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파괴된 기업생태계를 복원하려면 대규모 기업집단 지정제도 같은 차별 규제부터 철폐돼야 한다. 대기업 규제가 기업의 성장 유인을 억제해왔다.” -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4월 25일 한국경제연구원 좌담회에서)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대규모 기업집단 지정제도’ 등의 차별 규제 철폐를 주장했다. 중견기업이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 한국의 기업 생태계를 되살리자는 취지다. 김 회장은 4월 25일 한국경제연구원 주최 ‘대규모 기업집단 지정제도, 무엇이 문제인가’ 좌담회에 발제자로 나서 “대기업을 규제하면 중소기업이 살아난다, 고소득층을 규제하면 저소득층 소득이 높아진다 등의 얘기는 시장 규제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라며 “오히려 차별 규제 때문에 청년실업이 증가하고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정 기업의 경영이 어렵다고 해서 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시장의 힘에 역행하는 방향”이라며 기업의 성장·퇴출을 시장에 맡길 것을 주장했다. 하림이 중견기업이던 지난해 초 김 회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많은 중견기업이 차별 규제 때문에 대기업이 되길 꺼려한다”고 말했다.

“(대통령 이란 방문에 대규모 경제 사절단이 수행하는데) 이란에 가서 좌판을 벌이고, 자칫 잘난 체 하다가는 큰일 날 수 있다.” - 김종훈 한미글로벌 회장(4월 27일 한 언론사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기업 성장이 낙수효과에 의한 성장 방식이었다면 앞으로는 가계소비가 기업소득을 늘려 성장을 이끄는 분수효과가 바람직하다. 법인세, 고소득자 소득세, 부동산 소유세, 부가가치세 등의 증세가 필요하다.” -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4월 28일 한국경제학회 심포지엄에서)

“기업이 부실한 데 대한 고통 분담은 대주주가 함께 져야 한다. 사재출연을 한다든가, 기업을 아예 포기하겠다는 각서를 제출한다든가….” - 임종룡 금융위원장(4월 26일 제3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에서)

“ (3000명 감원설은) 누가 했는지 모르겠다. 갑자기 튀어나온 말이다. 가능하면 우리 식구들 먹고 살게 하는 쪽으로 생각하고 있다.” - 김정환 현대중공업 조선부문 대표(4월 26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10대 그룹 CEO 간담회에서)

“네이버 플랫폼을 이용해 쉽게 창업을 도전하고 글로벌에서 성공하도록 돕겠다.” - 김상헌 네이버 대표(4월 25일 스몰비즈니스와 콘텐트 창작자를 위한 자리에서)

“지난 20년 간의 인터넷과 모바일의 확산은 시작에 불과하다. 이제 인공지능(AI)의 잠재성을 향해 곧장 나아가고 있다.” -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4월 28일(현지시간) 창업자 연례 서신에서)

1333호 (2016.05.09)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