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서명수의 이솝투자학] 원금보장에 높은 수익률? 그건 사기 

 

서명수 중앙일보 ‘더, 오래팀’ 기획위원
수익과 위험의 관계 ‘벌과 독침’...위험 관리의 최선책은 적립식 투자

한 번은 벌이 제우스에게 많은 꿀을 갖다 바쳤다. 이를 진심으로 받아들인 제우스는 무엇이든 한 가지 소원을 들어주겠노라고 말했다. 이에 벌은 늘 품어오던 원한을 풀어볼 기회라고 생각하고 이렇게 말했다. “신이시여! 꿀을 훔쳐가는 도둑을 지킬 수 있게끔 우리에게 독침을 내려 주십시오!” 제우스가 생각해보니, 그 꿀 도둑이란 다름아닌 사람을 지칭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 사람이 누구인가. 자기가 창조한 것들 중 가장 완벽하고 귀여운 존재가 아닌가. 제우스는 벌의 소원을 대뜸 들어줄 수가 없었다. 하지만 약속을 들어주기로 했기에 하는 수 없이 독침을 내주면서 한 가지 조건을 덧붙혔다. “독침을 주긴 하겠지만, 만약 네가 사람을 쏘면 그로 인해 너도너도 목숨을 잃게 될 것이니 부디 위협용으로만 사용하거라.” 그래서 벌은 한 번 사람을 쏘면 그 자리에서 죽게 된 것이다.


▎사진:© gettyimagesbank
불멸의 법칙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벌은 도둑으로부터 꿀을 지킬 수 있는 독침을 갖게 됐다. 하지만 대가를 지불해야 했다. 원하는 무기를 갖게 됐지만 그 무기는 자신을 해칠 수 있다. 독침은 양날의 검인 셈이다. 벌의 독침처럼 주식도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주식은 어떤 금융상품보다 수익률이 뛰어나지만 동시에 원금이 깨질 수 있는 위험도 있다. 높은 수익을 바라면 위험도 커진다. 햇빛이 강할수록 그림자도 짙어지는 자연의 이치를 닮았다. 주식투자에선 위험과 맞서 싸울줄 알아야 만 보상을 기대할 수 있다. 어쩌면 수익의 원천은 위험인지 모른다. 왜 그럴까.

펀드가 하나 있다. 이 펀드의 기대수익은 ‘무위험 수익’과 위험을 감수하는 데 따른 보상인 ‘위험 프리미엄’으로 구성된다. 무위험 수익률은 투자하면 기본적으로 받게 되는 수익률이다. 보통 위험이 전혀 없는 것으로 여겨지는 국채수익률이 여기에 해당한다. 국채 투자는 손실 가능성, 다시 말해 위험이 전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에 비해 위험 프리미엄은 투자위험의 크기에 따라 얻게 되는 보상을 뜻한다. 국채는 위험 프리미엄이 제로인 상품이다. 만약 무위험 수익률이 3%인 상품에 대해 5%의 수익을 기대한다면 위험 프리미엄은 2%다. 위험 프리미엄은 위험의 크기에 비례한다. 다시 말해 수익에 대한 기대가 커질수록 위험도 커진다는 의미다. 투자의 대원칙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다. 이는 모든 투자에 예외 없이 적용되는 불멸의 법칙이다. 이 법칙은 어떻게 성립되는 걸까.

위험이 매우 큰 상품이지만 투자자에게는 무위험 이자율만 준다고 가정해 보자. 이 상품에 가입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인기가 떨어지면 가격도 내려간다. 가격이 내려가면 기대수익률이 슬슬 올라간다. 동일한 상품을 싼 가격에 사는 거니까 당연히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가격 하락은 위험 프리미엄이 어느 정도 생길 때까지 계속된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법칙이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자동으로 실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마디로 수익률이 높은 상품은 그만큼 원금 손실 가능성도 크다는 결론이 나온다.

