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태양광 전쟁 2라운드 - 쨍하고 해뜰날 머지않아? 

저유가에도 中·日이 끌고 美·유럽이 밀고 … 경기 침체에 신흥국 수요 부진 

쑥쑥 크던 태양광산업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발목을 잡힌 이후 어둠 속을 헤맸다. 경기 침체에 각국 정부는 지갑을 닫았고, 보조금 혜택만 바라보던 기업들이 우후죽순 무너졌다. 남은 기업들도 경쟁에 치여 한껏 몸을 웅크렸다. 4~5년 간 이어졌던 암흑기가 서서히 저물고 있다. 지난해 유가 폭락에도 태양광 시장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올해도 전망이 나쁘지 않다. 제2의 태양광 전쟁이 세계 곳곳에서 시작될 분위기다. 침체기를 거치며 시장의 중심축이 유럽에서 아시아로, 수요는 발전사업자에서 민간으로 이동하는 중이다. 업계가 주목하는 분야도 원료에서 발전사업으로 바뀌고 있다. 태양광산업의 최신 동향과 국내외 태양광 기업의 고민, 그리고 미래 전략을 짚어봤다.

▎지난해 한화그룹은 태양광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지 4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한화솔라원의 모듈이 적용된 중국 쉬저우의 태양광 발전소.
인류에게 ‘성장’이란 ‘소비’의 다른 말이다. 성장 속도가 빠르다는 건 쓰는 속도가 빠르다는 말과 같다. 전 세계는 최근 100년 동안 그 이전 1000년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이는 자원에 예속된 성장이었다. 만약 석유가 없었다면, 석유를 빨리 많이 캐내는 방법을 찾지 못했다면 아마 세계 경제의 성장 속도는 훨씬 더뎠을 거다. 그렇게 펑펑 써대며 여기까지 왔지만 ‘고갈’과 ‘환경오염’이란 두 장애물이 인류를 가로막았다. 재생에너지가 대안으로 떠올랐고, 맏형 격인 태양광은 특히 주목을 많이 받았다. 태양이 사라지지 않는 한 고갈의 우려도, 환경오염 걱정도 없어서다.

“이게 뭐지?” 1990년대 학교나 가정에서 흔히 쓰던 계산기 중 상당수는 일본 샤프나 카시오 제품이었다. 액정 위쪽에 검은색 작은 판넬이 붙어 있었는데 이것의 정체는 바로 태양광 셀(Cell)이었다. 사용자의 대부분은 이게 왜 달려있는지 몰랐다. 사실 계산기를 작동시키는 건 태양광이 아니라 건전지였다. 이 셀만으로는 계산기를 구동할 만한 전력을 생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니 모를 만했다. 그래도 이름은 ‘태양광 계산기’였다. 이런 계산기가 시장에 등장한 건 1980년대 일본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한 ‘선샤인 프로젝트’ 이후였다. 제2차 오일쇼크를 거치면서 에너지 자립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낀 일본은 태양광산업에 엄청난 돈을 투자하며 국가 사업으로 밀어붙였다. 샤프·교세라·산요 등이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바탕으로 태양광 지붕을 생산하기 시작한 것도 이맘때쯤이다.

태양광 시장 중심축 유럽→일본·중국


당장이라도 태양광의 시대가 열릴 것 같았지만 좀처럼 실체가 손에 잡히지 않는다. 각국 정부(주로 석유 수입국)와 기업이 태양광에 돈을 투자하기 시작한 지 약 40년이 지났다. 비교적 느렸던 우리나라도 ‘대체에너지 기술개발·보급 기본계획’을 세운 지 올해로 15년째다. 되든 안되든 2000년대 중반까진 꽤나 힘을 쏟았다. 유럽과 일본이 특히 전향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사실 태양광은 경제성이 가장 떨어지는 에너지원이다. 석탄·석유·원자력 등 주류 에너지원은 물론 수력·풍력 등 다른 재생에너지원과 비교해도 생산비용이 비싸다. 그래서 나온게 발전차액지원제도(FIT)다. 전력회사가 정부에서 정한 가격에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를 구입하는 대신 정부의 지원을 받아 원가를 보전하는 제도다. 독일은 한때 갈탄 등을 이용한 재래형 전력 비용보다 5배 비싼 가격에 태양광 발전 전기를 사줬다. FIT는 꽤나 효과가 컸다. 이런 지원책 덕분에 2007년까지 태양광 수요는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태양광 수요의 바로미터인 폴리 실리콘 가격은 2008년 여름 한 때 ㎏당 300달러로 치솟았다. 오히려 공급 부족을 걱정해야 할 수준이었다.

