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정태남의 TRAVEL & CULTURE | 슬로바키아/브라티슬라바(BRATISLAVA) 

두 음악의 신동을 기리는 ‘개선의 골목길’ 

브라티슬라바의 인구는 45만 명 정도이고, 역사의 중심인 구시가지는 모두 걸어 다녀도 될 만큼 규모가 매우 작고 소박하지만 은근하고 아기자기하며 순수한 매력을 간직하고 있다. 이곳은 모차르트와 리스트의 어린 시절 추억을 간직한 곳이기도 하다.

▎미할스카(미하엘 길)와 브라티슬라바의 북쪽 관문 미하엘 성문. / 사진:정태남
슬로바키아는 우리나라 면적의 반 정도밖에 안 되고 전체 인구는 450만 명 정도이다. 이 작은 나라는 서쪽으로는 오스트리아, 북서쪽으로는 체코, 북쪽으로는 폴란드, 동쪽으로는 우크라이나, 남쪽으로는 헝가리 등 모두 다섯 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그래서 역사도 매우 복잡하다. 사실 슬로바키아를 잘 이해하려면 특히 체키아(체코), 헝가리, 오스트리아와의 역사적 관계를 알면 크게 도움이 된다.


슬로바키아는 1993년에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떨어져 나와 독립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1918년에 체키아와 슬로바키아가 합쳐져 세워진 나라였다. 그 이전에 슬로바키아는 체키아와 마찬가지로 합스부르크 왕가가 주도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이라는 한 지붕 아래에 있었는데, 당시 체키아는 오스트리아가 관할했고 슬로바키아는 헝가리가 관할했다.

이런 역사적 배경과 지리적 위치 때문에 20세기 초반까지 슬로바키아의 수도는 헝가리의 입김이 강한 곳이면서도 제국의 수도 빈의 외곽 도시의 성격이 강했다. 이곳의 도시명도 그랬다. ‘브라티슬라바’가 아니라 독일어로는 프레스부르크(Pressburg), 헝가리어로는 포조니(Pozsony)였다. 슬로바키아가 체키아와 합쳐져 ‘체코슬로바키아’라는 국명으로 독립한 다음 기존의 도시명은 슬라브 냄새가 물씬 풍기는 ‘브라티슬라바(Bratislava)’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대체되었다.


▎데 파울리 궁(왼쪽)에서 본 미하엘 성문. / 사진:정태남
브라티슬라바는 오스트리아 국경선에 거의 맞닿아 있고,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에서는 약 60㎞ 정도 떨어져 있다. 두 나라의 수도가 이렇게 가까운 곳은 지구상 어디에도 없다. 따라서 빈과는 하루 생활권의 도시인 셈이다. 브라티슬라바의 인구는 45만 명 정도이고, 역사의 중심인 구시가지는 모두 걸어 다녀도 될 만큼 규모가 매우 작고 소박하지만 은근하고 아기자기하며 순수한 매력을 간직하고 있다.

벤투르스카 길


▎모차르트 기념 명판. / 사진:정태남
옛날 브라티슬라바의 시가지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성벽에는 망루가 있는 성문이 동서남북에 각각 한 개씩 있었는데 지금은 미하엘 성문만 남아 있다. 이 성문으로 들어가면 미할스카(Michalska, 미하엘 길)이라는 매우 예쁜 골목길이 펼쳐지고 이어서 품위 있는 골목길 벤투르스카(Ventúrska)가 마르틴 대성당으로 연결된다.

벤투르스카 길에는 브라티슬라바가 프레스부르크와 포조니로 불리던 시대에 권세 있는 귀족들이 세운 건물이 몇 개 있다. 이 길 15번지에 있는 우아한 레오폴트 데 파울리(De Pauli) 궁은 현재는 브라티슬라바 대학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바로 이 건물에서 어린 천재 피아니스트가 ‘프레스부르크 데뷔 연주회’를 열었다. 이 신동의 이름은 독일식으로는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헝가리식으로는 ‘리스트 페렌츠(Liszt Ferenc)’이다. 리스트(1811~1886)는 쇼팽과 함께 19세기 전반에 유럽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뛰어난 기교를 자랑하던 피아니스트였다. 그는 37세 이후부터는 연주가보다는 작곡가로 활동하면서 수많은 피아노 명곡과 오케스트라 명곡을 남겼는데, 국제적 명성을 얻은 그는 19세기 유럽 음악계를 주름잡는 황제나 다름없었다.

1820년, 9세의 리스트


▎데 파울리 궁. 왼쪽 벽에 리스트 기념 청동 명판이 보인다. / 사진:정태남
데 파울리 궁 외벽에 부착된 청동 명판에는 리스트의 옆모습과 “9살에 이 연주회를 발판으로 개선의 길을 걷기 시작하다”라는 슬로바키아어 문구가 보인다. 여기서 말하는 ‘이 연주회’는 소년 리스트가 데 파울리 궁에서 열었던 데뷔 연주회를 말하고 ‘개선의 길’이란 그가 음악가로서 대성공의 길을 걷게 된 것을 말한다. 사실 이 데뷔 연주회는 그의 미래를 결정적으로 바꾸어놓았다.

