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속도 붙는 핀테크] ‘돈’의 정체성을 바꾼다 

 

소외계층 없애고, 비용·시간에 혁신… 탐욕 제어하고 시스템 지켜야

어떤 이는 ‘핀테크’(FinTech)라 부르고, 어떤 이는 ‘테크핀’(TechFin)이라 부른다. 이 차이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융합에 있어 어느 쪽을 우선해야 하는가 시각차에서 비롯됐다. 일견 주도권 경쟁으로 비치기도 한다. 범용어로는 핀테크라 쓰인다. 당장 사용자 편의를 높이는 합리적 기술 선택보다는 경제시스템을 안전·안정시킬 수 있는 선진적 기술에 무게를 실은 것이다. 금융은 좁게는 자금을 빌려주는 행위를 이르지만, 넓게는 모든 경제 주체의 경제활동 방식과 거래 절차·행위의 법적 규정까지 아우른다. 돈은 경제의 혈류이자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런 광의의 해석이 가능하다. 실제 핀테크도 단지 돈을 빌려주는 것이 아닌, 송금·결제·보안·펀딩·자산관리·보험 등 폭넓은 분야를 담고 있다. 시대는 자본보다 기술·정보 중심 사회로 바뀌고 있다. 자본과 거래방식의 혁신,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대두는 중장기적으로 돈의 정체성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다만 금융이란 시스템을 기술의 흐름에 오롯이 맡겼을 때 부담해야 하는 리스크가 너무 크다. 암호화폐는 2017~18년 거대한 거품을 일으킨 뒤 무너졌고, P2P·크라우드 펀딩은 숱한 투자자를 울렸다. 언제나 상황이 진심에 우선한다. 진정성 있는 수많은 정보기술(IT) 기업들이 금융 혁신을 위해 뛰었지만, 시장의 탐욕에 휘둘리다 사기꾼으로 내몰렸다. 핀테크는 금융소외 계층을 없애고, 사용자들이 비용·시간을 아끼도록 선진적 발전을 해야 하지만, 그 전에 인간의 탐욕을 제어하고 시스템을 지켜야 하는 의무가 있다. 핀테크 도입은 고차원 방정식이다. 이에 [이코노미스트]는 핀테크 분야의 세계적 조류와 한국의 발전 전략과 방향, 이해당사자들 간에 입장을 정리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사진:© gettyimagesbank
- 이코노미스트 편집부

1532호 (2020.05.04)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