그러나 2008년 찾아온 글로벌 금융위기는 태양광 업계에 치명상을 입혔다. 화끈했던 정부 지원이 줄어들자 수요가 급감했다. 폴리실리콘 가격은 급속히 떨어졌고, 셀과 모듈 가격 역시 고점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급락했다. 수요 증가에 대규모 투자를 감행했던 태양광 기업들은 곤경에 처했다. 글로벌 1위 태양전지 업체였던 독일 큐셀(Q-Cell)이 파산했고, 자웅을 겨루던 중국 썬텍(Suntech)도 문을 닫았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하면서 태양광이 원자력 수요를 흡수할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이어졌지만 희망사항일 뿐이었다. 수요는 좀처럼 늘지 않았고, 오히려 공급 과잉에 시달리던 업체들이 쌓아뒀던 재고를 쏟아내면서 폴리실리콘 가격은 ㎏당 60달러에서 20달러대로 또 한번 폭락했다. 4년 만에 10분의 1로 쪼그라든 셈이다. 교통정리가 시작됐고, 버티지 못한 많은 기업이 파산하거나 사업에서 손을 뗐다. 2010년까지 시장점유율 상위권을 지키던 기업 대부분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태양광 발전 단가 5년 새 절반으로


▎일본 태양광 발전소 중 최대 규모인 미토 태양광 발전소가 2월 준공됐다. LS산전은 이 발전소에 태양전지 모듈과 전력 개폐장치(RMU), 변압기 등 주요 설비를 공급했다.
그렇게 한껏 웅크렸던 태양광 기업들이 4년간의 암흑기를 벗어나 조금씩 빛을 보고 있다. 꾸준한 수요 회복이 기대돼서다. 지난해 전 세계 태양광 설치량은 47GW로 전년 대비 16% 늘었다. 올해도 15~20%대의 성장은 무난하리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중국과 일본이 수요 증가를 이끌고 미국과 유럽이 뒤를 받치는 형태의 큰 그림이 유지될 것이란 전망이다. 강정화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재생에너지 지원액(23억5000만 달러) 중 90%를 태양광에 쏟아 붓는 일본과 지난 3월 양회에서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와 투자 증대를 의결한 중국은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이라며 “전년 대비 설치량이 100% 증가한 영국과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민간 태양광 설치가 활발한 미국도 당분간 좋은 흐름을 나타낼 전망”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하반기 급속히 진행된 유가 하락이 태양광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것이란 우려가 많았지만 영향력은 크지 않았다. 유가 하락기에 늘 주춤했던 과거와 달라진 모습이다. 실제로 지난해 6월부터 시작된 유가 급락에도 폴리실리콘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했다. 글로벌 태양광 기업들의 실적도 1·2분기에 비해 3·4분기가 훨씬 좋았다. 각국 정부가 유가와 무관하게 큰 틀에서 ‘재생에너지 확대’라는 정책 방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광우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2009년 경기 침체에 따른 유가 하락기엔 각국 정부의 재생에너지 투자 위축이 확연히 드러났지만 지난해 하반기 유가 하락기엔 전 세계 재생에너지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며 “저유가에도 녹색성장이란 기조 자체는 변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최근 국내 태양광 기업 CEO들이 유가 하락에 따른 침체 우려가 제기되자 적극 방어에 나선 것도 이런 자신감의 표현으로 보인다. 이우현 OCI 사장은 2월 11일 열린 실적설명회에서 저유가와 태양광이 무관함을 설명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전 세계에서 원유로 전력을 생산하는 비중은 전체의 4%에 불과해 상관성이 거의 없다”며 “오히려 전기 가격과 밀접하고, 전기 가격이 오를수록 태양광 발전의 경쟁력이 제고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관 한화큐셀 상무 역시 1월 폭스TV와의 인터뷰에서 “전력용으로 사용되는 원유량은 산유국을 제외하면 극히 제한적”이라며 “전 세계 전력생산의 주원료인 천연가스가 미국 시장에서 지난 수년간 매우 낮은 가격대를 유지했지만 태양광 시장 수요는 빠른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설치 비용이 줄어든 것도 고무적이다. 최근 몇 년간 폴리실리콘 가격이 꾸준히 하락하면서 폴리실리콘이 태양광 모듈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 아래로 떨어졌다. 공급 과잉 상태라 폴리실리콘 가격이 급격히 상승할 가능성은 작다고 볼 때 수요 측면에서 부담이 많이 줄었다. 태양광 수요는 폴리실리콘 가격에 예민할 수밖에 없다. 폴리실리콘으로 만든 모듈이 전체의 90%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미국 퍼스트 솔라(First Solar)와 같은 회사가 비(非) 폴리실리콘 모듈을 만들기도 하지만 폴리실리콘 가격이 2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서 경쟁력을 잃었다. 중국 업체들의 치열한 경쟁 구도 속에 모듈 가격도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3월 기준으로 폴리실리콘(단결정) 모듈 가격은 와트(W)당 0.82달러, 다결정은 와트당 0.7달러로 전년 대비 각각 12%씩 하락했다. 세계 모듈 생산량의 80%를 담당하는 중국 업체들의 공장 가동률이 60% 수준임을 감안하면 당분간 가격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전력 생산비용도 점점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에 접근하고 있다. 그리드 패리티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데 드는 발전 단가가 화석연료 발전 단가와 같아지는 시점을 말한다. 전기요금이 오르거나 태양광 발전 비용이 낮아지면 도달 시점이 빨라진다. 실제로 태양광의 평균 발전 단가는 꾸준히 떨어져 지난해 kWh당 0.14달러로 내려왔다. 여전히 석탄(0.065달러)·가스(0.075달러)보다 2배가량 비싸고, 같은 재생에너지원인 풍력(0.08달러)보다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다른 에너지원의 발전 단가가 매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 달리 태양광은 5년 전(2009년)과 비교해 절반으로 줄었다. 방기열 고려대 그린스쿨대학원 교수는 “예전엔 그리드 패리티가 2018년 이후 도래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지만 최근엔 올해(2015년)도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드 패리티는 발전소의 위치나 규모에 따라 다르다. 광량이나 효율의 차이가 있어서다. 강정화 선임 연구원은 “대규모 발전소의 경우 여전히 태양광의 발전 비용이 비싸지만 일부 소규모(가정용) 태양광 발전의 경우 유통 과정을 거친 소매 전기 가격과 비교할 때 사실상 그리드 패리티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여전히 정부 지원에 목맬 수밖에 없는 구조

