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남녀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 격차가 30.7%로 나타났다. 여성의 시간당 평균 임금이 남성보다 30.7% 적었다는 의미이다. 성별 임금 격차는 2012년 이후 빠르게 줄어드는 추세다. 그러나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우리나라의 임금 격차가 가장 크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성별 임금 격차 변화와 여성 내 임금 불평등 경향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와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이다.우리나라 시간당 성별 임금 격차는 2010년 37.9%로 정점을 찍은 후 최근 가파르게 감소해 지난해 30.7%를 기록했다. 그러나 선진국과 비교하면 갈 길이 멀다. 2016년 기준 OECD 성별 임금 격차 평균치는 중윗값 기준으로 14.1%였다. 최근 성별 임금 격차가 감소한 것은 주로 35~54세 정규직의 임금 격차가 개선된 영향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비정규직 등 취약계층 임금 격차는 개선폭이 미미하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여성 내 임금 불평등은 주로 중하위 부문에서 개선됐다. 이는 2014년 이후 하위 10분위의 실질임금 상승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정성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핵심 연령층과 정규직 중심으로 성별 임금 격차가 줄어드는 것은 출산 기피, 만혼, 일가정 양립지원제도 등으로 직장을 꾸준히 다니는 여성이 증가한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고학력 집단의 중상위 임금 불평등은 여전하고, 저임금 근로자가 중저임금으로 이동했을 뿐 중고임금, 고임금 비중의 변화가 없는 점 등 임금 불평등 개선은 여성 전반에 해당하는 결과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2010년 이후 여성은 하위 1분위 임금 상승의 영향으로 중하위 임금 불평등은 개선됐으나, 중상위 임금 불평등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