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라면에 대한 오해와 진실] 라면 수프에 MSG는 없어요 

멸치·다시마 등에서 추출한 재료로 만들어 … 열 전도율 높은 양은냄비에 끓이면 식감 좋아 

사진·글= 주기중 기자 clickj@joongang.co.kr

라면은 한때 콩나물, 어묵과 함께 서민 음식의 대명사였다. 어렵고 힘들었던 시절 라면은 보릿고개를 넘는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지금은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없이 즐기는 인기 식품이 됐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라면 사랑은 유별나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이 74.1개(2014년 기준)나 된다. 세계 1위다. 닷새에 한 개꼴로 라면을 먹는다. 베트남(55개), 인도네시아(53개), 태국·말레이시아(45개)와 라면 종주국인 일본(43개)보다 훨씬 많다. 라면 소비 총량 기준으로는 중국이 444억 개, 인도네시아 135억 개, 일본 55억 개에 이어 한국은 36억 개로 7위다.

한국은 세계 1위 라면 소비국이자 수출국


라면의 종류도 다양하다. 짜장라면, 짬뽕라면, 비빔면, 스파게티 라면…. 6월 3~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라면 박람회는 다양한 라면의 경연장과도 같았다. ‘먹방’ 프로그램에서는 라면 맛있게 끊이기 경연이 단골 메뉴다. 그 덕분에 국내 라면산업은 폭발적으로 성장해왔다. 지난해 라면시장 규모는 2조원을 넘어섰다. 한국은 세계 최대의 라면 수출국이기도 하다. 지난해 4만8801t을 수출해 2억8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1963년 식량난을 해소하려고 일본에서 들여온 라면이 지금은 효자산업 노릇을 톡톡히 한다.

그런데 우리는 라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시중에는 라면을 둘러싼 속설이 많다. ‘라면은 양은냄비에 끓여야 제 맛이다’ ‘방부제와 MSG가 많이 들어가 몸에 해롭다’ 등. 어디까지가 진실일까? 그 진위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 평택에 있는 ㈜오뚜기라면 연구소를 찾았다. ‘라면의 속설’에 대한 연구소 측의 설명을 들어보자.

#1. 라면은 방부제와 MSG가 많이 들어가 몸에 해롭다?

아니다. 라면에는 방부제가 들어가지 않는다. 음식을 변질시키는 미생물이 번식하려면 수분이 12%를 넘어야 한다. 라면의 면은 수분이 6%, 수프는 6~8%, 건더기 수프도 6~8%이기 때문에 방부제가 들어가지 않는다. 또 수프는 멸치·다시마 등 천연 식품에서 추출한 재료로 만들기 때문에 MSG는 들어가지 않는다.

#2. 라면을 먹고 자면 얼굴이 붓는다?

부분적으로 맞다. 그러나 라면뿐 아니라 나트륨 함량이 높은 짠 음식을 먹고 자면 사람에 따라 얼굴이 붓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나트륨 때문에 모세혈관과 조직세포 사이에 삼투압 현상이 일어나고 조직세포로 수분이 유입돼 나타나는 현상이다. 우유나 야채 등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함께 먹으면 얼굴이 붓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3. 삼시세끼 라면만 먹으면 영양소가 부족해 살 수가 없다?

그렇지 않다. 라면 한 개의 열량이 약 500㎉다. 라면만 먹어도 살 수는 있다. 다만 균형 있게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

#4. 라면은 양은냄비에 끓여야 맛있다?

그렇다. 라면은 짧은 시간에 조리해야 맛있다. 면이 더 쫄깃쫄깃하고 불지 않기 때문이다. 양은냄비는 열 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라면이 빨리 익는다.

#5. 라면 먼저? 수프 먼저?

수프를 먼저 넣으면 염도가 높아져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끓는다. 면이 쫄깃쫄깃해 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수프의 양념과 향신료의 향이 빨리 증발하는 단점이 있다. 취향에 따라 다르지만 조리법에 따라 끓이는 것이 가장 맛있다.

#6. 라면은 찬밥을 말아먹는 것이 더 맛있다?

