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업

Home>월간중앙>경제.기업

[재계이슈] 미국에 투자 확대하는 기업들의 셈법 

삼성전자 21조·현대차 13조 투자… 미국 중심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 

최은석 월간중앙 기자
생산 원가 절감, 세제 혜택 등 ‘기업하기 좋은 환경’에 신규 생산 기지 건설
바이든 정부 ‘바이 아메리칸’ 정책에 선제적 대응해 공격적 투자 결정 내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지난 5월 22일 오전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나란히 걷고 있다. /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첫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 기업의 위상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는 평가가 재계에서 나온다. 미국 대통령이 방한 첫 일정으로 특정 기업을 찾고 특정 기업 회장과 단독 회동으로 방한 일정을 마무리한 데 대해 정치권에서도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대부분이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월 20일부터 2박 3일간의 방한 일정 동안 한국 기업인과 잇따라 회동하며 숨가쁜 ‘세일즈 외교전’을 펼쳤다. 바이든 대통령은 방한 첫날 오후 5시 22분께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내리자마자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평택캠퍼스)으로 달려갔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앞에서 삼성이 지난해 170억 달러(약 21조원) 규모로 미국 내 반도체 추가 투자를 결정한 데 대해 고마움을 표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설에서 “삼성이 평택캠퍼스와 비슷한 파운드리 설비를 미국 텍사스주에 구축해 3000명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게 됐다”며 “한국과 미국의 생산적 파트너 관계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의 미국 현지 배터리 합작 투자를 언급하며 “양국이 경제적 성장뿐 아니라 에너지 안보와 깨끗한 환경을 이루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방한 마지막 날인 22일 오전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독대하며 주목을 끌기도 했다. 현대차그룹이 전날 미국 조지아주와 함께 발표한 현지 전기차 공장 설립 계획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서였다. 정 회장은 바이든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전날 확정한 55억 달러에 50억 달러를 추가해 총 105억 달러(약 13조원)를 투자하겠다”고 깜짝 발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계획된 15분을 넘겨 총 50분간 정 회장을 만났다. 예정에 없던 기자단 브리핑을 열고 백악관 공식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하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현대차그룹의 투자로 조지아 전기차 공장에 8000명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국을 선택해준 정 회장에게 다시 한번 감사의 뜻을 표하고 투자에 보답하기 위해 절대 실망시키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두 기업이 왜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는지에 관심이 쏠렸다. 월간중앙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 기업이 미국 투자를 확대하는 이유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에 있다. 미국은 삼성전자가 20조원을 투자하면 최대 9조원에 이르는 세액 공제 혜택을 준다. 재산세도 90% 이상 감면해주기로 했다. 20조원에 대한 한국의 공제 금액은 2조원 정도다. 현대차그룹의 조지아주 전기차 공장도 토지 무상 제공과 재산세 감면 등 2조원 넘는 인센티브가 예상된다. 현대차그룹은 기존 앨라배마공장과 조지아공장을 무노조로 운영 중이기도 하다.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도 한국보다 낮다.

생산 원가 절감은 물론 미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선제적으로 올라타겠다는 경영 전략적 측면도 한국 기업이 미국 투자를 서두르는 주요 이유로 꼽힌다. 바이든 정부의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 정책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아메리카 퍼스트’보다 훨씬 강력한 보호주의 통상 정책이라는 게 재계의 분석이다.

삼성전자, 텍사스 신규 공장 2024년 가동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월 20일 오후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평택캠퍼스)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삼성이 미국 시장에 본격 진출한 시기는 199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성전자는 1996년 3월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시에 총 121만3223㎡(37만 평) 규모로 반도체 생산 단지를 준공했다. 이듬해 9월 200㎜(8인치) 반도체 웨이퍼 생산 라인인 제1라인을 가동하고 1998년 1월 D램 제품을 첫 생산했다. 반도체 산업에 진출한 지 불과 10년 만인 1992년 글로벌 D램 시장 1위에 오른 기세를 이어가는 것은 물론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시장인 미주 시장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결정이었다.

