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신상훈 전 신한금융 사장 금융계 복귀] ‘신한 사태’ 불명예 퇴진 6년 만에 ‘화려한 컴백’ 

 

박진석 기자 kailas@joongang.co.kr
민영화된 우리은행 사외이사로 선임 … 우리금융지주 부활 진두지휘할 듯

▎2014년 1월 중앙선데이와 인터뷰를 하던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의 모습. 신 전 사장은 당시
2010년 12월 6일 신상훈 당시 신한금융지주 사장이 전격 사퇴했다. 최고 경영진 간의 이전투구 양상으로 번진 ‘신한 사태’가 발발한 지 3개월 만의 일이었다. 그 해 9월 2일 신한은행이 직전 은행장이었던 그를 부당 대출과 자문료 횡령 등 혐의로 검찰에 고소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신한 사태는 촉발됐다. 금융당국이 라응찬 전 회장의 차명계좌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던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었다. 검찰의 기소 여부 결정이 임박해서야 신한금융과 신상훈 전 사장은 고소 취하와 사퇴를 맞바꾸는 조건으로 합의를 봤고, 그는 물러났다. 신 전 사장은 당시 “30년간 몸담은 목숨과 같은 조직을 더 이상 만신창이로 만들 수 없다”는 말을 남겼다.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거명

그리고 6년 뒤 신 전 사장은 우리은행 사외이사로 선임되면서 화려하게 금융계에 복귀했다. 다른 6곳 투자자와 함께 우리은행의 지분을 나눠 매입했던 한국투자증권이 그를 사외이사로 추천하면서다. 민영화한 우리은행의 사외이사는 다른 금융사나 기업의 사외이사와는 차원이 다르다. 실질적으로 경영을 주도하는 최고 경영진의 일원이다. 금융위원회가 우리은행 지분 29.7%를 7개 투자자에게 과점주주 분할 매각 방식으로 넘기면서 발생한 큰 변화 중 하나다. 우리은행은 최근 7개 과점주주들이 매입 대금을 모두 납부하면서 실질적으로 민영화했다. 12월 16일에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의결을 거쳐 예금보험공사가 우리은행과 맺었던 경영 정상화 이행약정(MOU)도 해지했다. 정부가 18년 만에 공식적으로 우리은행에서 손을 뗀 셈이다.

민영화한 우리은행은 각 주주들이 한 명씩의 사외이사를 내세워 공동경영을 맡는 실험적인 모델을 도입했다. 7개 주주들 중 재무적 투자자였던 미래에셋자산운용과 유진자산운용은 일찌감치 사외이사 추천권을 포기해 5명이 됐다. 한투가 신 전 사장을 추천한 데 이어 IMM 사모펀드(PE)는 장동우 IMM 인베스트먼트 사장, 한화생명은 노성태 전 한화경제연구원장, 키움증권은 박상용 전 공적자금관리위원장, 중국 안방보험이 대주주인 동양생명은 톈즈핑(田志平) 푸푸다오허 투자관리유한공사 부총경리를 사외이사로 내세웠다.

기존 이사진도 있지만 향후 우리은행 경영의 주축은 바로 이들이다. 현재 우리은행 이사회는 사내이사 4명(이광구 행장, 이동건·남기명 그룹장, 정수경 감사)과 기존 사외이사 6명, 비상근감사 1명(예금보험공사 추천) 등 총 11명으로 구성돼 있다. 여기에 과점주주 측 사외이사 5명이 추가되면 총 16명에 이른다. 하지만 기존 사외이사 6명 중 4명은 내년 3월에 임기가 만료된다. 금융권에서는 이들 6명이 연내에 자진 사퇴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사내이사들도 사실상 사외이사들이 새로 선임하게 돼 큰 의미가 없다.

