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박용삼의 ‘테드(TED) 플러스’] 아라크네의 귀환, 인공 거미줄 

거미줄은 자연이 준 최고의 소재 … 대량 생산 통한 경제성 확보가 관건 

박용삼 포스코경영연구원 산업연구센터 수석연구원
미국의 비영리 재단인 새플링에서 운영하는 TED(Technology, Entertainment, Design)는 ‘널리 퍼져야 할 아이디어’라는 모토로 경제·경영·사회·과학 분야에서 세계적 저명 인사들의 동영상 강의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TED 웹사이트에 등록된 강의(1900여건)는 대부분 한국어 자막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그것만으론 뭔가 부족하다. 시사성 있는 강의를 선별해 소개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 설명한다면 금상첨화가 아닐까. DJ나 VJ처럼 LJ(Lecture Jockey)로서 테드 강의를 돌아본다.
거미. 검어서 거미라고도 하고, 사로잡은 먹이를 거머쥐어서 거미라고도 한다. 전 세계에 약 4만종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는 약 700종이 분포한다. 거미는 환경 지표생물뿐 아니라 해충의 천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별늑대거미는 중금속 환경오염에 민감하고, 긴호랑거미는 기후변화 지표생물이다. 황산적거미는 해충인 멸구류를 잡아먹기 때문에 농업 및 산림 생태계에서 매우 유용하다. 그 외 여러 거미들이 독극물 검출에 이용되기도 하고 약용으로도 쓰인다. 어디 그뿐인가. 거미의 DNA를 물려받은 스파이더맨은 뒷골목 악당들까지 때려잡는다.

이러한 활약에도 대부분 사람들이 거미에 대해 갖는 생각은 대개 부정적이다. 기분 나쁘고 징그럽다는 것이다. 한적한 교외나 시골 길을 기분 좋게 걷다가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는 거미를 보는 순간 소름이 쫙 끼친다. 특히 얼굴이며 팔, 다리에 척척 감기는 거미줄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옛 속담들도 대개 ‘거미줄도 줄은 줄이다’ ‘산 입에 거미줄 치랴’ 같이 하나같이 삐딱한 것 일색이다. 나름 최선을 다했던 거미로서는 억울할 게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싫은 건 싫은 거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304호 (2015.09.28)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