삼성전자는 1라인 가동 10년 뒤인 2007년 6월 오스틴 반도체 단지에 300㎜(12인치) 웨이퍼 생산용 제2라인을 준공하기도 했다. 1년여 간의 공사를 거쳐 완공한 제2라인은 삼성전자의 해외 첫 300㎜ 반도체 생산 라인이었다. 기존 제1라인은 D램 생산에 주력하고 제2라인은 고용량 낸드 플래시 등 차세대 메모리 생산을 강화하기 위한 조처였다.

삼성전자는 IT 기술 등의 고도화로 고속 성장 중인 시스템 반도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오스틴 생산 단지의 1라인도 시스템LSI 생산 라인으로 전환한 상태다. 시스템 반도체는 정보를 단순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가공처리하는 비메모리 반도체를 뜻한다. 오스틴 생산단지는 14나노 공정을 주력으로 IT와 통신용 시스템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미국 투자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메모리 반도체뿐만 아니라 시스템 반도체에서도 세계 1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 일환으로 미국 진출 25주년이던 지난해 신규 파운드리 반도체 생산 단지 건설을 결정했다.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들어설 삼성전자의 신규 생산 단지는 495만8677㎡(150만 평) 크기이며, 오스틴의 4배가 넘는 규모다. 삼성전자는 테일러 생산 단지 건설에 21조원 이상을 쏟아붓는다. 2024년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첨단 파운드리 공정을 적용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이곳에서 5세대 이동통신(5G), 고성능 컴퓨팅(HPC: High Performance Computing), 인공지능(AI) 분야 등의 시스템 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기존 오스틴 생산 단지와의 시너지효과 등을 고려해 테일러시를 신규 투자처로 낙점했다. 테일러 사업장 부지와 오스틴 생산 단지 간 거리는 25㎞에 불과하다. 테일러시는 오스틴 사업장 인근의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데다 용수와 전력 등 반도체 생산 라인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도 우수하다. 텍사스주에는 IT 기업과 대학이 밀집해 파운드리 고객과 우수 인재를 확보하는 데도 이점이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미국 신규 생산 단지는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생산 공장인 평택캠퍼스와 함께 삼성전자의 ‘시스템 반도체 비전 2030’ 달성을 위한 핵심 기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며 “기흥·화성·평택과 오스틴·테일러를 잇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시스템 반도체 생산 체계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SDI, 인디애나에 배터리 공장 짓기로


▎삼성전자는 약 21조원을 들여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신규 파운드리 반도체 공장을 건설한다. 사진은 텍사스주 오스틴시의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 단지. / 사진:삼성전자
삼성은 중국, 유럽과 함께 세계 3대 규모로 꼽히는 미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낸다. 삼성SDI는 지난 5월 24일 미국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에서 글로벌 4위 완성차 기업인 스텔란티스와 배터리셀 합작법인(조인트벤처)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 합작법인 지분은 삼성SDI가 51%, 스텔란티스가 49%다. 양 사의 투자 금액은 최대 31억 달러(약 4조원)다.

스텔란티스는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PSA 그룹이 지난해 1월 합병해 설립한 다국적 기업이다. 피아트, 크라이슬러, 마세라티, 지프, 푸조, 시트로엥 등 14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2030년까지 전기차 500만 대 판매를 목표로 친환경 사업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합작법인의 배터리 공장은 올해 말 착공해 2025년 1분기 가동을 목표로 한다. 초기 연간 23GWh 규모로 전기차 배터리셀과 모듈을 생산하고 향후 33GWh로 확장시킨다는 계획이다.

합작법인 부지인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에는 스텔란티스의 부품 공장이 있다. 여기에 양 사의 배터리 공장까지 들어서면서 인디애나주가 북미 스텔란티스 전기차 생산의 전초기지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합작법인이 생산하는 배터리는 스텔란티스의 캐나다·멕시코 공장에도 공급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부터 순수 전기차까지 스텔란티스 산하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모든 차량에 탑재된다.

