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 “아파트 처분 상담하는 자산가 늘어”신(新)총부채상환비율(DTI)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보유세 강화 등 대출 규제 이후 자산가들의 부동산 처분 상담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 경영연구소가 올 1월과 3월 수도권 지역 KB자산관리전문가(PB)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지난해 16.4%였던 부동산 처분에 대한 자문·상담 요청 비율이 올 1분기에는 23.5%로 늘었다. 양도세 중과 시행과 대출금리 인상으로 부동산을 처분하고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늘어난 결과로 판단된다. 자산가들이 처분하기를 희망하는 보유 부동산으로 일반아파트가 가장 많았다. 일반아파트 처분 희망 비율은 지난해 25.9%에서 올 들어 37.3%로 늘었다. 다음으로는 상가와 토지로 각각 21.6%로 나타났다. 재건축 아파트를 처분하려고 한다는 응답은 5.9%로 낮았다. 자산가들은 주택 규제가 강화되고 대출도 까다로워지면서 규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수익형 부동산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들이 상가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지난해 39.3%에서 올해 1분기 47.1%로 증가했다. 한편 올해 부동산 주요 이슈로 역전세와 갭투자 리스크 부각을 꼽았다. 올해 재계약 시점이 도래하는 전세물량과 입주물량을 분석한 결과 경기도 화성과 남양주·용인 등 경기지역에서 역전세난 발생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전국 아파트 전세 재계약물량(39만8000호)의 31.4%에 해당하는 12만5000만호가 경기지역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신도시와 대규모 단지 입주로 전세 공급도 많아 역전세난 발생 가능성이 크다.
IBK경제연구소 | 기업 10곳 중 2곳만 유연근무제 도입정부는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유연근무제를 권장하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외면받고 있다. 지난 2016년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 한국 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률은 21.9%에 그쳤다. 국내 기업 10곳 중 2곳만 시행하고 있는 셈이다. 유연근무제는 근로자가 개인의 여건에 따라 근무 시간과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제도다. 근로시간단축제, 시차 출퇴근, 탄력적 근로, 재택근무, 스마트워크 등이 해당된다.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유연근무제 실시율이 떨어졌다. 직원 300인 이상이 근무하고 있는 대기업의 경우 유연근무제를 실시하지 않는 비율이 63%였지만,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에서는 73.8~82.5%로 커졌다. 중소기업 중에서도 100~299인 사업장의 도입률은 26.2%, 30~99인 사업장은 22.7%, 10~29인 사업장은 18.5%, 5~9인 사업장은 17.5% 등으로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도입률이 낮았다. 이는 인재를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중소기업에서도 적극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독일과 대비된다. 독일 중소기업은 58%가 유연근무시간제를 실시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종업원이 1∼4명인 기업의 53%, 5∼9명인 기업의 59%, 10∼49명인 기업의 65%, 49∼250명인 기업의 76%가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독일 중소기업은 파트타임제(74.8%)와 재택근무제(55.8%) 도입에 특히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에서 유연근무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한 요인으로는 관리자의 큰 관심이 주요했다.
한국은행 | “내년 상반기까지 반도체 호황 이어질 것”세계 반도체시장의 호황이 이어지고 있다.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반도체시장은 전년 대비 22% 성장한 4122억 달러를 기록했다. 2016년 2분기 이후 6분기 연속 증가세다. 지난해 세계 반도체시장은 전체 30.1%를 차지하는 메모리 반도체시장이 호황을 주도했다. 이는 2016년 세계 경제 회복세와 더불어 인공지능(AI)·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 등 인터넷데이터센터(IDC) 구축을 위한 메모리 반도체 D램과 낸드플래시 수요가 크게 늘어난 영향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D램이 성장세가 돋보였다. D램의 매출액은 연간 728억 달러로 전년 대비 76.8% 급증했다. 덩달아 낸드플래시(128GB)의 메모리 반도체 평균 가격은 전년보다 37.3% 올랐다. 69.9%를 차지하는 비메모리 반도체의 시장 규모도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했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차량용·산업용·사물인터넷(IoT) 통신기기 제품 확산에 따라 센서(Sensor)류를 중심으로 1년 전보다 9.9% 증가했다. 