이 중 단연 눈길을 끄는 이는 역시 신상훈 전 사장이다. 불명예 퇴진한 그가 경쟁사인 우리은행의 최고 경영진으로 화려하게 복귀하게 됐다는 것부터가 관심의 대상이다. 더구나 그는 유력한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거명되고 있다. 관심의 초점은 무엇보다 한투가 왜 그를 선임했느냐는 점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과점주주들 사이에서 “신 전 사장을 모셔와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주주들 대부분이 은행업을 경험해보지 못한 보험 또는 금융투자업계 인사들이라 신 전 사장의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는 후문이다. 이사회 내에 은행 경영 경험이 풍부한 인사가 있어야 경영진을 효율적으로 견제하고 주주들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다. 신 전 사장을 제외한 과점주주 측 사외이사들도 은행을 경영해 본 적이 없는 인사들이다.

반면 신 전 사장은 정통 은행맨이다. 그는 군산상고를 졸업한 1967년 산업은행에 입행해 은행권에 발을 들여놓은 뒤 82년 신한은행 창립멤버로 신한과의 인연을 시작했다. 이후 영동 지점장과 오사카지점장 등 핵심 지점장을 거쳐 입행 21년만인 2003년 은행장에 올랐다. 조흥은행과 합병한 2006년에는 통합은행장에 올랐고, 2009년부터 2년간 신한금융 사장도 맡았다. 우리은행은 신 전 사장에 대해 “신한은행장, 신한금융지주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금융분야에 있어 풍부한 업무 경험이 있다. 향후 우리은행의 장기적인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투가 그를 선택한 배경에 지역 연고를 감안했기 때문이라는 말도 나온다. 한투는 대표적인 호남 기반 증권사다. 신 전 사장도 은행권에서 대표적인 호남권 인사로 꼽혀왔다. 한투 측은 “우리은행뿐 아니라 인터넷 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에도 지분을 투자했다”며 “온·오프라인 시너지를 끌어내는 게 중요해 은행권 경험이 풍부한 신 전 사장을 추천했다”고 밝혔다.

“금융업 발전에 작은 힘 보탤 것”

6년 만에 금융계로 돌아온 신상훈 전 사장의 심정을 어떨까. 그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후배들 보기에 아직은 조심스러운 부분이 많지만 내가 몸담아 왔던 금융업계의 발전을 위해 작은 힘이라도 보탤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추천을 수락했다”고 말했다. 또 “은행과 지주사를 모두 경험했으니 우리은행이 앞으로 발전해 나가는 데 할 수 있는 역할이 있을 것”이라며 “필요한 조언을 하면서 금융 산업 발전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찾아보겠다”고 덧붙였다. 실제 신 전 사장이 할 일은 적지 않다. 당장 차기 행장 선임 작업이 급선무다. 정부가 강조하는 ‘우리은행 경영 자율성 보장’의 첫 시험대가 될 중요 이벤트다. 우리은행은 새 사외이사들을 중심으로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해 내년 3월 주주총회에서 이광구 우리은행장의 후임자를 결정한다. 물론 이 행장의 연임 가능성도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내가 과점주주라면 새로운 사람을 선임하는 모험을 하는 것보다는 경영 성적도 우수하고 낯이 익은 이광구 행장을 연임시키는 쪽을 선택할 것”이라며 “신 전 사장이 새 행장의 선임이나 이 행장의 연임 과정에서 큰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 전 사장은 우리금융지주의 부활에도 핵심 역할을 맡게 될 전망이다. 이광구 행장은 민영화 성공 직후 사내방송을 통해 “금융지주체제를 재구축해 종합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지주는 계열사 분할 매각이 진행되던 지난 2014년 11월 해체됐다. 당시 그룹 산하에 있던 우리투자증권, 우리아비바생명 등 자회사들이 다 매각됐다. 현재 우리카드 정도만이 자회사로 남아있다. 제대로 된 경쟁을 하려면 증권, 보험사 등을 다시 갖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야 한다는 게 이 행장의 생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 전 사장은 은행장뿐 아니라 국내 굴지의 금융지주 사장을 역임했던 인물”이라며 “우리은행이 금융지주로 다시 부활하는데 있어서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365호 (2016.12.26)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