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포커스

Home>월간중앙>투데이 포커스

주택 공급 방해하는 ‘시멘트 대란’ 사태 막전막후 

 

최현목 월간중앙 기자
■ 러시아 사태로 유연탄 가격 폭등, 국내 시멘트 수급 악화로 이어져
■ 6년 만에 표준건축비 상향하나? 분양가·임대료 인상 가능성에 고심


▎건설·레미콘업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의한 유연탄 가격 급등으로 시멘트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
3·9 대선 이후 주택 공급에 대한 희망으로 훈풍이 불었던 건설업계에 ‘시멘트 대란’이라는 악재가 덮쳤다. 건설 성수기(4~5월)를 맞아 전국 곳곳에서 시멘트 수요가 늘었지만, 국내 시멘트 업체들의 생산량은 오히려 줄어들어서다.

시멘트 대란은 유연탄 부족으로 촉발됐다. 유연탄은 시멘트 생산에 필수 재료다. 시멘트는 채굴한 석회석과 제철 부산물 등을 유연탄으로 구워서 만들어진다. 시멘트업계에 따르면 시멘트 1t을 생산하려면 유연탄 0.1t이 필요하다고 한다. 시멘트업계에 따르면 시멘트 제조 원가 가운데 유연탄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40%라고 한다.

국내 시멘트 생산에 쓰이는 유연탄의 70%가량을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있다. 지난해 수입한 유연탄 3643만t 가운데 2721만t(75%)을 러시아에서 들여왔을 정도로 국내 의존도가 높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를 겨냥한 미국의 경제제재가 본격화하면서 국내 시멘트 업체들이 러시아산 유연탄 대신 호주산 등을 고가에 가져오고 있는 실정이다.

설상가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유연탄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지난해 3월 t당 80달러였던 유연탄 가격은 최근 350달러 선까지 상승했다. 1년 사이 유연탄 가격이 4배가량 오른 것이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2022년 1분기 건설 현장 시멘트 수요 전망치는 1036만t으로 생산 규모(998만t)를 앞선다. 또 현재 시멘트 재고량은 70여 만t으로 지난해 건설 성수기 대비 50%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다. 시멘트업계 사이에서 4월 중 레미콘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는 이유다. 시멘트업계는 수출용 시멘트 중 일부를 내수용으로 돌리는 등 사태 수습에 힘을 쏟고 있다.


▎호주 스프링베일 유연탄 광산의 모습. 우리 정부는 유연탄 수급 안정을 위해 러시아산 수입 비중을 줄이는 대신 호주‧중국 등 대체국가 비중을 높이는 방법을 추진 중이다. 중앙포토
정부, 시멘트·건설업계와 대책 논의 나서

정부 역시 수입선 다변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유연탄 수급 안정을 위해 러시아산 수입 비중을 줄이는 대신 호주·중국 등 대체국가 비중을 높이는 방법을 추진 중이다. 국토교통부 3월 30일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건설자재 수급 불안으로 인한 건설공사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6년 만에 표준건축비를 인상하는 방안까지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건설업계 등은 2016년 이후 표준건축비에 건설자재 가격 및 인건비 상승분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정부에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3월 29일 발표한 ‘건설투자 회복 제약의 요인: 건설자재 가격 급등 원인과 영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4분기 건설자재 가격은 1년 전 대비 28.5% 올랐다.

정부가 표준건축비를 인상할지는 현재로썬 장담할 수 없다. 아파트 분양가·임대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4월 1일 시멘트·레미콘업계와 건설업계가 참여하는 간담회를 개최해 시멘트 대란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국토부 측은 “시멘트 생산 차질 우려가 심화할 경우를 대비해 건설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업계 및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조해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최현목 월간중앙 기자 choi.hyunmok@joongang.co.kr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