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가계發 금융위기 전주곡들 

 

외부기고자 강위석 월간 에머지 편집인
1953년 휴전을 전후하여 전쟁으로 파괴된 서울에서 주택 재건이 시작되었다. 땅을 사서 집을 짓고 싶어도 돈을 마련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많았다. 안방·건넌방·문간방, 이렇게 방이 셋 있는 집을 짓고는 그 가운데 한 칸은 전세를 주는 방식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전세 돈을 받아서 건축비를 벌충했다. 집주인으로서는 자금 마련 외에도 비싼 이자를 절약할 수 있었다.



50년대에는 한 해에 물가가 수십 퍼센트씩 올랐고 70년대까지도 십수 퍼센트씩 올랐다. 물가 중에서도 가장 크게 오른 것이 땅값이었다. 집을 사 두면 땅값 상승의 이익을 챙길 수 있었다. 전세 든 사람은 집값이 상승하면 손해를 보았다. 전세권은 현물 자산이 아니라 금융자산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느 정도 돈이 모이면 자기 집을 마련하는 것이 꿈이 되었다. 이 꿈을 실현하기 위하여 집을 사고는 방 한 칸을 전세 놓는 방식을 선택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583호 (2021.05.0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