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도시 개발의 새 이정표로 떠오른 스마트시티] 구글이 미래 신도시를 짓는다? 

기존 도시 시설에 모바일·사물인터넷(IoT) 기술 결합 새로운 수출 상품으로 

함승민 기자 sham@joongang.co.kr

구글이 신도시를 만든다? 먼 미래의 상상이 아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월 27일 구글의 지주회사인 알파벳(이하 구글)이 좋은 미래 도시 건설을 목표로 지난해 6월 설립한 사이드워크랩을 통해 미국의 대규모 신규 주택·사무·상업단지 개발사업의 제안서를 곧 제출할 거라고 전했다. 사이드워크랩은 기존 도시 시설에 모바일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해 교통·에너지·헬스케어 생활 영역 전반에 걸친 6개의 도시 구축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도시 개발의 새 이정표로 떠오른 ‘스마트시티’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물리적 도시 기반시설 확충 대신 소프트웨어로 해결책을 찾는 스마트시티가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거주민의 삶의 질과 도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도시를 뜻한다. 교통·환경·상하수도·행정·의료·교육 등 도시의 주요 기반시설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모아 기관이나 시민에게 제공하고, 이를 새로운 기술과 접목시켜 여러 도시 문제를 해결한다는 개념이다. 사물인터넷을 비롯한 ICT 기술이 발달하면서 가능해진 일이다.

소프트웨어로 도시 문제 해결책 모색


예컨대 도시의 교통체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과거에는 기존 도로를 확장하거나 새 도로를 깔아야 했다. 하지만 스마트시티에서는 도로에 설치한 센서로 교통상황을 체크하고 인터넷을 통해 우회로를 안내하거나 시간과 장소에 맞춰 대중교통을 배치하는 방식 등으로 교통체증을 해결한다. 과거 도시가 대규모 자원을 투입해 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한 데 반해 스마트시티는 저렴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풀 수 있다.

세계 각국의 빠른 도시화 추세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UN 경제사회국 조사에 따르면 세계 도시화 율은 2000년 46.6%에서 지난해 54%로 증가했다. 도시 인구는 지난 15년 간 연평균 7000만 명씩 늘었다. UN 경제사회국은 비슷한 속도로 도시화가 지속되면 2030년 전 세계 도시 인구가 50억 명을 돌파할 거라고 전망했다.

이 같은 빠른 도시화로 신흥국은 교통 혼잡, 슬럼화, 실업, 범죄, 에너지 부족 등 다양한 도시 문제에 직면했다. 선진국 역시 도시 인프라가 노후한 곳이 많아 도시 경쟁력 제고와 경기 활성화를 위한 도시 재생사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재정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각국 정부는 비용 효율적인 방식의 스마트시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미 미국·중국·일본 등은 스마트시티에 대한 계획을 추진 중이다. 미국 정부는 관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총 1조6000억 달러(약 1800조원) 규모의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은 자국 내 IT 기업 육성을 위해, 일본은 2011년 대지진 이후 불거진 에너지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EU는 환경보호를 위한 에너지 사용 절감에 초점을 맞춰 각자 스마트시티 추진 계획을 마련했다. 동남아·중남미·아프리카 등지의 신흥국에서도 신도시 개발 단계에서부터 스마트시티 개념을 접목시키려는 추세다.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생겼음을 의미한다. 시장조사업체 프로스트앤설리번에 따르면 스마트시티 시장은 2020년 1조5000억 달러(약 190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스마트시티는 자국 내 도시 문제 해결뿐 아니라 약 10조 달러에 달하는 해외 건설산업, 특히 신도시 개발로도 연결된다. 신도시 개발은 시공뿐만 아니라 기획·설계·운영·관리 등의 서비스가 포함되는 고부가가치 수출 상품이다. 건설과 설비·시스템 등을 패키지 형태로 수출해 수익성과 수출 증진 효과가 높다. 또 스마트시티에서 파생되는 산업 육성과 IT 인프라 구축을 위해 연관 기업이 동반 진출할 수 있는 여지도 많다.

글로벌 업체들의 진출은 이미 활발하다. 일찍 스마트시티 분야에 진출한 IBM과 시스코는 전 세계 도시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장사에 나섰다. IBM은 2010년부터 전 세계 100여개 도시에 맞춤형 도시 문제 해결 방안과 시스템을 제안하는 ‘스마터시티 챌린지’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시스코는 인구 100만 이상이 거주하는 도시에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내용의 ‘밀리언 프로젝트’를 통해 중국·인도·중동 등지에 진출하는 성과를 냈다. 이 밖에 GE·지멘스·히타치·엑센추어 등도 기존 솔루션 사업의 노하우를 활용해 건설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거나 자체 재원과 전문 인력을 활용해 신흥국의 신도시 건설사업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사업 영역도 시스템 공급에서 엔지니어링·시공으로까지 확대하는 중이다.

스마트시티는 수익성이 나빠진 국내 건설 업계에 새 활력소가 될 수 있는 분야다. 원자재 가격 하락과 현지·후발 업체와의 경쟁으로 중국·중동 산업설비(플랜트) 위주의 해외 건설이 침체를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 신흥국의 스마트시티 수요가 돌파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은 건설 시공능력과 IT 기술을 갖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살리면서 신성장동력으로 변신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신흥국에 한국의 도시화와 산업성장 스토리를 어필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 그러나 국내 산업계의 해외 건설은 여전히 ‘공장 짓기’에 편중된 모습이다. 국내 업체의 전체 해외 건설 수주 중에서 약 58%가 플랜트 분야다. 그 외에도 건축(20%)·토목(18%) 등 시공 분야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최중석 해외건설협회 해외건설정책지원센터 부장은 “저부가가치의 시공 분야를 자체 수행하거나 국내 하도급 업체에 맡기는 것은 프로젝트 전체의 수익성을 저해할 수 있다”며 “이제는 도시개발 경험과 도시 운영시스템을 마케팅 포인트로 삼아 스마트시티 운영 등 건설의 소프트웨어 분야로 진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IBM·시스코 등은 스마트시티 사업 활발

해외에 어필할 ‘스마트시티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스마트시티 건설 선진국으로 꼽히는 싱가포르는 자국 도시개발 운영관리 경험을 마케팅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일본 역시 ‘스마트시티 포탈’을 통해 일본의 스마트시티 기술동향을 제시하고 국제적 협력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동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국내 IT 역량을 활용해 도시 인프라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는 기업 모델을 정립하고 이를 해외에 홍보해 스마트시티 개발도 함께 추진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권원순 한국외대 경제학과 교수는 “해외에 효과적인 홍보를 하기 위해선 국내에서 명확한 콘셉트를 지닌 스마트시티 사례를 만든 후 객관적 평가 작업을 거치는 과정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함승민 기자 sham@joongang.co.kr

1334호 (2016.05.16)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