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증세 논란 돌아보니우리나라 역대 어느 정부도 증세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그리고 그때마다 어느 정부든 국가 경제나 국민을 먼저 생각하기보다는 정치적인 계산 아래 일명 ‘꼼수 증세’로 불리는 우회 증세를 시도했다. 정치적으로 불리해지지 않기 위해서다.특히 정권이 바뀔 때마다 이런 우회 증세가 정쟁의 핵심 쟁점으로 전락했는가 하면, 지지층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정부나 여·야 모두 몸만 사리고 우물쭈물하다 넘어가버리고마는 촌극이 되풀이됐다. 정작 증세가 필요할 때, 증세가 필요한 곳에서 정부와 정치권이 제 구실을 하지 못해 부담을 계속 후대로 전가한 것이다.이런 면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비판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노무현 정부 시절 시도됐던 담뱃값 인상에 대해 야당 입장에서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히거나 모르쇠로 일관했던 장본인들이기 때문이다. 정치권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10년 전인 2004년 12월 국회 본회의 도중 담뱃값 인상을 골자로 하는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에 대한 표결에서 반대표를, 박 대통령은 기권표를 각각 던졌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때 찬성 164명에 반대 75명, 기권 5명으로 법안은 통과됐다.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등도 함께 반대표를 행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회 증세를 시도한 정부와 여당, 표심을 잃지 않고자 이를 격렬하게 반대한 야당. 10년전이나 지금이나 놀라우리만큼 한결같은 모습이다. 입지만 서로 바뀌었을 뿐이다. 박 대통령은 이때 기권표를 던질 만큼 비교적 신중한 편이었지만 이후 2005년 9월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영수회담에서 “담배와 소주는 서민들이 애용하는 것”이라며 분명한 반대 의사를 내비친 바 있다. 당시 담뱃값 500원의 인상에도 반대하다가 지금은 국민 건강 증진을 이유로 담뱃값 2000원 인상 카드를 꺼낼 만큼 태도가 180도 바뀌었다.
국가채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데…일련의 논란들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증세를 제대로 못하는 정치권의 분위기 때문에 국가 재정 부담이 고스란히 후대로 전가되고 있다는 점이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가채무는 2000~2012년 사이 연 평균 12.3%나 증가했다. 최근 심각한 재정위기에 처한 포르투갈(10.5%)·스페인(7.4%)·그리스(6.7%) 등의 남유럽 국가들보다 같은 기간 동안 수치상으로 더 높았다.시민경제사회연구소가 집계한 최근 우리 정부별 연 평균 국가채무 증가분을 보면 노무현 정부 때 연 평균 22조5000억원이었던 규모가 이명박 정부 들어 30조2000억원으로 늘었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다시 41조6000억원까지 증가했다(3년간 평균치). 갈수록 증가분이 많아지고 있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연도별로 보면 2010년 392조2000억원이던 국가채무는 지난해 482조6000억원으로 급증했다.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올해는 518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는 1997년 60조3000억원의 8.5배에 달하는 규모다.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국가채무 비율이 2020년 41.1%, 2030년 70.6%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채무가 이처럼 점점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불고 있고 경제 사정도 안좋은데 정부는 ‘증세는 없다’는 솔직하지 못한 말만 되풀이한다. 증세 정공법을 쓸 수 있을 만큼 국민 신뢰를 받지 못하는 정부라는 것을 자인하는 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