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Issue |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 코넥스 출범 300일 

‘코넥스 회의론’ 결국 현실로? 

외형 커졌지만 내실 없어 …상장 후 거래량 ‘0’인 기업도 많아

▎2013년 7월 1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코넥스 시장 개장식.



“코넥스에 별 기대를 하지 않는다. 코스닥을 저렇게 망쳐놓은 기획재정부와 금융당국이 코스닥 시장 개편에 대한 압박을 받자 내놓은 것이 코넥스다. 제3시장, 프리보드 시장 다 안되지 않았나? 무슨 기대를 하겠나?”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인 코넥스(Korea New Excahange) 출범 전 남민우 벤처기업협회장(현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위원장)이 이코노미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한 얘기다. 그의 ‘코넥스 회의론’이 현실화 되고 있다. 올 4월 26일 출범 300일을 맞는 코넥스 시장은 외형은 다소 커졌지만, 내실은 증권시장이라고 말하기 초라하다. 2년 동안 철저히 출범을 준비했다던 금융당국이 부랴부랴 추가 보완 대책을 내놨지만, 코넥스를 살리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중소·벤처·금융업계의 중론이다.


거래대금 코스닥의 0.01%

4월 11일 한국거래소는 코넥스 시장 시가총액이 출범 9개월 만에 1조원을 넘었다는 보도자료를 냈다. 개장 날에 비해 시가총액은 2배 증가하고, 21개였던 상장기업도 49개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시장 개설 이후 코넥스 상장 10개사가 282억원을 조달했다며, “코넥스가 초기 중소·벤처기업 자금조달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자평했다. 과연 그런가.

증권시장은 증권의 발행·매매·유통이 이뤄지는 시장이다. 하지만 코넥스는 증권은 발행됐는데 매매와 유통은 제대로 되지 않는 이상한 시장이다. 4월 16일 코넥스 상장사 49곳 중 거래가 형성된 종목은 18곳에 그쳤다. 나머지 31곳은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다. 거래대금은 2억3000만원, 거래량은 2만2000주였다. 거래대금은 같은 날 코스닥의 0.01% 수준이다. 투자자별로 보면, 금융투자기관은 183만원어치 매도하고 174만원을 매수했. 투자신탁은 280만원 매도, 1억4900만원 매수였다. 개인은 2억2400만원을 매도하고, 6700만원을 매수했다.

하루 이틀 얘기가 아니다. 4월 15일에는 16개 종목만 가격이 형성됐고, 거래대금은 1억원도 되지 않았다. 개별 종목을 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지난해 말 상장된 G사는 개장 후 딱 이틀만 400주가 거래되고, 이후 한 번도 거래가 되지 않았다. 주가는 1월 2일 이후 지금까지 그대로다. N사 역시 상장 후 주가가 한번도 변하지 않았다. 지난 3월 상장한 D사 역시 상장 후 거래량이 제로다. 이처럼 코넥스 시장에는 코스닥·코스피의 거래정지 종목처럼 주가 그래프가 수평선을 보이는 종목이 부지기수다.

이렇다 보니 코넥스에는 여태 코스피·코스닥지수와 같은 종합주가지수가 없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상장사가 최소 50개를 넘으면 코넥스 주가지수를 발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50개 이상 상장사가 확보돼야 공신력 있고 의미 있는 지수가 될 수 있다는 이유다. 하지만, 지난 300일 간 코넥스 시장을 돌아보면 코넥스 지수가 발표되기에는 긴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코넥스 출범에 반대했다는 한국거래소 한 관계자 얘기는 이렇다.

“투자운용사나 상장사 지정자문인(증권사) 등에서 코넥스 지수 공개를 요구했었다. 개별 종목으로는 투자할 곳이 거의 없어 코넥스 시장을 묶어 인덱스 지수처럼 투자할 수 있도록 해야 파생상품도 만들어지고 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제안이 많았다. 하지만, 실제로 거래되는 종목이 부족하고 거래대금도 턱없이 적어 신뢰할 수 있는 지수를 만들기는 어려울 것 같다.”

