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기업의 진정한 사회적 책임 

 

황인학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기업의 유일무이한 사회적 책임은 법과 규범의 테두리 안에서 회사 이익을 키우는 데 온 힘을 다하는 것이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며 시카고 학파를 이끌었던 밀턴 프리드먼이 살아생전 늘 강조했던 말이다.

기업은 법에 의해 재산권과 계약권 등을 인정받은 법인(法人)이니 법률적 책임을 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법을 넘어서 도덕 감정과 윤리에 기초한 사회적 책임까지 기업에 요구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논란거리이다. 이와 관련 프리드먼은 단호했다. 사회적 책임은 사람, 즉 자연인의 문제이며 법인에까지 확장할 성질이 아니라고 본 것이다. 그렇다면 외부의 요구가 아니라 기업인 스스로 하겠다면 어떨까. 이에 대해서도 프리드만은 “기업인이 사회적 책임 운운하며 회사의 자원으로 환경·사회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하는 것은 위선 아니면 정신분열증이며 자본주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천만한 발상”이라고 혹평한다.

그러나 현실은 반대로 흘렀다. 그 중심에는 국제연합(UN) 산하의 전문기구인 ‘UN 글로벌 콤팩트’가 있다. 이 기구는 기업이 책임 있는 기업시민으로 행동할 것과 다른 사회 주체와 협력해 지속가능한 글로벌 경제를 실현할 것을 목적으로 2000년 7월에 출범했다. 그 이후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반듯한 기업으로 보이고 싶은 후광효과(halo effect) 때문에, 다른 한편으로는 무책임한 기업으로 보이는 낙인효과(stigma effect)를 피하기 위해서 UN 글로벌 콤팩트에 가입하는 기업의 수는 꾸준히 늘었다. 현재는 전 세계 162개국 8400개가 넘는 기업이 가입했다. 이 중에 우리 기업은 155개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323호 (2016.02.29)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