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무엇을 바꿀 것인가 

 

문형구 고려대 경영대학 교수

새해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사람들이 언제나 강조하는 것은 변화에 대한 갈망이다. 특히 지난 몇 개월 지독한 참담함 속에서 2016년을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지금 대한민국의 심정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광장의 촛불이 한결같이 요구하고 있는 것도 다를 바 없다. 세계 정치 지평이 급격하게 요동치는 것 역시 근본 이유도 변화에 대한 갈망이다.

본질적인 변화에 직면한 새해 한국이 처한 상황은 암울하다. 조선·철강 등 주요 산업의 경쟁력 약화, 내수시장의 지속적 침체 등 경제적 어려움은 그 대처 방안을 찾기 어려울 정도다. 강력한 지도자들이 포진한 주변국가들의 국수주의적 성향과 아무도 짐작조차 못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적,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단순히 변화만을 외칠 것이 아니라 어떤 변화를 만들어내야 하는지 진지하게 성찰해야 한다.

변화를 추구함에 있어 우리가 꼭 지켜야 할 원칙은 무엇일까.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세계가 겪고 있는 문제의 가장 깊은 곳에는 전방위적 양극화가 있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모든 변화는 사회의 모든 측면에 확산해 가고 있는 양극화를 줄여야 한다는 원칙에 기반해야 한다. 양극화는 사회구조에 의해 확산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개인의 끊임없는 탐욕에 기인하는 바도 크다.

첫째, 2017년은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자신의 탐욕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새해가 되면 좋겠다.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은 ‘탐욕이 언제 사회의 악의 근원이 되고, 언제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가’ 하는 점이다. 최근의 한 연구는 탐욕은 자신과 타인, 인식과 감정의 내적 싸움이 만들어내는 복잡한 사회적 현상이라고 보고 있다. 탐욕은 단순히 많거나 작은 양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발현되고 억제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탐욕과 관련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수·죄악·사고 등으로 특정인의 상황이 나빠지면 보상적 정의(해를 입은 사람에 대한 보상) 혹은 징벌적 정의(해를 끼친 사람에 대한 처벌)에 의해 다시 균형 상태를 이룬다고 주장했다. 사회의 도덕적 균형을 이루기 위한 제도의 변화도 중요하지만, 개별 행위자 자신의 균형 상태도 중요하다. 즉 정기적이면서 지속적으로 도덕적 균형을 이루려는 내부의 성찰이 중요하다. 자신과 사회를 위하겠다는 생각과 행동이 사실은 자신의 이익만을 위한 탐욕의 산물은 아닌지 지속적으로 따져 묻는 사회가 되면 좋겠다.

둘째, 시민단체와 정부·정치권 그리고 기업 모두 지금까지 사회의 요구에 대한 반응으로서 활동을 해 왔다면, 이제는 좀 더 능동적으로 주체성을 가지고 양극화 해소라는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방안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당장 격차를 잠시 줄여주는 대증요법이 아니라 본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노력을 보고 싶다. 본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혁신이나 모범적 활동을 통해 사회의 가치관이나 인식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활동이 필요하다. 권력 자체에 집착하지 않고 특권을 내려놓는 정치인, 협력 회사와의 상생을 성과 평가의 주요 요소로 삼는 기업, 투명하면서도 사회적 임팩트를 만들어 내는 시민사회 등의 모범적 활동이 사회의 본질적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1368호 (2017.01.16)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