만약 원금 보장도 되고 높은 수익률을 준다는 상품이 있다면 그건 사기일 가능성이 크니 주의해야 한다. 수익이 높은 만큼 위험도 커야 하는데 원금 보장이라니 앞뒤가 안 맞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펀드들은 수익률도 비슷해야 정상이다. 수익률이 특출한 펀드가 있다면 일단 의심부터 해야 한다. 이처럼 수익과 위험의 관계를 알면 펀드 선택의 오류를 피할 수 있다. 펀드 선택은 적절한 수익-위험 구조를 갖는 상품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나 아무리 잘 만든 펀드라도 시장에 나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시장은 정글이요 거친 바다다. 잔잔할 때엔 양처럼 순해 보이지만 폭풍우가 몰아칠 땐 무섭다. 시장은 절대 경제이론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종국에는 펀드 본래의 가치와 맞물리겠지만 그 과정은 험난하고 굴곡이 심하다. 일반 상품과 달리 펀드 가격이 매일 매일 등락을 반복하는 건 그래서다. 한마디로 가격 변동성이 심한 것이다.

1980년대 이전만 해도 시장은 일정한 흐름에 따라 변한다는 믿음이 강했다. 대부분의 변동성은 보통 정상범위에서 움직이다 바로 수그러들 것이라고 생각했다. 전통이론은 시장의 변화가 장기적으로 정상궤도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그 변동성은 일정한 패턴을 따르지 않아 예상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시장은 전통이론이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위험하고 가격변동을 예측하는 일은 무의미해졌다. 실제 전통이론대로라면 확률적으로 수천만, 수백만 분의 1에 불과한 사건이 툭하면 터졌다. 2000년대 초 IT 버블, 2008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2011년 유로존 재정위기 등 전통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굵직한 사건이 10년 동안 3번이나 일어났다. 백년에 한 번 일어날까 말까 하는 사건이 2000년대 들어 집중되고 있는 양상이다. 이런 사건이 단 한 번이라도 터지는 날엔 투자자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공들여 쌓은 성과가 순식간에 와르르 무너진다.

보통 가격 변동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발생하는 게 아니라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다. 투자에서 사는 것보다 파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장기 투자를 하다 보면 팔 기회가 여러 차례 생긴다. 펀드를 오래 보유하는 것이 최선은 아니지만 차선은 된다. 장기 투자는 엄밀히 이야기하면 수익을 올리는 게 목적이 아니라 시간을 벌자는 의미가 강하다. 가격 변동성은 단기적으론 맹위를 떨치지만 세월의 흐름 속에선 누그러드는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적립식 투자를 하는 것이다. 적립식 투자 원리엔 시장이 언제 좋고 나쁠지 인간이 알 수 없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그래서 일정액을 정기적으로 투자하되 주가가 쌀 때는 많이, 비쌀 때는 적게 사면 이론적으로 시장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다.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이른바 ‘코스트 에버리징(cost averaging, 정액 분할 매입)’ 기법이다.

‘타이밍’ 아닌 ‘타임’에 투자하라

예를 들어 400만원을 한 번에 투자했을 때(거치식)와, 100만원씩 나눠 네 번에 걸쳐 투자했을 때(적립식)를 비교해보자. 1월에 주가가 1000이었고 이후 상승장과 하락장을 거쳐 4월에 다시 1000으로 회복했을 때, 거치식투자는 수익이 0%이지만, 적립식투자는 수익이 발생한다. 적립식의 경우 사들이는 주식 수가 상승장에서는 줄어들고, 하락장에서는 늘어남에 따라 결과적으로 총 주식 수가 거치식에 비해 늘어나게 되고 평균 매입가도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매입 단가를 낮추려면 쌀 때 많이 사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현실에선 상식의 역설이 판을 친다. 주가가 좋을 때 적립식 투자를 시작했다가 시황이 나빠지면 불입을 중단하거나 상품계약을 해지하는 투자자가 많다. 코스트 에버리징 효과를 제대로 누리지 못함은 물론이다.

적립식 투자의 효과를 보려면 시장을 예측하고자 하는 ‘타이밍(매매 시점)’이 아니라 ‘타임(시간)’에 투자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 중간에 손실이 나더라도 납입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 손실은 곧 시장의 침체를 의미하므로 오히려 공격적으로 사들어가야 한다. 손실을 보더라도 두 눈을 질끈 감고 뚝심 있게 나아가야 적립식 펀드로 승부를 낼 수 있다. 물론 적립식 투자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또 장기 보유한다고 해서 수익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적립식 투자는 지금까지 발명된 수많은 투자기법 중 그나마 위험을 관리하면서 손실을 방어할 수 있는 최선책이라는 데엔 이견이 없는 것 같다.

※ 필자는 중앙일보 ‘더, 오래팀’ 기획위원이다.

1449호 (2018.09.0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