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경제협력개발기구 | 한국, 20대 후반 실업자 비중 7년째 OECD ‘1위’


우리나라 전체 실업자가 가운데 25~29세 실업자 비중이 7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월 15일 OECD에 따르면 2018년 한국 전체 실업자 가운데 20대 후반이 차지하는 비중은 21.6%로 집계됐다. 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다. 2위는 덴마크(19.4%), 3위는 멕시코(18.2%)였다. 영국은 이보다 낮은 13.3%, 미국은 13.0%, 일본과 영국은 각각 12.6%다. 한국은 지난 2012년부터 7년째 20대 후반 실업자 비중이 OECD 회원 국가 중 1위다. 지난 2011년까지는 그리스와 슬로베니아가 각각 20.8%로 1위, 한국은 20.1%로 이들보다 낮았다. 하지만 2012년 이후 이들 국가의 20대 후반 실업자 비중이 하락했지만, 한국은 제자리에 머무르며 20%대를 웃돌고 있다. 한국의 대학진학률 등을 고려하면 20대 후반 실업률 상황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취업 시장에 뛰어드는 연령대에서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한국의 20대 후반 실업률이 높은 건 사실이다. 전문가들은 “한국은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커 청년들이 구직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대기업에 들어가길 원하고, 기업 입장에선 대졸 초임이 높고 노동 유연성은 낮아 신규고용을 꺼리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 | “인구 고령화로 실질금리 3%포인트 떨어져”


지난 1995년 이후 급속히 진행된 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보면, 20∼64세 대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은 1995년 9.6%에서 2015년 19.4%로 상승했다. 이렇게 고령화가 진척되는 동안 실질금리가 1995년 연 9%에서 2018년 6%까지 3%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추정됐다. 이 기간 한국의 실제 실질금리는 9%에서 0.4%로 하락했다. 실제 실질금리 하락 폭의 약 3분의 1은 고령화의 영향이라는 의미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값으로, 경제주체들이 체감하는 금리 수준을 말한다. 한은 보고서는 통화안정증권 1년만기 금리를 분석에 이용했다. 실질금리 하락은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늘어나면서 저축을 늘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저축이 늘면 자본 공급이 증가해 실질금리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앞으로도 실질금리 하락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고령화 추세를 제어할 마땅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조만간 인구의 자연증가율은 마이너스로 돌아설 게 확실하다. 2019년 1~10월 누적 인구 증가 폭은 1만5376명으로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권오익 한국은행 부연구위원은 “이번 연구에서 기대수명 증가가 인구 증가율 감소보다 실질금리 하락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SC제일은행 | 월소득 400만원 이상 자산가 “60세 기대자산 평균 16억원”


국내 자산가들이 60세에 기대하는 본인의 자산 규모는 평균 15억70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SC제일은행은 1월 13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19 기대자산 보고서’를 발표했다. SC제일은행 모그룹인 SC그룹은 한국을 포함한 중국, 싱가포르 등 성장 속도가 빠른 10개국의 자산가 1000명에게 설문해 보고서를 만들었다. SC그룹이 설정한 자산가의 개념은 월 소득 400만원 이상이다. 보고서는 국내 자산가를 신흥 부유층(월 소득 400만∼1030만원), 부유층(월 소득 1030만원 이상), 초부유층(금융운용 자산 11억2000만원 이상)으로 구분했고, 응답자들의 순자산이 최고치에 이르는 시기는 60세로 가정했다. 조사결과 신흥 부유층이 60세에 기대하는 1인당 평균 순자산 규모는 4억5000만원, 부유층은 9억1500만원, 초부유층은 33억4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돈을 모으려는 이유로 자녀 교육, 토지 및 투자 자산 매입, 은퇴 대비 등을 꼽았다. 신흥 부유층은 자녀 교육(25%), 부유층은 투자자산 매입(22%), 초부유층은 은퇴 대비(29%)가 최우선 재무 목표라고 답했다. 재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신흥 부유층과 부유층은 보통예금(56%, 47%)이나 정기예금(61%, 46%) 등 전통적인 저축 상품을 활용, 초부유층은 여러 금융 상품에 고루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 부유층은 은행·금융기관 웹사이트(35%)에서 주로 투자 정보를 얻지만, 부유층(38%)과 초부유층(39%)은 자산관리사·투자전문가들로부터 조언을 받고 있었다.