오랜만에 시장에 볕이 드니 기업의 움직임도 바빠졌다. 최근엔 특히 발전사업에 관심을 갖는 기업이 많아졌다. 이른바 다운스트림으로의 방향 전환이다. 이전까지 태양광 기업들은 주로 업스트림(폴리실리콘·웨이퍼·태양전지 등 원료 생산)에 주력했다.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쟁이 심화되며 가격이 떨어졌고, 수익성이 크게 나빠졌다. 이 때문에 최근 글로벌 태양광 기업의 상당수는 기본 제품을 바탕으로 발전소를 짓고, 직접 운영하는 다운스트림 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2009년 가장 먼저 다운스트림으로 눈길을 돌린 미국 퍼스트솔라는 폴리실리콘 가격 폭락에 따른 비폴리실리콘 모듈의 부진에도 꾸준한 이익을 내고 있다. 세계 1위 폴리실리콘 생산업체인 중국 GCL도 셀·모듈 생산을 제외한 발전소 건설, 운영시스템 개발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다.

국내 기업 중에선 가장 선두에 서 있는 한화가 주목하는 것도 이 분야다. 최근 일본에서 태양광 발전소 건설로 굵직한 성과를 거둔 한화그룹은 지난해 태양광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지 4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그룹의 태양광 사업 부문 매출은 2조원을 돌파했고, 영업이익 86억원을 거뒀다. 아직 미미하지만 오랜 불황을 견뎌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이은 인수·합병(M&A)으로 자산 규모도 4조원대로 커졌는데 이로써 한화는 폴리실리콘부터 발전사업까지 수직계열화에 성공한 거의 유일한 기업이 됐다. 2월 한화큐셀과 한화솔라원을 ‘한화큐셀’로 통합하며 본격적인 시장 확대에 나섰다. 두 회사의 모듈 생산력을 합하면 글로벌 1~2위를 다툴 수 있다. 그 밖에 글로벌 3위 폴리실리콘 생산업체 OCI와 LS산전 등도 2차 태양광 전쟁에 뛰어들 채비를 마쳤다.

