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자본시장의 리더 | 이상진 신영자산운용 대표] “50년 이상 굴릴 수 있는 펀드 만들 것” 

국내에 가치투자 도입한 1세대 … 배당주 펀드 13년 누적 수익률 566% 

김성희 기자 kim.sunghee@joongang.co.kr

▎이상진 신영자산운용 대표. / 사진:전민규 기자
지난 3월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도이토리움에 신영자산 운용의 펀드 투자자 700여 명이 모였다. 이상진(61) 신영자산 운용 대표가 창립 20주년을 맞아 만든 투자자포럼이었다. 고객이 맡긴 자산의 운용 성과는 물론 투자자가 궁금한 점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고 의견을 나누고자 만들었다. 이날 포럼에서는 투자자의 요구사항보다 칭찬과 격려의 목소리가 많았다. 이 대표는 “투자자들과 얘기하면서 회사에 대한 신뢰가 두텁다는 걸 느꼈다”며 “지난 20년간 헛된 시간을 보내지 않았다라는 생각에 뿌듯하고 행복했다”고 말했다.

이상진 대표는 가치투자를 국내에 도입한 1세대로 신영자산 운용을 국내 대표 가치투자 자산운용사로 만든 주역 중 하나다. 1989년 신영증권에 입사한 그는 영국계 증권회사인 슈로더 증권(현 슈로더투자신탁운용)과 베어링스증권(ING베어링스 증권)을 거쳐 1996년 신영자산운용 창립멤버로 합류했다. 당시 이 대표는 투자자에게 꾸준히 돈을 벌게 해줄 수 있는 것이 뭘까 고민하다 가치투자를 떠올렸다. 그가 슈로더증권에서 근무할 때다. 1년에 200~300개의 기업을 직접 탐방하면서 주가는 낮지만 성장성이 높은 기업을 발굴했고 이때 가치투자에 눈을 떴다. 이 대표는 “국내에서 가치투자는 생소했지만 외국계에서는 보편화된 투자 방법이었다”며 “당시 대주주였던 원종석 신영증권 대표와 미국 운용회사 30여 곳을 직접 둘러보며 가치투자에 대한 의미를 이해시켰다”고 말했다. 그렇게 가치투자를 고집해온 회사는 올해 설립 20년을 맞았다. 가치투자 1세대이자 2010년부터 회사를 맡고 있는 이 대표를 3월 14일 서울 여의도의 그의 집무실에서 만났다.

신영자산운용의 대표 펀드인 ‘신영마라톤펀드’와 ‘신영밸류고배당펀드’는 각각 2002년, 2003년에 나왔다. 설정 이후 3월 16일 현재까지 누적 수익률은 각각 450%, 566%에 달한다. 이 대표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비결로 펀드매니저의 장기 근속을 꼽는다. 실제로 신영자산운용에서 일하는 펀드매니저의 근속 연수는 6년이 넘는다. 업계 평균은 4~5년 정도다. 신영마라톤펀드를 운용하고 있는 김대환 본부장은 이 펀드를 14년째 담당하고 있다. 이 대표는 “가치주는 장기 투자로 접근해야 하는데 펀드매니저 교체가 잦으면 운용전략이 흔들려 좋은 성적을 내기 어렵다”며 “미국 운용사에선 70세가 넘는 펀드매니저가 있을 정도”라고 설명했다.

펀드매니저 근속 연수 가장 길어

이 대표는 펀드매니저의 정년을 없앴다. 펀드매니저들이 50년 이상 한 펀드를 운용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인재 양성에도 힘을 쏟는다. 8년 전부터 매년 신입사원을 뽑아 회사의 운용 노하우와 철학을 전수한다. 그는 “그동안 경력직 채용도 해봤지만 가치주 운용철학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며 “펀드매니저로 키우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내부에서 육성하는 게 회사의 투자철학을 이어갈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금융권에 도입되고 있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해서도 “로보어드바이저는 분석이나 수익률 측정이 사람보다 나을 수 있어 일부 대체될 수 있지만 투자철학에 대한 사고는 한계가 있다”고 선을 그었다.

사실 단기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가치투자는 매력이 덜하다. 기업 가치에 비해 싼 주식을 보유하는 가치주는 장기간 투자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분위기가 달라졌다. 저금리·저성장 기조가 이어지고 증시가 박스권에 머무르는 동안 꾸준히 수익을 내서다. 여기에 정부가 배당이나 투자에 돈을 쓰지 않으면 세금을 물리는 ‘기업소득환류세제’를 도입하면서 배당주에도 관심이 커졌다. ‘신영마라톤펀드’와 ‘신영밸류고배당펀드’는 지난 5년 간 각각 47%, 7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동안 국내 주식형 펀드 평균 수익률은 -1.9%였다.

물론 성적이 늘 좋지만은 않았다. 지난 20년 간 41개 자산운용사 가운데 신영마라톤 펀드 연간 수익률이 4번이나 꼴찌를 기록했다. 마이너스 수익을 낼 때에는 투자자의 환매가 이어졌다. 그러나 운용 자산이 줄어도 한결같이 가치투자 원칙을 고수했다. 그 결과 중장기적으로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었고, 배당주 펀드에 14조원, 가치주 펀드에 5조원이 넘는 돈이 몰렸다. 이 대표는 “회사 설립 당시에는 은행 정기예금 이자율(약 7%)의 두 배, 지금은 정기예금보다 3~4배 많은 수익을 내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자산가라면 원자재 펀드에 투자할 만”

가치주 펀드와 배당주 펀드는 운용 전략이 비슷하다. 한 가지 차이점은 배당수익률이다. 배당을 잘하는 기업은 기본적으로 가치주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포트폴리오가 비슷할 가능성이 크다. 이 대표는 “가치주와 배당주 펀드라고 해서 중소형주가 많다고 생각하는 데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대형주 비중은 70% 이상”이라며 “금융위기 이후 기업 가치에 비해 대형주 주가가 많이 싸졌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배당주에 돈이 몰리는 것에 대해서도 “일시적인 상황이나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1990년대 미국 투자자들은 기업의 배당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들은 배당을 하지 않으면 주주를 파트너로 보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정도다. 원국희 신영증권 회장은 1971년 신영증권을 인수한 뒤 단 한 번도 배당을 거른 적이 없다. 자산운용사를 세울 때 배당주 펀드를 만들라고 했던 것도 원 회장이다.

이상진 대표는 “꾸준히 배당을 했다는 건 그만큼 기업이 성실하고 경영인의 경영철학이 확고하다는 얘기”라며 “장기 투자는 이처럼 단순히 장기간 투자하는 게 아니라 돈을 벌어주는 좋은 기업에 오래 투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좋은 기업에 투자하려면 계속 점검해야 한다. 그는 “펀드매니저에게 펀드에 담고 있는 기업은 1년에 4번씩은 꼭 가보라고 말한다”며 “3년간 12번 가보면 회사 직원의 표정이나 회사 분위기 만으로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현재를 저성장, 마이너스 금리로 ‘투자 빙하기’라고 말한다. 그는 “주가 상승을 기대할 말한 호재가 없는 상황에서 특정 주식이나 섹터 투자로 돈 벌기는 쉽지 않다”며 “가치주나 배당주는 반드시 투자해야 할 금융상품”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가 지수 움직임에 연동되는 인덱스펀드나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할 계획이라면 차라리 은행 예금이나 국채에 묶어놓는 게 낫다”며 “단 자산가라면 지금 가격이 많이 하락한 원자재 펀드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덧붙였다.

- 김성희 기자 kim.sunghee@joongang.co.kr

1327호 (2016.03.28)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