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자동차 사고율 제로에 도전 

자율 주행 자동차 

유길용 이코노미스트기자
구글·애플 개발에 완성차 업체 가세 ... 안전성 확보, 제도 정비가 대중화 관건

▎스위스 자동차 튜닝 전문업체 린스피드가 3월 제네바 모터쇼에 선보일 자율 주행 자동차 ‘엑스체인지’.



2035년 1월 8일 오후, 회사원 차미래씨에게 대전 출장 지시가 내려졌다. 차씨는 스마트폰 운전자 애플리케이션을 열어 목적지를 입력하고 호출 버튼을 클릭했다. 사무실을 나서자 차씨의 승용차가 지하주차장에서 막 나오고 있었다. 차씨의 차는 구글이 자사 브랜드로 처음 출시한 스마트카다. 차량용 운영체제(OS)를 개발해온 구글과 애플은 최근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스마트카를 시장에 내놨다. 완성차 업체들의 생산 물량 상당수가 두 IT 기업의 엠블럼을 달고 나온다.

라디오에서 자율 주행 시스템을 장착하지 않은 차량 운전자가 교통사고를 일으켰다는 뉴스가 흘러 나왔다. 자율 주행 시스템 장착 의무화 논란이 화두다. 차씨가 미팅 서류 검토에 몰두한 사이 목적지에 도착했다. 차씨는 배터리 자동 충전 기능을 켠 뒤 차에서 내렸다. 승용차가 무선 충전이 가능한 주차면에 스스로 주차하자 배터리 급속 충전이 시작됐다.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나올 장면이 아니다. 이르면 10년 안에 현실에서 흔히 볼 수도 있다. 관련 기술은 이미 개발됐다. 상용화를 위한 테스트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자율 주행 자동차’기술이다. 20년 후에는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의 75%를 차지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 기술을 단순화하면 이렇다. 사람의 눈에 해당하는 카메라와 레이더가 사물과 도로상황을 인식해 차량의 동력·조향·제동장치를 제어한다. 사람보다 정확한 판단과 조치로 사고율 제로를 실현하는 게 이 기술의 최종 목표다.

IT업체인 구글이 가장 적극적이다. 구글은 2010년에 도요타의 전기차 프리우스를 개조한 자율 주행 자동차를 처음 선보였다. 이어 렉서스·아우디 등 10여대의 실험용 차를 개발해 미국 캘리포니아와 샌프란시스코의 일반 도로에서 시험주행을 시작했다. 지금까지 시험주행 한 거리가 42만㎞. 사고도 없었다. 최근에는 현대자동차·아우디·GM·혼다와 손잡고 ‘열린자동차연합(OAA)’을 창설했다.

애플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해 6월 차량용 운영체제인 ‘iOS in the car’를 발표하고 자사 스마트 기기들을 자동차와 연동시키겠다고 했다. BMW와 메르세데스벤츠가 손을 잡았다. IT분야 리서치업체인 가트너는 “자동차야말로 궁극적으로 모바일 기기가 되어 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에선 삼성전자·SK텔레콤·KT 등이 자율 주행 자동차 기술을 포함한 스마트카 기술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전자장치 부품과 시스템을 국산화하기 위해 2012년 5월 현대오트론을 설립했다. 자율 주행 자동차가 상용화되려면 몇 가지 과제가 있다. 스마트폰은 에러가 나도 재부팅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달리는 자동차라면 얘기가 다르다. 구글이 상용화 가능한 자율 주행 자동차를 개발하고도 출시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다.

국내에서는 자동차 관련 법규가 기술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 국내에서 자율 주행 자동차의 일반도로 주행은 불법이다. 미국은 12개 주에서 자율 주행 차량 관련 법을 제정했거나 심사 중이다. 또 자율 주행 자동차의 사고 때 제조사와 탑승자의 책임을 가리는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스마트카PD실 조광오 박사는 “자율 주행 기술은 운전보조장치란 이름으로 이미 부분적으로 상용화되고 있다”며 “운전제어권을 완전히 기계에 넘기는 궁극적인 목표가 실현되면 자동차와 IT 산업 구조가 혁명적으로 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1221호 (2014.01.20)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