사람인 | 기업 23.7% “올해 구조조정 계획”


기업 4곳 중 1곳은 올해 구조조정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에이치알이 운영하는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384개사를 대상으로 ‘인력 구조조정 계획 여부’를 조사한 결과 23.7%가 올해 구조조정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이 밝힌 구조조정 규모는 전체 인원 대비 14% 수준이다.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이유로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서’(46.2%·복수응답)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회사 사정이 어려워서’(38.5%), ‘경기가 어려울 것 같아서’(26.4%), ‘경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24.2%)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구조조정 대상은 ‘근무태도가 불성실한 직원’(54.2%)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개인 실적이 부진한 직원’(15.1%), ‘고연봉을 받고 있는 직원’(7.6%), ‘인사고과가 낮은 직원’(7.3%), ‘실적이 부진한 부서의 직원’(6.8%) 등이 꼽혔다. 예상하는 구조조정 시기는 ‘1분기’가 56%로 가장 많았다. 구조조정 방식은 ‘권고사직’(51.6%)이 단연 많았다. ‘희망퇴직·명예퇴직’(29.7%), ‘정리해고’(13.2%) 등도 있었다. 반면 구조조정을 시행하지 않는 기업(293개사)은 그 이유로 ‘불필요한 인력이 없어서(59.7%, 복수응답)를 꼽았다. 구조조정을 시행하지 않는 기업이어도 52.2%는 인건비 절감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신규 채용 중단’(47.1%, 복수응답), ‘임금 동결’(47.1%), ‘임금피크제 도입’(8.5%), ‘임금삭감’(3.3%) 등을 계획하고 있었다.

국토교통부 | 차량번호로 자동차 리콜조치 확인 가능


앞으로 차량등록번호와 차대번호로 소비자가 직접 차량의 리콜 조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1월 15일부터 자동차 결함과 리콜 정보 제공 기능을 강화한 자동차리콜센터 누리집(car.go.kr·이하 홈페이지)을 운영한다. 그동안에는 차량정보 입력시 리콜 대상 여부만 확인할 수 있었지만 개편된 홈페이지에서는 자동차 제작·수입사가 국토부에 보고한 분기별 리콜 실적을 토대로 이전 분기까지 리콜 조치가 있었는지도 확인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그동안 리콜 조치 확인이 어려웠던 대여사업용 차량(렌터카)과 매매용 중고차에 대해서도 소비자가 사전에 리콜조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기존 PC 홈페이지에서만 가능했던 온라인 결함신고 등의 기능을 모바일에서도 이용 가능토록했다. 자동차 결함을 신고하면 해당 차량 리콜 현황 등 관련 통계 정보도 함께 제공된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홈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추가 정보를 분석해서 조사 기관(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이 조기에 차량 결함을 포착하는 ‘결함정보 종합분석시스템’을 구축했다. 윤진환 국토부 자동차정책과장은 “최근 자동차 리콜이 증가세를 보여 자동차 결함 분석·조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국민 안전을 위해 철저하고 선제적으로 결함 조사를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얼투데이 | 10년간 130만명 경기·인천으로 ‘탈(脫)서울’


▎경기도 일대 아파트 전경
최근 10년간 서울을 벗어나 경기·인천으로 이동한 인구가 13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통계청의 ‘연령대별 순이동자수’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서울에서 경기도와 인천으로 거처를 옮긴 순이동자수는 129만7759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90.3%인 117만2124명이 경기 지역으로 이동했다. 나머지 9.7%인 12만5635명는 인천으로 향했다. 특히 지난 2008년과 2018년을 단편적으로 비교하면 경기도로 향한 순이동자수는 10년만에 52.1%(8만8893명→13만4216명) 증가했다. 연령별 순이동자수를 보면 30~50대 등 청년 및 이른 중년층의 이동이 많았다. 실제 10년간 서울에서 경기도로 간 30대, 40대, 50대는 각각 35만5718명, 14만7994명, 16만216명으로 총 66만3928명에 달했다. 서울을 떠나 인천으로 간 경우는 30대 4만1322명, 40대 1만8200명, 50대 1만6401명으로 총 7만5923명이었다. 이같은 인구 이동 변화는 서울 지역의 집값이 치솟고 있는데다 이에 따른 부동산 규제가 강화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지하철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등 교통망이 확충되면서 경기·인천에서 서울로의 이동시간이 단축돼 탈(脫)서울 행렬이 장기간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수요자들의 인식 역시 비싼 주거비용의 지불 대신 쾌적한 주거환경을 염두에 두면서 향후 경기도와 인천 분양시장으로 향하는 수요자들의 움직임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 정리=김성희 기자 kim.sunghee@joongang.co.kr

1519호 (2020.01.2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