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News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의 딜레마 - 돈 계속 풀어도 물가는 오르지 않고… 

부채 부담 커서 수요 늘지 않아 재정지출이 거의 유일한 탈출구 

안근모 글로벌모니터 편집장
할로윈데이였던 10월 31일, 일본은행이 양적 완화 규모를 더 늘리겠다고 전격 발표했다.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든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회견에서 “대중들의 디플레이션 기대심리를 근절하는 작업이 위험에 처했다”며 “그래서 우리는 디플레이션을 종식시키려는 결연한 의지를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본은행을 포함한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모든 정책행위는 ‘일본화(日本化)’를 피하기 위한 몸부림이라는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일본화란 바로 부채 디플레이션이다. 물가상승률이 낮아지거나, 물가가 아예 하락하면 부채 원금의 실질 상환 부담은 증가한다. 그러면 사람들은 대출을 꺼리고 소비를 줄인다. 경기와 물가가 더 낮아지고 빚을 못 갚는 사람이 늘어난다. 이로 인해 경제가 침체되고 물가가 하락하는 악성 순환고리가 형성된다.이게 부채 디플레이션이다.

이 파국을 촉발하는 방아쇠는 ‘인플레이션 기대심리의 저하’다. 바로 디플레이션 심리다.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일정한 수준(예 2%)으로 안정돼 있는 동안에는 저물가 현상이 나타나더라도 별 문제가 없다.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져들지 않은 것도 ‘잘 고정되어 안정적인(well anchored and stable)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덕분이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61호 (2014.11.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