실제로 코넥스 상장사 상당수가 거의 거래가 없는 상황에서도 하이로닉 같은 종목은 상장 대비 800%가 넘게 주가가 올랐고, 씨이랩(660%)·엘앤케이바이오메드(425%) 등도 이상 폭등을 보였다. 이런 상황에서 코넥스 시황을 보여주는 안정성 있는 지수는 만들기 어렵다는 것이다.

시장은 활력을 찾아보기 힘들다. 상장 종목은 늘었지만, 거래량·거래대금·거래형성률·매매회전율은 시간이 갈수록 줄고 있다. 거래 대금은 지난해 하루 평균 3억9000만원에서 올 3월엔 2억2000만원으로 줄었고, 4월 2주차에는 1억8000만원으로 감소했다. 중소·벤처기업들의 관심도 시들하다. 올 들어 코넥스에 상장을 신청한 기업은 5곳에 불과하다. 관련 업계에선, 코넥스 상장 기준을 충족하는 벤처를 800개 안팎으로 추산한다.

자본시장이나 벤처업계에선 코넥스에 대한 기대를 일찌감치 접은 분위기지만, 금융당국은 코넥스가 실패한 제3시장이나 프리보드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우려에 펄쩍 뛴다. 프리보드는 제3시장을 대체해 비상장 주식을 거래하도록 2005년 출범했는데, 현재 전체 시가총액이 7000억원에 못 미치는 실패한 시장으로 전락했다.

한국거래소 측은 “스타트업 기업이 대부분이고, 상장 종목 수도 적은데 거래량이나 거래대금 등으로 시장 성패를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코넥스에 상장해 자금을 조달받은 기업이 코스닥 등으로 점프해 일반 투자자로부터 투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코넥스의 출범 목적”이라고 했다. 양적 성장은 중요치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벤치마킹 모델로 삼은 영국 AIM(대체투자시장)은 파격적인 상장 기준 완화로 초기에 양적 성장을 이뤄 성공한 대표적인 신시장이다. AIM은 성장 초기 단계 기업들에 자금 조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1995년 6월 출범했다. 10개 상장사로 시작해 개설 첫 해 120개로 늘고, 현재는 1100여개 기업이 상장됐다.

영국 AIM은 자본금·회사 규모·매출 등에 대한 엄격한 기준이 없고, 감독기관이 심사 없이 런던증권거래소에 서류를 접수한 후 공시를 진행해 내용에 문제가 없으면 바로 거래가 시작된다. 재무 안정성보다는 초기 중소·벤처기업이 자유롭게 상장하고 투자자들의 평가를 받는 열린 시장을 만든 게 성공 요인이다.

금융당국은 뒤늦게 후속 대책을 내놨다.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는 4월 15일 ‘기업 상장 활성화 대책’에서 코넥스 시장 운영 방안을 대폭 손질했다. 코넥스 상장 후 최근 2년간 일정 규모 이상의 영업이익을 낸 기업은 지정자문인의 추천을 받아 코스닥으로 즉시 이전할 수 있도록 했다. 코스닥 이전을 위한 외형 기준도 매출 20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낮췄다.

또한 엔젤투자자나 벤처캐피탈이 일정 비율 이상 지분을 가진 경우에는 상장 기준도 일부 완화했다. 그동안 거래 부진의 한 요인으로 지적됐던 투자장벽도 다소 낮췄다. 예탁금 3억원 이상을 예치해야 하는 개인 투자자의 경우 일임계약(랩어카운트) 형태의 하이일펀드를 통해 투자하면 예탁금 규제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금융당국 부랴부랴 뒤늦은 대책

하지만 여전히 금융·벤처 업계의 시선은 싸늘하다. 벤처기업협회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증권사와 금융투자기관 팔목을 비틀어 출범했다는 것은 업계 사람들은 다 아는 얘기”라며 “코스닥만 제대로 운영하면 코넥스는 필요 없다는 게 업계 분위기”라고 했다.

이노비즈협회 관계자는 “업계에선 코넥스를 투자자 없는 투자 시장이라고 한다”며 “정부만 낙관적이고 시장은 냉담한 코넥스가 성공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이런 와중에도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는 올해 100개, 5년 내 400곳을 코넥스에 상장시킨다는 목표다. 코넥스 시장이 뿌리도 내리기 전에 떡잎이 노랗게 변하고 있다.

1234호 (2014.04.28)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