이창민 KB증권 애널리스트는 “삼성SDI의 연간 중대형 배터리 생산 능력은 지난해 말 40GWh에서 2025년 말 100GWh 수준으로 가파르게 증가할 전망”이라며 “이에 따라 중대형 배터리 매출도 지난해 약 6조원에서 2025년 약 17조원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최윤호 삼성SDI 사장은 “스텔란티스와 합작함으로써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북미 전기차 시장에서 확고한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며 “합작법인은 기후 변화 목표를 달성하는 데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미국 내에 완성차 생산 단지를 2곳 보유한 현대차그룹도 전기차 전용 공장을 따로 만들어 현지 미래차 시장을 두드리기로 했다. 현대차그룹은 2005년 5월 현대차 미국 앨라배마공장(HMMA)을 준공하고 가동에 돌입했다.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시에 위치한 현대차 생산 단지는 약 703만㎡(212만 평) 규모다. 프레스·차체·도장·의장·엔진 공장 등으로 구성됐다. 현대차그룹은 앨라배마공장 조성에 총 11억 달러를 투자했다.

현대차는 앨라배마공장 준공을 통해 1986년 소형 승용차 ‘엑셀’을 미국에 첫 수출한 지 19년 만에 현지 생산 거점을 확보할 수 있었다. 2억 달러를 투자한 디자인연구소(캘리포니아), 1억2000만 달러를 들인 기술연구소(디트로이트), 6000만 달러를 투입한 주행시험장(모하비) 등과 함께 자동차의 연구·개발(R&D)부터 디자인, 생산, 마케팅, 판매, 애프터서비스 등 전 부문을 현지화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

연 15만 대 수준이던 현대차 앨라배마공장의 생산 규모는 현재 37만 대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생산 차종도 엘란트라(아반떼), 쏘나타, 투싼, 싼타크루즈, 싼타페, 싼타페 하이브리드, GV70 전동화 모델로 늘었다. 현대차 앨라배마공장의 지난 4월까지 누적 생산량은 약 522만 대다.

현대차그룹, 조지아에 전기차 공장 신설


▎현대자동차그룹은 약 13조원을 들여 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 전기차 전용 공장을 짓는다.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시의 현대차 공장에서 현지 직원들이 생산 차량을 점검하고 있다. / 사진:현대자동차그룹
현대차그룹은 2010년 2월 기아 조지아공장(KMMG)을 준공하며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 공략에 더욱 속도를 냈다.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시에 자리한 기아 생산 단지는 261만2000㎡(79만평) 규모이며, 프레스·차체·도장·조립 등 일관 생산체제를 갖춘 자족형 완성차 공장이다. 현대차그룹은 조지아공장 구축에 10억 달러를 투입했다. 기아는 조지아공장 준공으로 1994년 세피아와 스포티지를 수출하며 미국 시장에 첫 진출한 이후 16년 만에 현지생산 기지를 갖출 수 있었다. R&D부터 애프터서비스까지 모두 현지에서 할 수 있는 시스템도 완성했다. 기아 조지아공장의 연간 생산 능력은 준공 당시 30만 대에서 현재 34만 대로 늘었다. 지난 4월 기준 옵티마(K5), 스포티지, 쏘렌토, 텔루라이드 약 366만 대를 누적 생산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처음으로 일본 혼다를 제치고 미국 내 판매 5위에 올랐다. 미국 공장 가동 직전인 2004년 연 68만8670대였던 현지 판매량은 지난해 148만9118대로 뛰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1분기에도 5위 자리를 지켰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전기차 시장 공략에도 드라이브를 걸기로 했다. 첫 해외 전기차 생산거점으로 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를 택했다. 조지아 전기차 생산 단지는 1183만㎡(358만평) 규모다. 2025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내년 상반기 착공한다. 현대차그룹은 13조원 이상 투자하는 이 공장에서 전기차를 연 30만 대 생산할 계획이다. 신설 전기차 공장은 기아 조지아공장과 약 400㎞ 거리라서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친환경 정책 뒷받침… 전기차 늘리는 미국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공장과 함께 배터리셀 공장도 설립한다.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시의 기아 공장에서 용접 로봇이 차체를 조립하고 있다. /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신설 전기차 공장은 제조 혁신 기술을 도입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스마트 팩토리가 될 것”이라며 “현대차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비전 달성을 위한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현지에 배터리셀 공장도 별도로 설립하기로 했다. 전기차 생산·판매 확대를 위해 필수적인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해서다. 국내외 배터리사와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전기차 생산 단지 인근에 공장을 짓는다는 계획이다. 배터리셀 공장 설립에 관한 구체적 계획은 여러 방안을 종합 검토해 추후 확정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의 현지 추가 투자는 미국 정부의 고강도 바이 아메리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기도 하다. 미국은 특히 친환경 정책을 뒷받침하고자 전기차 보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1조2000억 달러(약 1508조원) 규모 인프라 법안에 서명하며 “미국 내 전기차 보급 확대에 대규모 예산을 집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2030년까지 미국 전역에 전기차 충전 설비 50만 기를 설치하고 전기 스쿨버스를 포함한 저공해 버스를 대대적으로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8월에는 2030년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의 50%를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수소전기차로만 채우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미국 전기차 시장은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힘입어 고속 성장할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전기차 시장은 올해 75만 대 규모에서 2025년 203만 대, 2030년에는 602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은 바이 아메리칸 정책도 밀어붙이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취임 직후 미 연방정부가 미국산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해야 한다는 행정 명령에 서명하며 “약 44만 대에 달하는 정부기관의 공용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겠다”고 밝혔다. 오는 10월부터는 미국산 제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완성차의 현지 생산 부품 비율을 현재의 55%에서 60%로 상향하고 2029년까지 75%로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글로벌 기업들도 미국 투자에 ‘사활’

