으면 매우 길하다. 모든 이의 지지와 후원이 크다. 하지만 대기만성이다. 큰 그릇은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큰일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역설적으로 이뤄지지 않은 듯이 보인다.

- 이창일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gulgun@aks.ac.kr

202201호 (2021.12.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