반도체 호황은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로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업체가 반도체시장에서 선전하면서 반도체시장 호황은 우리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세계 반도체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14.6%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인텔(13.8%)과 SK하이닉스(6.3%)가 뒤를 이었다. 다만 내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성장세가 차츰 꺾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신한은행 | 서울 지역별 평균 소득은?지난해 서울 직장인은 평균 223만원을 벌었다. 전문직은 377만원, 일반 사무직은 299만원, 자영업자는 172만원을 벌고 있었다. 신한은행이 지난해 12월 기준 자택 또는 직장 주소가 서울시로 등록된 고객 155만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다. 지역별로 월급이 가장 많은 지역은 종로구가 355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서울시의 1.59배였다. 이는 주요 기업 본사가 종로구에 밀집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SK본사가 있는 서린동(574만원)과 공평동(512만원), 세종로(376만원)가 급여 수준이 높았다. 중구(325만원), 영등포구(320만원), 서초구(312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여의도는 391만원, 강남 311만원, 상암은 306만원이었다.서울시 국민연금 수급자들의 연금 소득은 월 34만원 수준이다. 연금 소득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남·서초구로 46만원이다. 이 가운데 강남구 도곡동(57만원), 청담동(52만원), 송파구 잠실동(48만원)이 높게 집계됐다. 자영업자 소득은 서울 강남 지역이 가장 많았다. 특히 성형외과 등이 밀집한 논현동 일대 의료업종은 2000여만원에 달했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 “한국인 은퇴준비 수준 갈수록 하락”50대 이상 예비 은퇴자들의 노후 준비 수준이 갈수록 후퇴되고 있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가 25~74세 남녀 비은퇴자 19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은퇴준비지수 2018’에 따르면 한국인의 은퇴 준비 점수는 54.5점으로 ‘주의’(50~70점) 수준이었다. 2014년(57.2점)과 2016년(55.2점)보다 하락했다. 점수는 자기평가지수와 재무·건강·활동·관계 등 4개 항목의 실행점수를 합산해 100점 만점에 0~50점은 ‘위험’, 50~70점은 ‘주의’, 70~100점은 ‘양호’로 나뉜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은퇴 준비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지고 노후 불안감은 커지면서 지수가 계속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은퇴 준비가 잘돼 있는지 응답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자기 평가점수’는 2014년 57.7점에서 올해 49.6점으로 위험 수준으로 후퇴했다. 100세 시대에 대비해 열심히 노후 준비를 하지만 심리적 불안감은 오히려 더 커진 것이다. 은퇴 계획의 기본인 금전적 준비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준비 상황을 보여주는 재무 항목의 점수가 2년 전 61.1점에서 67.8점으로 6.7점 높아졌다. 수치상으로는 나아졌지만 세부 내용을 뜯어보면 우려는 커진다. ‘부동산 착시’ 효과 때문이다. 재무항목의 점수가 개선된 것은 응답자의 거주 주택 자산가치 상승과 은퇴 이후 그동안 모아놓은 자산을 쓰겠다는 응답자가 늘어나서다. 특히 20∼40대는 월평균 저축액이 일제히 늘었지만 은퇴를 앞둔 50대 이상의 저축 수준이 갈수록 나빠졌다. 50대는 2016년 53만원에서 올해 50만원으로, 60대 이상은 같은 기간 43만원에서 35만원으로 감소했다. 윤성은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부동산 가격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재무 준비 상황이 나아졌다고 보기 어렵다”며 “3층 연금(공적·퇴직·개인)에 가입해 노후 불확실성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경제연구원 | 한국 가계부채 증가폭 세계 5위한국의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다. 한국의 지난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4.4%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8년 3분기(73.9%)보다 20.5%포인트 높아졌다. 상승폭이 43개국 중 5번째로 높았다. 과다부채 임계치인 75% 수준을 뛰어넘은지 오래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는 99.4%로 집계됐다. 세계경제포럼(WEF)에선 GDP 대비 기업부채의 임계치를 80%로 보고 있다. 한국은 이보다 19.4%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들은 마이너스 금리를 통해 경기 부양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러나 지난해 말부터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으로 국내 시장금리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잇다. 한국 시장금리는 미국 시장금리와의 동조화가 밀접하다. 시장금리 인상에 따른 자금조달 비용 상승은 가계와 기업의 소비와 투자심리 악화 등 실물경제에 부정적일 수 있다. 박용정 현대경제연구원 선임 연구원은 “금리 인상기에는 주식·채권 투자의 변동성 증가를 경계해야 한다”며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로 신흥국발 신용위기 발생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