미국은 소비자가 전기차를 구매할 때 신경 쓰는 부분인 세액 공제 혜택도 자국산 차에 우선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들이 미국 투자를 경쟁적으로 확대하는 이유다.

제너럴모터스(GM)는 미국 내 공격적 투자를 바탕으로 전기차 생산 체제로 서둘러 전환하고 있다.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햄트랙공장 이름을 ‘팩토리제로’로 바꾸고 22억 달러(약 2조8000억원)를 들여 전기차 전용 공장으로 재탄생시켰다. GM은 또한 전기트럭 생산 확대를 위해 미시간주의 제조 시설 4곳에 40억 달러(약 5조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얼티엄셀즈’에는 26억 달러(약 3조원)를 투입해 미시간주 랜싱시에 새 전기차 배터리 공장도 건설한다.

포드는 미시간주 디어본시에 전기차 전용 공장을 완공하고 올해부터 전기 픽업트럭 ‘F-150’을 생산하고 있다. 테네시주와 켄터키주에 대규모 전기차 조립 공장과 배터리 공장도 짓는다. 폴크스바겐은 북미 전기차 생산과 R&D 현지화를 위해 향후 5년간 71억 달러(약 9조원)를 투자한다. 독일에서 수입해 판매하던 전기차 ‘ID.4’를 올 하반기부터 미국 테네시주 공장에서 직접 생산하는 한편, 배터리셀을 현지에서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도요타는 2025년 가동 예정인 리튬이온배터리 공장을 비롯해 2030년까지 총 34억 달러(약 4조원)를 투자해 미국 내에서 차량용 배터리를 직접 생산하기로 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전기차 공장 등을 바탕으로 2030년 세계 시장에서 전기차를 연간 323만 대 판매하고 시장점유율 약 12%를 달성한다는 각오다. 현대차는 2030년까지 제네시스 포함 18종이 넘는 전기차 라인업을 갖출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30년에 전기차를 연간 183만 대 판매한다는 목표다. 기아는 2030년까지 전기차 13종을 출시해 연간 140만 대를 판매한다는 구상이다.

이재일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현대차그룹은 이번 투자로 미국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현대차와 기아의 올 1분기 미국 전기차 시장점유율은 테슬라에 이은 2위이고 3위 포드를 2배 이상 앞선 반면, 일본 메이커는 이제 막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 최은석 월간중앙 기자 choi.eunseok@joongang.co.kr

202207호 (2022.06.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