IEA, 2050년엔 태양광이 전체 발전의 26%

분위기가 나아진 건 확실해 보이지만 당장 돈이 될 거라 낙관하긴 어렵다. 기업 입장에선 넘어야 할 산이 너무 높다. 에너지 분야 세계적 석학인 다니엘 예긴은 자신의 저서 [2030 에너지전쟁]에서 태양광이 경쟁력을 가질 세 가지 조건을 이렇게 정리했다. ①전력 공급에 필요한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우주공간이나 밀림이거나 ②전기요금이 비싸고, 태양자원이 강렬할 때 ③보조금 등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을 경우다. ①은 수요를 찾기 어렵다고 볼 때 산업 성장의 관건은 ②와 ③에 달려 있지만 여전히 위험 요소가 많다. 전기요금이 당장 치솟지 않는다고 볼 때 발전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지 못하면 태양광의 성장 속도는 더딜 수밖에 없다.

정부 정책에 목맬 수밖에 없는 구조도 한계로 꼽힌다. 이제까지 태양광 시장은 각국 정부가 지원과 혜택을 통해 수요를 인위적으로 창출했다고 봐야 한다. 그러나 지원이나 보조금이란 건 언제든 바뀌거나 끝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억지로 부양한 수요가 한순간에 물거품처럼 사라질 수 있다. 일례로 미국은 태양광 산업 활성화를 위해 투자세액공제제도(ITC)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 제도는 2016년 말 종료된다. 그러면 태양광 설비에 대한 세금 공제율이 30%에서 10%로 줄어들게 된다. 오바마 대통령이 제도의 영구화를 강력히 주장하고 있어 올해부터 연장이 본격적으로 논의될 전망이지만 공화당은 반대하는 입장이다. 연장에 실패하면 수요가 급감할 가능성이 크다.

원래 태양광은 돈 벌기 좋은 사업이었다. 원료 가격이 치솟던 시절 엄청난 이익을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그런 시절은 다시 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폴리실리콘과 모듈 가격이 떨어져 수요가 늘어나는 건 반갑지만 수익성은 이미 최악으로 떨어졌다. 현재 주요 업스트림 업체들은 폴리실리콘과 모듈 가격이 너무 떨어져 팔아도 남는 게 없는 처지다. 세계 시장을 점령한 중국 모듈 업체 대부분은 매출은 많은데 이익률은 낮다. 그럼에도 경쟁은 여전히 치열하고, 가격이 크게 요동칠 가능성도 작다. 향후 전망이 좋은 것과 기업이 돈을 벌기 좋은 건 전혀 다른 차원이란 뜻이다.

더구나 앞으로는 가격 경쟁만으로는 안 된다. 강정화 선임연구원은 “가정용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가 전자제품과 같은 시선에서 태양광을 바라보게 될 것”이라며 “이미 미국에선 렌털과 태양광 대출 시장이 활발한데 이런 소비자의 눈높이를 맞출 기업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양성진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역시 “정책적 지원에 따른 태양광 시장 확대 기간이 끝나고 수요의 성격이 실소비형, 수익 창출형으로 바뀌고 있다”며 “낮은 가격은 기본이고, 제품 생애기간 내 비용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성 확보, 애프터 서비스 등이 필수적인 경쟁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흥국의 성장세가 너무 더딘 점도 부담스럽다. 태양광 수요는 한때 글로벌 시장의 80%를 차지했던 유럽 지역에서 중국·일본이 주도하는 아시아 지역으로 넘어왔다. 모든 산업이 그렇듯 하나의 시장이 포화상태가 다다르면 다른 시장이 커줘야 한다. 그러나 장기적 경제 침체에 발이 묶인 신흥국들은 태양광 투자를 늘릴 여력이 별로 없다. 올해 인도 태양광 시장이 전년 대비 200% 증가한 2.6GW에 달할 전망이지만 브라질이나 멕시코 등은 여전히 연간 100MW급의 미미한 수요만 관측된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경우 성장 속도는 더욱 더뎌질 터다.

어쨌든 전진은 확실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해 신재생에너지가 전 세계에서 소비한 총 전력의 22%를 담당했다고 발표했다. 10년 전만 해도 10% 초반이었다. 2050년이면 그 비중이 60%로 늘고, 그중 태양광이 핵심으로 부상해 전 세계 발전량의 26%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IEA는 전망했다. 잔칫상은 더욱 화려해지는데 초대 손님 또한 많다. 젓가락만 있으면 배불리 먹던 시절도 끝났다. 잡채라도 한 점 맛보려면 한국 기업들이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1281호 (2015.04.20)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