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범 한화케미칼 사장은 한화그룹에서 손 꼽히는 ‘영업통’이다. 한화케미칼의 주력 제품인 폴리에틸렌(PE)과 폴리염화비닐(PVC)에서 사업부장(상무) 등을 거치며 10여 년 동안 영업 전선을 누볐다. 그런 김 사장은 지난 2014년 말 한화케미칼 대표이사로 취임한 후부턴 대부분의 시간을 울산·여수 등 생산현장을 둘러보는 데 쓴다. 영업의 기본은 제품의 생산과 기술 개발에 있다는 경영철학을 갖고 있어서다. 품질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영업력도 발휘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런 노력 덕일까. 김 사장이 취임한 이듬해인 2015년 한화케미칼 당기순이익은 1882억원, 순이익률은 2.25%로 전년 대비 대폭 확대됐다. 2014년 국제 유가 급락과 울산공장 폭발사고로 당기순이익 114억원, 순이익률은 0.14%에 머물렀던 것과 비교하면 극적인 반전을 일궜다. 석유화학 계열사인 한화토탈과 한화종합화학을 ‘새 식구’로 맞아 지분법 이익이 증가하는 등의 부수적 효과도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영업 현장에서의 품질경쟁력 강화가 주효했다는 것이 내부 평가다.
김 사장은 앞으로도 연구개발(R&D)에 더욱 주력해 한화케미칼의 기술 경쟁력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범용 석유화학 제품은 중국이 시장을 잠식하고 있고 있어 미래에 대처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전망에서다. 이에 지난해 카이스트와 함께 ‘카이스트-한화케미칼 미래기술연구소’를 설립키로 합의했다. 미래연구소는 석유화학 관련 원천 기술 개발을 위해 2020년까지 5년 간 임시적으로 유지되는 조직이다. 미래연구소에는 카이스트의 이상엽 특훈 교수·이현주 교수와 15명의 박사과정이 포진해 차세대 원천기술 및 공정개발 등 11개의 과제를 해결할 예정이다. 김 사장도 지난 1월 사장실을 서울 본사에서 대전 미래연구소로 이전하며 R&D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의지를 보였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