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

[People] 한국에 불리한 회계기준 막겠다 

한국인 최초 국제회계기준위원 서정우 전 한국회계기준원장 

김영욱 중앙일보 논설위원. 사진 전민규 기자
김용 세계은행 총재를 비롯해 국제기구에 진출하는 한국인이 늘고 있다. 최근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의 위원으로 선임된 서정우(57·국민대 교수) 전 한국회계기준원장도 그중 하나다. IASB는 국제회계기준(IFRS)을 결정하는 곳. 법에 비유하면 IFRS는 회계의 국제법이고, IASB는 그 법을 제정하는 입법부다. 우리가 지난해부터 채택한 것도 바로 IFRS다. 세계 130여개국이 쓰고 있는 국제기준이다. 종전에는 우리만 쓰는 한국회계기준(K-GAAB)을 썼다. 그러나 외국에 상장하거나 투자를 유치할 때 그 나라에 맞는 회계기준을 별도로 작성해야 하는 등 불편이 많았다. 이제부터는 국제회계기준으로 작성된 재무제표를 그대로 보여주면 되니 그럴 필요가 없다. 국제회계기준을 어떻게 정하느냐를 놓고 각국간 치열한 다툼이 벌어지는 것도 그래서다. 자국 기업의 성적이 이 기준에 따라 확확 바뀌기 때문이다. 서 전 원장이 “우리 기업의 특수성을 IASB에 가서 충분히 설명하고, 그게 국제적으로 인정받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하는 이유다.



우리 기업의 특수성이 국제회계기준에 반영돼있다면 그만큼 우리 기업에 유리할 게 자명하다.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하면서 조선업체가 큰 어려움을 겪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조선은 달러 기준으로 배를 수주한다. 하지만 이를 재무제표에 표시하면 원화로 기재해야 하므로 환율변동 문제가 생긴다. 달러 기준 수주액은 변함이 없는데, 환율 때문에 원화로 평가한 수주액은 매년 급변한다. 이뿐만 아니다. 조선업체는 선물환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환헤지를 한다. 이 경우 재무제표에 부채가 과다하게 표시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국내 조선업체들의 부실 가능성이 실상보다 지나치게 부각됐던 이유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36호 (2012.05.0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