맞다. 삼투압의 원리로 찬밥은 잃어버린 수분을 찾으려고 국물을 흡수한다. 국물의 양념이 밥알 속으로 들어가 더 맛있다.

#7. 불경기에는 매운 라면이 더 잘 팔린다?

부분적으로 맞다. 업계에서는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단적이 예가 짬뽕라면의 폭발적인 판매다. 그러나 단순히 맵다고 해서 잘 팔리는 것은 아니다. 차별화된 매운맛이 중요하다.

#8. 라면은 해장에 좋다?

조사된 연구결과는 없다. 단지 매콤하고 따뜻한 국물이 속을 편안하게 해주는 느낌을 준다. 숙취해소에 좋은 콩나물이나 양배추를 넣어 먹으면 효과가 있다.

#9. 라면 한 개를 먹으면 1일 나트륨 섭취 권장량을 초과한다?

나트륨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나트륨의 1일 섭취 권장량은 2000㎎이다. 라면 한 개에는 종류에 따라 약 1500~1800㎎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김치찌개 1962㎎, 된장찌개 2021㎎, 갈비탕 1717㎎, 짜장면 2432㎎ 1인분 나트륨 함량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10. 컵라면 등 라면용기에서 환경호르몬이 나온다?

근거 없는 이야기다. 라면용기의 환경호르몬 검출은 업계에서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어떤 조사결과도 나온 적이 없다.

이렇듯 라면에 대한 오해와 진실은 무수히 많다. 특히 누구나 라면을 한끼 식사로 즐기면서도 여전히 ‘라면은 건강에 안 좋다’는 부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 김규태 책임연구원은 이에 대해 “라면에는 천연 식재료만 들어간다”며 “특별히 건강에 나쁠 이유가 없다”라며 손을 내젓는다.

연구소 곳곳을 둘러봤다. 실험실 진열대에는 파, 마늘, 각종 야채, 고기, 소시지 등 말린 식재료와 사골가루 등 식품분말, 액체 형태의 식품 추출물이 빼곡히 들어차 있다. 연구원들은 수프용 식재료를 이리저리 조합하며 새로운 맛을 찾는 데 여념이 없다. 아직 출시하지 않은 신개발품의 촬영은 허락되지 않는다.

조리기구가 있는 곳에서는 라면을 끓이며 온도를 재고, 맛을 본다. 냄비 종류도 다양하다. 면발 몇 가닥을 건져 ‘면(麵) 식감 분석기(Texture Analyzer)’에 올려놓고 강도를 잰다. 버튼을 누르니 모니터에 각종 수치가 나타나고 그래프가 그려진다. 면발의 탄성을 시험하는 장치다.

김 연구원은 “식감을 가장 좋은 상태로 유지하려고 면의 굵기를 라면 종류에 따라 100분의 1㎜ 단위로 관리한다”고 말한다. 일반적인 라면의 굵기는 1.8㎜지만 국물맛이 핵심인 짬뽕 라면은 3.0㎜이며 얼큰한 우동을 모방해 만든 ‘오동통면’은 2.4㎜×1.48㎜다. 면발이 굵으면 표면적이 넓어 국물 맛이 잘 배기 때문이다. 또 일반라면은 약 106g이지만 짜장라면은 국물이 없기 때문에 113g으로 늘렸다.

라면 1개 면발 한 줄로 이으면 48m

라면은 대개 60㎝ 길이의 면발 80가닥을 합쳐 만든다. 한 줄로 이으면 48m가 된다. 라면을 곱슬곱슬하게 하는 것에도 과학의 원리가 적용된다. 20년 경력의 장수상 연구원은 이렇게 말한다. “면발에 ‘웨이브’를 주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둘째는 면을 튀기는 과정에서 기름을 흡수하고 수분을 빨리 증발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셋째는 끓일 때 면발 사이로 뜨거운 물이 골고루 순환돼 빨리 익습니다. 넷째는 젓가락으로 집기가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꼬불꼬불한 모양이 시각적으로 입맛을 돋우기 때문입니다.”

1341호 (2016.07.04)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