리스트는 현재 오스트리아 영토 안에 있는 라이딩(Raiding)이라고 하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당시 그곳은 행정상 헝가리 구역 안에 있었기 때문에 그를 ‘헝가리 음악가’라고 한다. 그의 아버지 아담 리스트는 헝가리 귀족 에스테르하지 후작의 토지 관리인으로 일하면서 후작의 궁정 오케스트라에서 첼로를 연주하곤 했다. 아버지에게서 음악적 재능을 물려받은 어린 리스트는 여섯 살 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자마자 신동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다가 아홉 살이 되던 1820년 11월 26일 바로 이곳에서 정식으로 첫 독주회를 열었다.

당시 이 도시의 귀족이란 귀족은 모두 참석한 가운데 어린 리스트는 그가 가장 좋아하는 베토벤의 작품을 연주했고 그다음에는 즉흥연주를 했다. 또 몇몇 귀족이 그에게 내민 난해한 곡의 악보도 그 자리에서 거침없이 연주하여 참석한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연주가 끝난 후 그의 아버지가 아들에게 완전한 음악 교육을 시킬만한 재정적 여유가 없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귀족들은 즉시 기부금을 모았고, 더 나아가 6년 동안 그를 재정적으로 충분히 후원하기로 했다. 이에 힘입어 그의 아버지는 직장을 아예 그만두고 그해 말에 어린 아들의 장래를 위해 빈으로 이주했다.


▎벤투르스카 길과 팔피 궁(오른쪽)과 길 맞은편의 데 파울리 궁 측면(붉은 지붕의 황갈색 건물). / 사진:정태남
아버지는 아들을 당시 빈에서 활동하던 프레스부르크 출신의 유명한 음악가 후멜에게 지도를 받도록 하고 싶었으나 비싼 레슨비 때문에 포기하고, 베토벤의 제자이자 저명한 피아니스트인 체르니를 찾아갔다. 리스트를 처음 가르쳐본 체르니는 후멜과 달리 아예 레슨비를 받지 않고 지도했고, 당시 음악의 신과 같았던 베토벤 앞에서도 연주하게 하여 그를 놀라게 했다. 만약 어린 리스트가 이곳 귀족들의 후원을 받지 못했더라면, 또 아버지의 과감한 결단과 헌신이 없었더라면, 또 스승 체르니를 만나지 못했더라면 과연 ‘개선의 길’을 제대로 걸을 수 있었을까?

1762년, 6세의 모차르트


▎리스트 기념 명판. “9살에 이 연주회를 발판으로 개선의 길을 걷기 시작하다”라는 문구가 선명하다. / 사진:정태남
데 파울리 궁에서 남쪽으로 약 100m 정도 떨어진 벤투르스카 길 10번지에는 팔피(Pálffy) 궁이 있다. 이 건물은 1747년에 헝가리 백작 레오폴트 팔피가 세웠는데, 슬로바키아가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떨어져 나온 해인 1993년부터 2012년까지 오스트리아 대사관으로 사용되었다. 어린 리스트가 프레스부르크에서 데뷔하기 약 60년 전에 이 건물에서는 또 다른 어린 천재가 데뷔했다. 그의 이름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팔피궁 벽면에는 1762년 그가 여섯 살 때 이곳에서 연주했다고 적힌 명판이 보인다.

어린 모차르트는 1762년 10월 13일 빈의 쇤브룬 궁전에서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를 포함한 황실 가족과 대신들 앞에서 처음 연주했고, 약 두 달이 지난 다음에는 헝가리 귀족들의 요청으로 12월 11일 이곳에 와서 ‘프레스부르크 데뷔 연주회’를 열었다. 이 연주회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별로 없지만, 다른 곳에서와 마찬가지로 이곳에서도 그는 개선장군처럼 대대적인 환영을 받았을 것이다. 그러고 보면 벤투르스카는 음악사에서 빛나는 두 명의 대음악가가 어릴 때 데뷔한 아주 특별한 ‘개선의 골목길’인 셈이다.

※ 정태남 - 이탈리아 공인건축사, 작가 정태남은 서울대 졸업 후 이탈리아 정부장학생으로 유학, 로마대학교에서 건축부문 학위를 받았으며, 이탈리아 대통령으로부터 기사훈장을 받았다. 건축분야 외에도 미술, 음악, 역사, 언어 등 여러 분야를 넘나들며 로마를 중심으로 30년 이상 유럽에서 활동했다. 저서로는 『건축으로 만나는 1000년 로마』, 『동유럽 문화도시기행』, 『유럽에서 클래식을 만나다』 외에 여러 권이 있다.(culturebox@naver.com)

202404호 (2024.03.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