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대기업 계열사 ‘수퍼 주총데이’ - 소액주주 무시하는 관행 해마다 되풀이 

 

박상주 이코노미스트 기자
35개 재벌 계열사 중 31개사 3월 14일에 정기 주총 …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로 대거 선임



3월 14일은 ‘수퍼 주총데이’다. 재벌 계열사가 한 날 한 시에 정기 주주총회 날짜를 잡으면서 붙은 이름이다. 올해도 이런 관행은 계속 된다. 소액주주들의 발언권과 의결권을 무력화하기 위해 기업들이 주총일을 사실상 담합한 것이다. 10대 그룹에 속한 계열사 중 12월 결산 상장사 35개사 가운데 31개사(88.6%)가 3월 14일로 주총 날짜를 맞췄다.

소액주주들은 매년 되풀이되는 대기업들의 이런 관행이 주주의 권리를 무시하는 불공정 행위라고 비판한다. 이 때문에 소액주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주총에 전자투표 도입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는 크게 2가지로 주총데이가 나뉜다. 3월 14일은 재벌 계열사가 대부분 몰린 ‘수퍼 주총데이’이고 그 다음 주인 3월 21일은 나머지 회사가 몰린 ‘미니 주총데이’다. 삼성그룹 계열사 12개사는 3월 14일 오전 9시를 기해 동시다발로 주주총회를 연다. 삼성증권·삼성생명 등 삼성 계열사 주식을 가진 주주들이 이 주총에 참여하려면 물리적으로 1개사만 선택해야 한다.

전자투표 도입 의무화 주장 제기

현대차와 LG·GS 등 다른 그룹도 상황은 비슷하다. 현대차그룹의 경우 현대자동차·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현대위아·현대제철·현대비앤지스틸 등 7개사가 이날 주총을 연다. 현대하이스코만 3월 21일로 주총을 잡았다. LG그룹도 마찬가지다. LG상사·LG생명과학·LG생활건강·LG유플러스·LG하우시스·LG화학·지투알 등 7개사가 이날 주총을 연다. 신세계 주총 역시 14일이다.

GS그룹은 수퍼 주총데이와 미니 주총데이 2개로 나눴다. GS홈쇼핑·코스모신소재 등이 3월 14일 주총을 연다. GS·GS건설·GS글로벌·코스모화학 등이 그 다음 주인 21일로 주총을 몰았다. LS산전도 21일이다. SK그룹은 16개 계열사 중 SK텔레콤만 3월 21일로 주총일을 공시한 상태다. 효성도 주총을 3월 21일로 잡았다. 롯데·현대중공업·한진·한화·두산 등 5개 그룹은 아직 계열사 정 주총 날짜를 공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예년에비춰보면 올해도 거의 한 날로 주총을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수퍼 주총데이는 전자업체들의 주총데이기도 하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SDI·삼성전기·LG전자·LG이노텍 등 국내전자업체 대표주자들이 같은 날 주총을 열기 때문이다. 전자 세트업체 대표주자와 이들 계열사 부품 공급처들이 같은 날 주총을 열어 전자업계 전반이 이날 동시에 이사의 선임 등을 결정한다. 다만 LG디스플레이만 전자업체 주총데이보다 1주 빠른 3월 7일 9시 30분에 파주 사업장에서 주총을 가진다.

이번 주총데이에서는 동양 사태 등 대기업 총수의 경영책임, 실적 악화에도 상향된 임원 보수, 주주환원 정책 강화 등이 주요 이슈가 될 전망이다. 특히 지난해 연이어 드러난 재벌 총수들의 도덕적 해이가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재벌 총수들이 기소와 구속을 반복한 것에 대해 주주들이 직접 발언할 수 있는 기회가 주주총회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이번 주총데이에서는 국민연금이 의결권을 강화해 임원 선임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의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주총데이는 특히 등기임원에 대한 경영평가 등의 이야기가 무성할 전망이다. 이번 주총에서 등기임원에 도전하겠다는 뜻을 밝힌 경영자는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웅렬 코오롱 회장, 조석래 효성 회장 등이다. 이들 등기임원에 관심이 모이는 것은 올해부터 연봉 5억원을 넘긴 등기이사는 개인별 연봉을 사업보고서를 통해 공개해야 하기 때문이다.


개인별 연봉이 기업 운영에 문제가 될 수 있는지 등을 주주들이 직접 보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이번 주총을 통해 경영권 변화도 일부 일어날 전망이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9년 만에 현대제철 등기 임원에서 빠지고 자동차에만 주력하게 된다. 포스코는 권오준 체제를 주총을 통해 공식화한다.

총수의 경영책임, 임원 보수 등 거론될 듯

수퍼 주총데이는 새로 선임되는 이사들을 반대할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이날 소액주주의 반대를 무시하고 권력기관 출신 낙하산 인사를 대거 영입할 수 있었다. 올해도 마찬가지 현상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LG상사는 전 산업부 장관을 지낸 이희범 부회장을 사내이사로, 김정관 전 지식경제부 제2차관을 사외이사로 선임한다. LS산전은 이병국 전 서울지방국세청장을 사외이사 감사로 앉힌다.

삼성증권은 금융감독원 부원장을 지낸 송경철 법무법인 민 고문을 사내이사 감사로 들인다. 삼성생명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을 지낸 박봉흠씨를 사외이사로 재선임한다. 신세계는 부산고검 검사장을 지낸 조근호 변호사를 사외이사 감사로 받는다.

현대위아는 대구지방국세청 감사관을 지낸 장항석씨를 사외이사로 재선임한다. 효성은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을 사외이사로, KT는 법무부 장관을 지낸 김종구 변호사를 사외이사 감사로 앉힐 예정이다. 한국전력공사는 사외이사로 13·15대 국회의원을 지낸 이강희 인천시 원로자문위원회 위원과 18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조전혁 명지대 교양학부 교수, 최교일 전 서울중앙지검장 등 3명을 선임했다.

1227호 (2014.03.10)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