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ies

“우린 조선에서 크게 빛나자” 

‘선경’ 이름 정할 때 갑론을박…최고 도안사 모셔다 1등 이불감 만들어
최종건의 SK 창업 비사 ② 

취재·정리=송재용 작가
▶1953년 재건한 선경직물 공장.“이름은 해석하기 나름이다. 선만주단이나 교토직물이나 관계없이 우리는 ‘조선에서 크게 빛난다’는 뜻의 선경이라고 하면 된다.” 1955년 선경직물은 상법상 독립 법인으로 홀로서기를 한다. 이때 회사 내부에선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선경(鮮京)’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쓰느냐, 아니면 새 이름을 짓느냐의 문제에 부닥쳤다. 최종건 회장은 “이름이 좋아야 회사가 빛나는 것이 아니고 회사가 빛나면 이름이 저절로 좋아지는 것이다”라며 이 논쟁을 잠재웠다. 최 회장의 실사구시 성격을 엿볼 수 있다. 선경은 그 후 40년 동안 이 이름을 써오다가 1998년 SK로 바꾼다.최종건은 집을 지척에 두고도 공장에서 숙식을 해결했다. 언제나 콘크리트 바닥에 간이 야전침대를 펴놓고 잠을 잤는데 그의 육중한 체구를 견디지 못해 간이침대가 망가지고 나서는 아예 거적을 깔고 누웠다. 사업 규모가 커질수록 아내인 노순애 여사에게는 고생길이 그만큼 크게 열리는 것이었다. 종업원들의 작업복을 빨아 대랴, 매일같이 찬거리를 날라 대랴 잠시도 쉴 겨를이 없었다.



사실 처음 벽돌을 쌓아올릴 때만 해도 수원에서 최종건은 ‘무모한 욕심쟁이’ ‘덮어놓고 일을 저지르는 사람’에 불과했다. 폐허더미 공장을 재건한다고 했으니 그런 말이 나왔을 법도 하다. 그런 잿더미 위에서 하루 1000마(碼)의 인조견이 쏟아지자 “하루 1만 마를 짜면 뭐 하느냐. 시장에서 팔려야지”하면서 또 평가절하하는 것 아닌가.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583호 (2021.05.0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